위키백과를 비롯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들은 이 글에서 다루지 않나요? 그리고 글의 범위가 애매하네요. '대한민국에서 잘 알려진' 프로젝트라면, 아마 한국어 위키백과보다 영어 위키백과가 대한민국에 잘 알려져 있을 겁니다. --Acepectif2008년 3월 22일 (토) 04:19 (KST)답변
글 첫 문단의 한국어로 된 위키백과라는 표현이 모호합니다. 기준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한국에 서버를 둔다거나, 한국의 사용자와 한국 정보를 주로 다룬다거나, 한국에서 활동 중인 위키위키라거나, 뭐 그런 기준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거기에 맞춰 첫 문단의 표현도 수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Realist (토론) 2015년 4월 19일 (일) 17:10 (KST)답변
전자의 경우 문서 수는 4만 5천여개이지만 이 4만 5천개가 모두 한국어로 구성된 문서가 아닌, 극히 일부의 문서만이 한국어로 구성된 문서입니다. 나머지는 영어, 프랑스어, 폴란드어, 독일어, 러시아어, 포르투갈어 등 11개의 언어로 구성된 문서입니다. 이는 포탈 위키도 마찬가지입니다. 비유하자면, 모든 나라 위키백과가 분리된 형태가 아니라 하나의 위키위키에 정리되어 있는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개의 위키들은 이 문서에서 빼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행인 (토론) 2015년 4월 16일 (목) 12:39 (KST)답변
문서 개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없으므로 순서배치에 논란이 생기고, 읽기에도 불편하며, 이를 이유로 삭제 토론도 걸려있는 상태입니다. 해당 단락 역시 가나다 순 또는 프로젝트 순으로 배열한 후, 표 최우측에 비고란을 만들어 언제 데이터가 갱신된 것인지 표시하는 게 가독성에 더 유리할 것 같습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Realist (토론) 2015년 4월 21일 (화) 12:46 (KST)답변
@L. Lycaon 순위 별로 정렬한다면, 문서의 수가 매번 전부 갱신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순위 변동이 발생한다면 그때마다 1:1로 자리 교환하고 해당하는 2개 항목만 업데이트해도 순위를 파악하는 데 문제가 없겠죠. 각 위키의 관계자들은 위키의 순위 변동에 관심을 가질 터, 변동이 있는 만큼 데이터들도 갱신될 터니까요. --RyuaTS (토론) 2015년 4월 30일 (목) 17:45 (KST)답변
나무위키는 저번에 리그베다 위키가 공격을 받은 뒤 복구하는 과정에서 백업 데이터를 가져와 만들어진 위키입니다. 그런데 한국어 위키위키 문서의 편집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나무위키를 포함시킬까에 대한 분쟁이 치열합니다. 저는 현재로서는 나무위키 포함에 대해 회의적이지만 총의 수렴을 하기 위해서 여기 글을 남겨 봅니다.-- Skky999(토론과 기여)2015년 4월 23일 (목) 17:05 (KST)답변
어떤 위키사이트를 포함시킬지 여부를 가르는 기준으로, 사이트의 탄생배경 또는 논란 등이 거론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어 위키위키에 등재시키는 기준은 별도로 객관적인 기준을 정해서 이를 만족할 경우 포함시켜야 하겠죠. 가령 현재 문서 첫줄에 명시되었듯 '한국어로 된 위키위키'가 기준이라면 다른 논란이 있더라도 등재해야겠지요. 문제가 된다면 저 기준을 우선 수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Realist (토론) 2015년 4월 23일 (목) 17:27 (KST)답변
리그베다 위키의 모든 문서에는 부가조항이 붙은 CCL (BY-NC-SA)가 적용되고 있는 상태인데 그걸 베꼈다고 말할 수 있나요? 동일조건사용허락이 붙어있고 현재 나무위키도 동일한 BY-NC-SA로 배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베꼈다는 표현은 부적절해보입니다. --*devunt (talk) 2015년 4월 26일 (일) 18:55 (KST)답변
아니라고는 말 못하죠. 리그베다 문서 퍼올때 위키백과와의 저작권 문제가 된 문서며 이미지며 다 해결된 상태에서 가져왔습니까? 리그베다가 그 지경이 되어서 거기 데이터 다 포크떠서 만든 곳인데 그걸 베꼈다거나 퍼왔다고 하지 적법하게 가져왔다? 그게 더 이상합니다.-- S.H.Yoon論 · 기여 · F.A.2015년 4월 26일 (일) 19:02 (KST)답변
위키미디어 재단이 운영하고 있는 위키여행도 위키트래블을 포크한 것이니 배낀 것인가요? 일단 CCL 조건에 맞춰서 fork한 것이니 배꼈다고 펌하하기는 어렵습니다. 단순히 '보기 거북하다'는 이유로 뺀다는 것은 개인적인 이유로 편집을 했다고 이해할 수 밖에 없습니다. 나무위키에 저작권 분쟁이 생겨서 망하면 망한 뒤에 목록에서 내리면 될 일입니다.--콩가루 (토론) 2015년 4월 27일 (월) 08:51 (KST)답변
이미 Shyoon1님 본인께서도 '리그베다를 포크떠서 만든 곳인데'와 같이 포크를 한 것이 맞다고 인정하셨는데 갑자기 양쪽 의견을 들으라고 하셔서 당황스럽습니다. 물론 저작권 문제는 해결되어야 할 부분이 맞습니다. 포크의 적법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입장은 문제가 생겨서 위키가 문 닫으면 그때 목록에서 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입니다. 저작권 문제가 있든 없든 '한국어 위키위키'는 맞으니까요. 정도의 차이는 크지만한국어 위키백과에도 저작권 침해가 있는데(관리자 하면서 특삭 많이 했습니다) 같은 논리라면 한국어 위키백과도 리스트에 내려야 하는 것인가요?--콩가루 (토론) 2015년 4월 27일 (월) 09:09 (KST)답변
만약 순서를 정한다 치면, 어떤 정보가 독자들에게 유용한지를 따져서 유용한 정보를 상위에 위치시키도록 해야겠죠. 위키를 뭐라고 부르는지보다는 위키에 얼마나 많은 정보가 있는가에 보통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봅니다. 문서 수는 위키의 정보량에 대해 말해줄 수 있는 변수죠. 그러니, 기본적으로 문서 수로 정렬한 다음, 혹시 이름에만 관심이 있는 사람을 위해 이름순 정렬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애초에 해당 표의 제목은 '문서 갯수 순 목록'입니다. 왜 처음 표가 생겨서 지금까지 이렇게 유지되었는가를 생각하면 가나다 순서로 하자는 것은 어떻게 보면 좀 뜬금없다는 생각이 드네요. 확실히 가나다 순서가 편집에 용이함은 이해가 갑니다만, 결국 편집의 편의보다는 읽는 사람의 효용이 우선시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물론 편집하는데 드는 시간이 너무 지나치다면 문서수 정렬보다는 가나다순 정렬 및 sort기능 추가가 더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과연 그렇게 어려움이 있는가는 좀 생각해볼 문제라고 봅니다. 한국에 있는 위키는 그렇게 많지도 않고, 또 숫자의 변동이 심하지도 않습니다. 결국 문서수 순서(+sortable?) 쪽이 맞다고 생각하게 되는군요.121.160.1.117 (토론) 2015년 6월 7일 (일) 22:40 (KST)답변
리그베다 위키
리그베다 위키는 저번 네버랜드 사건의 파장으로 인해 문서수가 계속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며 4월 25일부터는 서버 마비로 인해 문서가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리그베다 위키가 과연 협업을 통해 발전하는 위키의 역할을 다하고 있는지 의문이며 리그베다 위키를 한국어 위키위키에 포함시키는지에 대한 토론을 엽니다.-- Skky999(토론과 기여)2015년 4월 26일 (일) 15:07 (KST)답변
설령 서버가 다운되었다 하더라도 일시적인 서비스 중단일 수 있는 점, 리그베다 위키의 운영자가 명시적인 서비스 중단을 선언한 것이 아닌 점, 라그베다 위키의 서비스 내역이 위키위키의 기준에 부합하는 점을 들어 목록에서 제외하는 것은 시기 상조라고 생각됩니다. 리그베다 위키가 과거에 무슨 일이 있었고, 이에 따라 위키로서의 역활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은 주관적인 판단으로 위키백과의 편집자들이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니며, 위키위키 서비스의 기능과 가능성이 충분하다면 목록에서 제외하는 것은 중립성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realzero (토론) 2015년 4월 27일 (월) 17:25 (KST)답변
rigvedawiki.net : 현재 서버 열린 것 같습니다. 공지가 있었는지는 모르겠는데 오늘 오전 5시까지 기여 있었군요. 그런데 그 이후 오후 세시 현재까지 별다른 기여가 없네요. 어떤 상황인지는 모르겠습니다. wikibbs는 막혀있네요 -- 에카□User/□Dispute2015년 5월 17일 (일) 15:02 (KST)답변
복구 이후 협업이 거의 안되고 있다고 봐야합니다.최근 편집목록 몇명이서 하루에 50회 미만입니다. 협업 수준을 보면 리그베다 위키 보다는 나무위키가 협업이 더 잘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요 위키위키에서 리그베다 위키를 빼던지, 나무위키도 같이 집어넣는게 적합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기여는 5월 24일 현재 불가능한 상태입니다.(수정후 저장불가) 이후 상황이 변하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Yeong1209 (토론) 2015년 5월 24일 (일) 01:17 (KST)답변
나무위키에 대해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표시하시는데, 감정보다는 객관적 사실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굳이 증거를 들자면 검색되는 문서수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구글코리아에서 나무위키로 검색하면 73만 2천개 문서가 나옵니다. 엔하위키는 지금 63만 8천개입니다. 위키백과는 97만 9천개가 나옵니다. 엔하위키가 있다면 나무위키도 있는 것이 맞습니다. 무엇보다 지금 리그베다를 빼느냐 마느냐 하는 것이 주제이고, 나무를 포함할지 말지 여부는 다른 곳에서 이야기하시는 것이 옳습니다(물론 협업수준을 볼 때 리그베다를 넣을거면 나무도 들어가야 한다는 점은 맞습니다). 그래서 주제로 돌아와 리그베다를 빼는가에 대해 입장을 말하자면, 아직은 빼지 않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현재 협업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나 간헐적으로라도 오픈되고 있는 것을 보면 관리의지가 완전히 사라진 상태는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현재 상황에 대해서는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맞을 겁니다. 다른 분들이 잘 말씀해주고 계신 내용입니다만...
먼저 출처가 요구되었던 문서 개수 항목을 삭제하였습니다. 삭제 토론에서 삭제 측 의견 중 '문서 개수를 산정하는 방식이 각 위키마다 판이하게 다르다'라는 의견을 수렴하였습니다.
'보류/중단된 위키'를 삭제하였습니다. 등재된 항목들 모두 아예 접속 자체가 불가-웹페이지를 찾을수 없음, 도메인 판매창 등이 나옴-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다만, 리그베다 위키는 접속이 가능해 한국어 위키위키로 올렸습니다. 불합리하다고 생각하시면 해당 표를 복구해주세요.
문서 개수와 보류/중단된 위키 모두 삭제하시면 안됩니다. 산정 기준이 판이하게 다르니까 문서 개수까지 지우자는 의견이 어디서 어떻게 수렴됐습니까? 뜬금없이 총의를 선언하시면 곤란합니다. 순위가 문제라는 거지 문서 개수가 문제는 아닙니다. 엄연히 1차 출처가 있습니다. 더구나 보류/중단된 위키도 삭제해서는 안됩니다. 그것은 과거의 '역사'입니다.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인데 왜 스스로 지식을 제거하려고 하는 것입니까........ 슬프군요.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5월 18일 (월) 05:31 (KST)답변
@일단술먹고합시다:@콩가루: 문서 개수에 관한 논의에서 문서 개수는 1차 출처이므로 사용될 수 없다는 의견이 본 문서의 삭제 토론에 있었고 저는 그 주장이 타당하다고 여겨 삭제했는데, 사용자분들께서는 그렇지 아니하다고 보시는 듯 합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제 주장을 철회할 생각이 없습니다.
버스버스 위키는 2016년 2월경에 데이터를 상당히 소실해서 100여개의 문서밖에 안 남았기 때문에 현재 접속이 가능하지만 위키위키 목록에 넣기에 적당하지 않다고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일단은 보류/중단 위키목록에 집어넣기는 했는데 부자연스럽다고 생각하시나요? --Lee131011 (토론) 2016년 4월 19일 (화) 01:01 (KST)답변
한국어 위키 목록#문서 개수 순 목록에 있는 위키아 계열 사이트 (분홍색으로 표시되어 있음) - 제다이 위키, 신화 위키, 포켓몬 위키 등- 링크를 눌러보니 그 위키는 안 나오고 문서 수 500개 짜리의 중앙커뮤니티라는 사이트가 달랑 나옵니다. 표에 의하면 위키아 계열 위키 등 상위 위키들은 문서수가 3만, 2만에 달했다는데, 어디로 갔는지 아시는 분 계시나요? 검색해도 나오지가 않습니다. 만일 모종의 사태에 의해 이 사이트들이 죄다 없어진 것이라면 (아니 도대체 무슨 일이?) 그에 맞춰 표 업데이트가 필요하겠네요. --김용호 (+2018년 6월 18일 (월) 08:3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