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AFC Champions League Elite 2024-25
개최국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8강전부터)
개최기간2024년 7월 30일~8월 13일(예선)
2024년 9월 16일 ~ 2025년 5월 3일(본선)
참가팀 (아시아오스트레일리아 호주개 대륙)
결과
우승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1번째 우승)
준우승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통계
경기 수122경기
득점 수343골 (경기당 2.81골)
관중 수1,849,650명 (경기당 15,161명)
최다 득점사우디아라비아 알 다우사리 (10골)
최우수 선수모로코 수피안 라히미
« 2023-24 (AFC CL)

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는 2024년 하반기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열릴 예정인 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43번째 대회(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포함)이자 현재의 AFC 챔피언스리그 구성으로는 22회째를 맞는 아시아 국가들의 클럽대항전이다.

최종 단계는 2025년 4월 25일부터 5월 4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될 것이다. 이 대회의 우승팀은 2025년 FIFA 대륙간컵과 2029년 FIFA 클럽 월드컵에 진출할 것이다. 추가로, 이 대회 우승팀은 2025-26년 시즌에 자동 본선 진출할 것이다.

알 아인은 전대회(AFC 챔피언스리그) 우승팀이다.

참가권 배정

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대회를 위한 참가
참가
불참

참가팀들

Notes
  1. ^ Qatar (QAT): Al-Sadd had already qualified for the Champions League Elite as the 2023–24 Qatar Stars League champions has also won the 2024 Emir of Qatar Cup. Thus, second-placed Al-Rayyan have also qualified for the Champions League Elite league stage, while the third-placed Al-Gharafa qualified for the Champions League Elite qualifying play-off.
  2. ^ South Korea (KOR): Pohang Steelers had already qualified as the 2023 K League 1 runners-up when they won the 2023 Korean FA Cup, so third-placed Gwangju FC qualified for the Champions League Elite qualifying play-off. Since both East region finalists in the AFC Champions League and the AFC Cup (Yokohama F. Marinos and Central Coast Mariners) had already qualified through their domestic performance, Gwangju were later confirmed for the league stage[1] based on their association's higher ranking, leaving only two teams left in the East region qualifying play-off for the remaining league stage slot.
  3. ^ United Arab Emirates (UAE): Al Wasl had already qualified for the Champions League Elite as the 2023–24 UAE Pro League champions have also won the 2023–24 UAE President's Cup. Thus, second-placed Shabab Al-Ahli have qualified for the Champions League Elite qualifying play-off.

경기 일정

이 대회의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2]

단계 라운드 대진추첨일 1차전 2차전
예선 1차 예선 무추첨[a] 2024년 8월 6일
2차 예선 2024년 8월 13일
본선 리그 경기일 1 2024년 8월 16일 2024년 9월 16-18일
경기일 2 2024년 9월 30일-10월 2일
경기일 3 2024년 10월 21-23일
경기일 4 2024년 11월 4-6일
경기일 5 2024년 11월 25-27일
경기일 6 2024년 12월 2-4일
경기일 7 2025년 2월 3-4일, 11-12일
경기일 8 2025년 2월 17-19일
16강전 무추첨[b] 2025년 3월 3-5일 2025년 3월 10-12일
결선 토너먼트 8강전 2025년 3월 14일 2025년 4월 25-26일
준결승전 2025년 4월 29-30일
결승전 2025년 5월 4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소재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에서 개최

예선 플레이오프

각각의 예선 라운드는 단판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규정 9조 2항에 의거하여, 연장전이나 승부차기는 정규 시간 내에 승자가 결정되지 않았을 때 승자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지역에서의 예선 라운드 팀 배정은 AFC 클럽 랭킹에 근거하여 결정되고, 둘 중 순위가 높은 협회에 소속된 클럽의 구장에서 경기를 진행한다. 같은 협회의 소속된 팀끼리는 같은 경기에 배정될 수 없다.

예비 예선

팀 1 결과 팀 2
서부 아시아
세파한 이란 1(연)4 아랍에미리트 샤바브 알 아흘리

플레이오프

팀 1 결과 팀 2
서부 아시아
알 가라파 카타르 1-0 아랍에미리트 샤바브 알 아흘리
팀 1 결과 팀 2
동부 아시아
산둥 타이산 중국 1(연)1
4(승)3
태국 방콕 유나이티드

본선 리그

서부 지역

순위 경기 승점 통과 HIL AHL NSR SAD WAS EST RYN PAK PRS GHA SHO AIN
1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8 7 1 0 26 7 +19 22 16강전 진출 null null null null 3-0 null null 4-1 3-0 5–0 null
2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8 7 1 0 21 8 +13 22 null null null null 2-2 null null 1–0 4-2 5-1 null
3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8 5 2 1 17 6 +11 17 null null 1-2 4-0 null 2–1 null null null null 5-1
4 카타르 알사드 8 3 3 2 10 9 +1 12 1-1 1-3 null null 2–0 null null 1–0 null null null
5 아랍에미리트 알와슬 8 3 2 3 8 12 −4 11 0-2 0–2 null 1-1 null 1-1 null null null null null
6 이란 에스테글랄 8 2 3 3 8 9 −1 9 null null 0–1 null null null 0-0 null 3–0 1-1 null
7 카타르 알라이얀 8 2 2 4 8 12 −4 8 1–3 1–2 null null null 0-2 null 1-1 null null null
8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8 1 4 3 4 6 −2 7 null null null 2-1 0–1 null 0-1 null null null 1-1
9 이란 페르세폴리스 8 1 4 3 6 10 −4 7 null null 0-0 null null null null 1–1 1-1 2-1 null
10 카타르 알가라파 8 2 1 5 10 18 −8 7 null null 1-3 null 1–2 null null 1-0 null null 4–2
11 이라크 알쇼르타 8 1 3 4 7 17 −10 6 null null 1–1 null 1-3 null null 0–0 null null 2-0
12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8 0 2 6 11 22 −11 2 4–5 1-2 null 1–1 null null 1-2 null null null null
출처: 아시아 축구 연맹
순위 결정방식: 본선 리그 순위 결정 기준

동부 지역

순위 경기 승점 통과 FMA KWF JDT GWA VIS BUR SHS SHP POH UHD CCM SHT
1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7 6 0 1 21 7 +14 18 16강전 진출 null null null null 5-0 1-0 null 2-0 4–0 null null
2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7 5 0 2 13 4 +9 15 null null 0–1 null null null 3-1 null null 2-0 4-0
3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7 4 2 1 16 8 +8 14 null null null null 0-0 3–0 null 5-2 3-0 null null
4 대한민국 광주 FC 7 4 2 1 15 9 +6 14 7–3 null 3–1 null 2-2 1-0 null null null null null
5 일본 비셀 고베 7 4 1 2 14 9 +5 13 null null null 2-0 null null 4-0 null null 3-2 2–1
6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8 3 3 2 7 12 −5 12 null 0-3 null null 0–0 null null 1-0 2-1 null null
7 중국 상하이 선화 8 3 1 4 13 12 +1 10 null 2-0 null null 4-2 null null 4−1 1-2 null null
8 중국 상하이 하이강 8 2 2 4 10 18 −8 8 0-2 null 2–2 1-1 null null null null null 3–2 null
9 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7 2 0 5 9 17 −8 6 null 0-4 null null 3-1 null null 3–0 null null 4-2
10 대한민국 울산 HD 7 1 0 6 4 16 −12 3 null 0–1 null null 0-2 null null 1-3 null null 19 Feb
11 오스트레일리아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7 0 1 6 8 18 −10 1 0-4 null 1-2 null null 1–2 2-2 null null null null
12 중국 산둥 타이산 0 0 0 0 0 0 0 0 기권[c] 2-2 null 1-0 3-1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3–1
출처: AFC
순위 결정방식: 본선 리그 순위 결정 기준
비고:
  1. 사전 지정 형태
  2. 사전 지정 형태
  3. 2025년 2월 19일에, 산동 타이산이 마지막 경기 울산 HD 상대 원정경기를 경기 시작 2시간 전에 대회 포기외 기권을 선언하여서, 아시아 축구 연맹은 "산동 타이산은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대회를 기권한 것으로 본 것"으로 선언하였다. 아시아 축구 연맹은 산동 타이산의 모든 경기들은 0-3 몰수패 선언할 것이다.

결선 토너먼트

토너먼트 대진

16강 8강 준결승 결승
              
W8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1 0 1
W1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0 4 4
W1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7
E4 대한민국 광주 0
E5 일본 비셀 고베 2 0 2
E4 대한민국 광주 0 3 () 3
W1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1
W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3
W7 카타르 알-라이얀 1 0 1
W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3 2 5
W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3
E6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0
E6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0 1 1
E3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0 0 0
W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2
E2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0
E8 중국 상하이 하이강 0 1 1
E1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1 4 5
E1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1
W3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4
W6 이란 에스테글랄 0 0 0
W3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0 3 3
W3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2
E2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3
E7 중국 상하이 선화 1 0 1
E2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0 4 4
E2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 3
W4 카타르 알-사드 2
W5 아랍에미리트 알-와슬 1 1 2
W4 카타르 알-사드 1 3 4

16강전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서부 지역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1-4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1-0 0-4
알-라이얀 카타르 1-5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1-3 0-2
에스테글랄 이란 0-3 사우디아라비아 알 나스르 0-0 0-3
알-와슬 아랍에미리트 2-4 카타르 알-사드 1-1 1-3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동부 지역
상하이 하이강 중국 1-5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0-1 1-4
상하이 선화 중국 1-4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1-0 0-4
부리람 유나이티드 태국 1-0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0-0 1-0
비셀 고베 일본 2-3 대한민국 광주 FC 2-0 0(연)3

8강전

팀 1 결과 팀 2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7-0 대한민국 광주 FC
알 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3-0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일본 1-4 사우디아라비아 알 나스르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 3(연)2 카타르 알 사드

준결승전

팀 1 결과 팀 2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1-3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알 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2-3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결승전

팀 1 결과 팀 2
알 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0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각주

  1. “광주FC - GWANGJU FOOTBALL CLUB”. 《www.gwangjufc.com》. 2024년 4월 24일에 확인함. 
  2. “AFC Competitions Committee approves key decisions on reformatted competitions”. 《AFC》. 2023년 7월 1일. 
내용주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