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AFC 아시안컵 결선 토너먼트 는 이 대회의 두번째 이상 최종 토너먼트이다. 16강전이 2024년 1월 28일부터 시작하고 결승전이 2월 10일에 루사일 소재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에서 개최될 것이다.[ 1] 총 16개팀(각 조 1, 2위 팀과 각 조 3위 팀들 중 상위 4팀)이 단판 토너먼트제로 시행할 것이다.[ 2]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3 ) 기준이다.[ 3]
형식
결선 토너먼트에서 만일 90분 이내에 승부가 결정되지 않으면, 연장전 이 전후반 15분씩 총 30분간 추가로 진행된다. 연장전이 끝나도 여전히 동점으로 끝나면, 승자 결정을 위해 승부차기 를 시행한다.[ 2] 2019년 AFC 아시안컵부터는 3위 결정전 을 치르지 않는다.
아시안컵 16강전 대진은 다음과 같다:[ 2]
R16-1: A조 2위 v C조 2위
R16-2: D조 1위 v B/E/F조 3위
R16-3: B조 1위 v A/C/D조 3위
R16-4: F조 1위 v E조 2위
R16-5: C조 1위 v A/B/F조 3위
R16-6: E조 1위 v D조 2위
R16-7: A조 1위 v C/D/E조 3위
R16-8: B조 2위 v F조 2위
16강 대진 결정 방식
16강 대진은 FIFA 의 토너먼트 규정집 18절에 게재된 대진표에 따른다.
16강전 대진 조합표
조별 리그 3위 진출팀
A조 1위 대진
B조 1위 대진
C조 1위 대진
D조 1위 대진
A B C D
3C
3D
3A
3B
A B C E
3C
3A
3B
3E
A B C F
3C
3A
3B
3F
A B D E
3D
3A
3B
3E
A B D F
3D
3A
3B
3F
A B E F
3E
3A
3B
3F
A C D E
3C
3D
3A
3E
A C D F
3C
3D
3A
3F
A C E F
3C
3A
3F
3E
A D E F
3D
3A
3F
3E
B C D E
3C
3D
3B
3E
B C D F
3C
3D
3B
3F
B C E F
3E
3C
3B
3F
B D E F
3E
3D
3B
3F
C D E F
3C
3D
3F
3E
16강 진출팀
6개 조에서 각 조 1위를 차지한 6개 팀, 각 조 2위를 차지한 6개 팀, 각 조 3위를 차지한 팀들 가운데 성적이 가장 높은 4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2]
대진표
16강전
오스트레일리아 vs 인도네시아
2024년 1월 28일 (2024-01-28 ) 14:30
타지키스탄 vs 아랍에미레이트
이라크 vs 요르단
2024년 1월 29일 (2024-01-29 ) 14:30
카타르 vs 팔레스타인
2024년 1월 29일 (2024-01-29 ) 19:00
우즈베키스탄 vs 태국
2024년 1월 30일 (2024-01-30 ) 14:30
사우디아라비아 vs 대한민국
2024년 1월 30일 (2024-01-30 ) 19:00
바레인 vs 일본
2024년 1월 31일 (2024-01-31 ) 14:30
이란 vs 시리아
2024년 1월 31일 (2024-01-31 ) 19:00
8강전
타지키스탄 vs 요르단
2024년 2월 2일 (2024-02-02 ) 14:30
오스트레일리아 vs 대한민국
2024년 2월 2일 (2024-02-02 ) 18:30
이란 vs 일본
2024년 2월 3일 (2024-02-03 ) 14:30
카타르 vs 우즈베키스탄
2024년 2월 3일 (2024-02-03 ) 18:30
준결승전
요르단 vs 대한민국
2024년 2월 6일 (2024-02-06 ) 18:00
이란 vs 카타르
2024년 2월 7일 (2024-02-07 ) 18:00
결승전
2024년 2월 10일 (2024-02-10 ) 18:00
참고
↑ 함자 알 다르두르 는 그 경기에 뛰지 않았지만(벤치 후보), 벤치에서 그의 반스포츠인적 행동 때문에 퇴장 카드를 받고 퇴장되었다.
↑ Mohammed Al-Breik , who was substituted at the 89th minute, received a yellow card due to his misbehaviour on the bench.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