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AFC 챔피언스리그

2017년 AFC 챔피언스리그
AFC Champions League 2017
개최기간2017년 1월 24일 ~ 11월 25일
결과
우승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번째 우승)
준우승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통계
최다 득점시리아 오마르 크르빈
최우수 선수일본 가시와기 요스케
« 2016
2018 »

2017년 AFC 챔피언스리그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36번째 대회(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포함)이자 현재의 AFC 챔피언스리그 구성으로는 15회째를 맞는 아시아 국가들의 클럽대항전이다. 우승 팀은 2017년 FIFA 클럽 월드컵에 참가한다.

참가권 배정

참가권 배정 기준[1]
2017년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참가 등급 충족
참가 등급 미달

참가 클럽

일정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일정은 아래와 같다.(모든 대진 추첨은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에서 개최된다.).[6]

단계 라운드 대진추첨일 1차전 2차전
예선 1차예선 무추첨 2017년 1월 24일
2차예선 2017년 1월 25–31일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2017년 2월 7–8일
조별리그 매치데이 1 2016년 12월 13일 2017년 2월 20–22일
매치데이 2 2017년 2월 27일–3월 1일
매치데이 3 2017년 3월 13–15일
매치데이 4 2017년 4월 10–12일
매치데이 5 2017년 4월 24–26일
매치데이 6 2017년 5월 8–10일
토너먼트 16강전 2017년 5월 22–24일 2017년 5월 29–31일
8강전 미정 2017년 8월 21–23일 2017년 9월 11–13일
준결승전 2017년 9월 25–27일 2017년 10월 16–18일
결승전 2017년 11월 18일 2017년 11월 25일

예선

1차 예선

팀 1 결과 팀 2
글로벌 필리핀 2 - 0 싱가포르 탬피니스 로버스
글로벌 필리핀 2 – 0 싱가포르 탬피니스 로버스
리포트

2차 예선

서아시아

팀 1 결과 팀 2
알웨흐다트 요르단 2 - 1 인도 벵갈루루
나사프 카르시 우즈베키스탄 4 - 0 바레인 알히드
알웨흐다트 요르단 2 – 1 인도 벵갈루루
리포트

나사프 카르시 우즈베키스탄 4 – 0 바레인 알히드
리포트

동아시아

팀 1 결과 팀 2
킷치 홍콩 3 - 2 (연장) 베트남 하노이 T&T
방콕 유나이티드 태국 1 - 1
(4 - 5 PSO)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수코타이 태국 5 - 0 미얀마 야다나본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 6 - 0 필리핀 글로벌 FC
킷치 홍콩 3 – 2 (연장전) 베트남 하노이 T&T
리포트


수코타이 태국 5 – 0 미얀마 야다나본
리포트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 6 – 0 필리핀 글로벌 FC
리포트

플레이오프

서아시아

팀 1 결과 팀 2
알와흐다 아랍에미리트 3 - 0 요르단 알웨흐다트
알파테 사우디아라비아 1 - 0 우즈베키스탄 나사프 카르시
에스테글랄 이란 0 - 0
(4 - 3 PSO)
카타르 알사드
엘자이시 카타르 0 - 0
(1 - 3 PSO)
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
알와흐다 아랍에미리트 3 – 0 요르단 알웨흐다트
리포트

알파테 사우디아라비아 1 – 0 우즈베키스탄 나사프 카르시
리포트


동아시아

팀 1 결과 팀 2
울산 현대 대한민국 1 - 1
(4 - 3 PSO)
홍콩 킷치
감바 오사카 일본 3 - 0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상하이 상강 중국 3 - 0 태국 수코타이
상하이 선화 중국 0 - 2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


상하이 상강 중국 3 – 0 태국 수코타이
리포트

상하이 선화 중국 0 – 2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
리포트

시드 배정

서아시아

  • 이란의 기 이란은 3차 예선 서아시아 부문 3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기 사우디아라비아는 3차 예선 서아시아 부문 2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아랍에미리트의 기 아랍에미리트는 3차 예선 서아시아 부문 1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카타르의 기 카타르는 3차 예선 서아시아 부문 4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첫 번째로 뽑힌 나라는 그 나라의 리그 소속 팀이 A1, B2, C3, D4를 각각 차지한다.
  • 두 번째로 뽑힌 나라는 그 나라의 리그 소속 팀이 B1, C2, D3, A4를 각각 차지한다.
  • 세 번째로 뽑힌 나라는 그 나라의 리그 소속 팀이 C1, D2, A3, B4를 각각 차지한다.
  • 카타르의 리그 소속 팀 또는 우즈베키스탄의 리그 소속 팀은 D1, A2, B3를 각각 차지한다.
  • 3차 예선 서아시아 부문 4경기 승자는 C4를 차지한다.

동아시아

  • 일본의 기 일본은 3차 예선 동아시아 부문 2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은 3차 예선 동아시아 부문 1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은 3차 예선 동아시아 부문 3, 4경기 승자를 포함한다.
  • 첫 번째로 뽑힌 나라는 그 나라의 리그 소속 팀이 E1, F2, G3, H4를 각각 차지한다.
  • 두 번째로 뽑힌 나라는 그 나라의 리그 소속 팀이 F1, G2, H3, E4를 각각 차지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리그 소속 팀은 G1과 H2를 각각 차지한다.
  • 3차 예선 동아시아 부문 3경기 승자는 F4를 차지한다.
  • 3차 예선 동아시아 부문 4경기 승자는 E3를 차지한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리그 소속 팀은 H1과 F3를 각각 차지한다.
  • 대한민국이 첫 번째로 뽑히면 태국의 리그 소속 팀은 G4를, 일본이 첫 번째로 뽑히면 태국의 리그 소속 팀은 E2를 차지한다.
  • 홍콩의 리그 소속 팀은 태국의 리그 소속 팀의 위치에 따라 E2 또는 G4를 차지한다.

조별 리그

A조

경기






승점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6 3 2 1 10 5 +5 11
이란 에스테글랄 6 3 2 1 10 5 +5 11
사우디아라비아 알타아원 6 1 2 3 7 12 −5 5
우즈베키스탄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6 1 2 3 7 12 −5 5
  아랍에미리트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4-0 0-0 2-1
로코모티프 우즈베키스탄 2-0 4-4 1-1
알타아원 사우디아라비아 1-3 1-0 1-2
에스테글랄 이란 1-1 2-0 3-0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2 – 1 이란 에스테글랄
리포트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0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타아원
리포트

알타아원 사우디아라비아 1 – 3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리포트

에스테글랄 이란 1 – 1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리포트

B조

경기






승점
카타르 레크위야 6 4 2 0 15 6 +9 14
이란 에스테글랄 쿠제스탄 6 2 3 1 6 5 +1 9
사우디아라비아 알파테 6 1 3 2 7 9 −2 6
아랍에미리트 알자지라 6 0 2 4 3 11 −8 2
  이란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에스테글랄 쿠제스탄 이란 1-1 1-1 1-0
알자지라 아랍에미리트 0-1 1-3 0-0
레크위야 카타르 2-1 3-0 4-1
알파테 사우디아라비아 1-1 3-1 2-2
레크위야 카타르 3 – 0 아랍에미리트 알자지라
리포트



알자지라 아랍에미리트 0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파테
리포트


C조

경기






승점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6 3 3 0 14 7 +7 1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6 3 2 1 10 7 +3 11
이란 조브 아한 6 2 1 3 6 9 −3 7
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 6 1 0 5 5 12 −7 3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랍에미리트 우즈베키스탄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0 2-2 2-0
조브 아한 이란 1-2 0-3 2-1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2-2 1-1 3-0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 2-0 0-2 2-3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1 – 1 이란 조브 아한
리포트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 – 0 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
리포트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 2 – 3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리포트
조브 아한 이란 1 – 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리포트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 0 – 2 이란 조브 아한
리포트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2 – 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리포트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 2 – 0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리포트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 – 0 이란 조브 아한
리포트

D조

경기






승점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6 3 3 0 10 7 +3 12
이란 페르세폴리스 6 2 3 1 9 8 +1 9
카타르 알라이얀 6 2 1 3 10 13 −3 7
아랍에미리트 알와흐다 6 1 1 4 12 13 −1 4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랍에미리트
알라이얀 카타르 3-4 3-1 2-1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2-1 0-0 1-0
페르세폴리스 이란 0-0 1-1 4-2
알와흐다 아랍에미리트 5-1 2-2 2-3


알와흐다 아랍에미리트 2 – 2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리포트
알라이얀 카타르 3 – 1 이란 페르세폴리스
리포트

페르세폴리스 이란 0 – 0 카타르 알라이얀
리포트


페르세폴리스 이란 4 – 2 아랍에미리트 알와흐다
리포트
관중: 43,160명
심판: 푸밍 (중국)

E조

경기






승점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 6 4 0 2 13 5 +8 12
태국 무앙통 유나이티드 6 3 2 1 7 3 +4 11
대한민국 울산 현대 6 2 1 3 9 9 0 7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 6 1 1 4 4 16 −12 4
  일본 태국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 2-1 3-0 2-0
무앙통 Utd 태국 2-1 3-0 1-0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 2-1 0-0 2-3
울산 현대 대한민국 0-4 0-0 6-0

울산 현대 대한민국 6 – 0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
리포트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 3 – 0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
리포트
울산 현대 대한민국 0 – 0 태국 무앙통 유나이티드
리포트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 2 – 1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
리포트
무앙통 유나이티드 태국 1 – 0 대한민국 울산 현대

울산 현대 대한민국 0 – 4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
리포트
무앙통 유나이티드 태국 3 – 0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
리포트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 2 – 1 태국 무앙통 유나이티드
리포트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 2 – 3 대한민국 울산 현대
리포트

F조

경기






승점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6 4 0 2 17 7 +10 12
중국 상하이 상강 6 4 0 2 15 9 +6 12
대한민국 FC 서울 6 2 0 4 10 15 −5 6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6 2 0 4 10 21 −11 6
  대한민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FC 서울 대한민국 1-0 2-3 0-1
우라와 레드 일본 5-2 6-1 1-0
웨스턴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2-3 0-4 3-2
상하이 상강 중국 4-2 3-2 5-1
FC 서울 대한민국 0 – 1 중국 상하이 상강
리포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일본 5 – 2 대한민국 FC 서울
리포트
상하이 상강 중국 5 – 1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리포트

FC 서울 대한민국 2 – 3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리포트
상하이 상강 중국 3 – 2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리포트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오스트레일리아 2 – 3 대한민국 FC 서울
리포트

상하이 상강 중국 4 – 2 대한민국 FC 서울
리포트

FC 서울 대한민국 1 – 0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리포트

G조

경기






승점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6 2 4 0 8 1 +7 10
중국 광저우 헝다 6 2 4 0 18 5 +13 10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6 2 3 1 11 6 +5 9
홍콩 이스턴 6 0 1 5 1 24 −23 1
  중국 대한민국 일본 홍콩
광저우 헝다 중국 2-2 1-1 7-0
수원 삼성 대한민국 2-2 0-1 5-0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 0-0 1-1 4-0
이스턴 홍콩 0-6 0-1 1-1
광저우 헝다 중국 7 – 0 홍콩 이스턴
리포트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한민국 2 – 2 중국 광저우 헝다
리포트
이스턴 홍콩 1 – 1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리포트

광저우 헝다 중국 1 – 1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리포트
광저우 시
관중: 38,532명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한민국 5 – 0 홍콩 이스턴
리포트

이스턴 홍콩 0 – 6 중국 광저우 헝다
리포트
관중: 5,916명

광저우 헝다 중국 2 – 2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리포트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 4 – 0 홍콩 이스턴
리포트

H조

경기






승점
중국 장쑤 쑤닝 6 5 0 1 9 3 +6 15
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 6 3 1 2 12 9 +3 10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6 1 2 3 10 13 −3 5
일본 감바 오사카 6 1 1 4 7 13 −6 4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대한민국 일본
애들레이드 Utd 오스트레일리아 0-1 3-3 0-3
장쑤 쑤닝 중국 2-1 1-2 3-0
제주 유나이티드 대한민국 1-3 0-1 2-0
감바 오사카 일본 3-3 0-1 1-4
제주 유나이티드 대한민국 0 – 1 중국 장쑤 쑤닝
리포트

장쑤 쑤닝 중국 2 – 1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리포트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오스트레일리아 3 – 3 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
리포트
감바 오사카 일본 0 – 1 중국 장쑤 쑤닝
리포트

제주 유나이티드 대한민국 1 – 3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리포트

감바 오사카 일본 3 – 3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리포트
장쑤 쑤닝 중국 1 – 2 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
리포트

제주 유나이티드 대한민국 2 – 0 일본 감바 오사카
리포트

결선 토너먼트

16강전

16강전은 조별 예선의 결과에 따라 각 조 1위와 다른 조 2위와 각각 맞붙으며 각 조 2위의 홈에서 1차전이 치러지고 각 조 1위의 홈에서 2차전이 치러진다.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서아시아
에스테글랄 이란 2 - 6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1 - 0 1 - 6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4 - 2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1 - 1 3 - 1
에스테글랄 쿠제스탄 이란 2 - 4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1 - 2 1 - 2
페르세폴리스 이란 1 - 0 카타르 레크위야 0 - 0 1 - 0
동아시아
무앙통 유나이티드 태국 2 - 7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1 - 3 1 - 4
광저우 헝다 중화인민공화국 2 - 2 (a)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 1 - 0 1 - 2
상하이 상강 중화인민공화국 5 - 3 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쑤닝 2 - 1 3 - 2
제주 유나이티드 대한민국 2 - 3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 - 0 0 - 3

서아시아

에스테글랄 이란 1 – 0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리포트
관중: 67,202명
심판: 푸밍 (중국)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6 – 1 이란 에스테글랄
리포트

알아인이 합계 6-2로 8강 진출.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1 – 1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리포트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1 – 3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리포트

알아흘리 (사우디)가 합계 4-2로 8강 진출.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2 – 1 이란 에스테글랄 쿠제스탄
리포트

알힐랄이 합계 4-2로 8강 진출.


레크위야 카타르 0 – 1 이란 페르세폴리스
리포트

페르세폴리스가 합계 1-0으로 8강 진출.

동아시아

무앙통 유나이티드 태국 1 – 3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리포트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 4 – 1 태국 무앙통 유나이티드
리포트

가와사키 프론탈레가 합계 7-2로 8강 진출.


광저우 헝다 중화인민공화국 1 – 0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
리포트

합계 2-2 기록, 광저우 헝다원정 다득점에서 앞서 8강 진출.


상하이 상강 중화인민공화국 2 – 1 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쑤닝
리포트
장쑤 쑤닝 중화인민공화국 2 – 3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상강
리포트

상하이 상강이 합계 5-3으로 8강 진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심판 매수로 총 3-2로 8강 진출. 우라와 레즈 vs 제주 유나이티드의 심판은 정신병자다.

8강전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서아시아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0 - 3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0 - 0 0 - 3
페르세폴리스 이란 5 - 3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2 - 2 3 - 1
동아시아
상하이 상강 중국 5 - 5
(5 - 4 PSO)
중국 광저우 헝다 4 - 0 1 - 5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 4 - 5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3 - 1 1 - 4

서아시아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0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리포트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3 – 0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리포트

알힐랄이 합계 3-0으로 준결승 진출.


페르세폴리스 이란 2 – 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리포트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1 – 3 이란 페르세폴리스
리포트

페르세폴리스가 합계 5-3으로 준결승 진출.

동아시아

상하이 상강 중국 4 – 0 중국 광저우 헝다
리포트
광저우 헝다 중국 5 – 1 (연장전) 중국 상하이 상강
리포트
승부차기
4 – 5

합계 5-5 기록, 상하이 하이강|상하이 상강승부차기에서 승리하여 준결승 진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합계 5-4으로 준결승 진출.

준결승전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서아시아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6 - 2 이란 페르세폴리스 4 - 0 2 - 2
동아시아
상하이 상강 중국 1 - 2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 - 1 0 - 1

서아시아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4 – 0 이란 페르세폴리스
리포트
페르세폴리스 이란 2 – 2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리포트

알힐랄이 합계 6-2으로 결승 진출.

동아시아

상하이 상강 중국 1 – 1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리포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합계 2-1으로 결승 진출.

결승전

AFC 챔피언스리그 2017 결승전
경기AFC 챔피언스리그 2017
1차전
날짜2017년 11월 18일
장소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최우수 선수니시카와 슈사쿠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심판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관중 수59,136명
날씨맑음
2차전
날짜2017년 11월 25일
장소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일본 사이타마시
최우수 선수하파에우 다 시우바
심판우즈베키스탄 랍샨 이르마토프
관중 수57,727명
날씨맑음
2016
2018

AFC 챔피언스리그 2017 결승전AFC 챔피언스리그 2017의 우승팀을 가리기 위한 경기로 2017년 11월 18일과 25일 각각 리야드사이타마시에서 열릴 것이다. 결승전 최종 승자는 FIFA 클럽 월드컵 2017에서 아시아 챔피언 자격으로 출전하게 될 것이다.

진출 팀

지역 결승 진출 이력 (굵은 글씨는 우승)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서부 지역 2014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동부 지역 2007

배경

결승전까지의 경기

알힐랄 라운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상대 결과 조별 리그 상대 결과
이란 페르세폴리스 1-1 (A) 1차전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4-0 (A)
카타르 알라이얀 2-1 (H) 2차전 대한민국 FC 서울 5-2 (H)
아랍에미리트 알와흐다 2-2 (A) 3차전 중국 상하이 상강 2-3 (A)
아랍에미리트 알와흐다 1-0 (H) 4차전 중국 상하이 상강 1-0 (H)
이란 페르세폴리스 0-0 (H) 5차전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6-1 (H)
카타르 알라이얀 4-3 (A) 6차전 대한민국 FC 서울 0-1 (A)
D조 1위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6 3 2 0 10 7 +3 11
이란 페르세폴리스 6 2 3 1 9 8 +1 9
카타르 알라이얀 6 2 1 3 10 13 -3 7
아랍에미리트 알와흐다 6 1 1 4 12 13 -1 4
조 최종 순위 F조 1위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6 4 0 2 17 7 +10 12
중국 상하이 상강 6 4 0 2 15 9 +6 12
대한민국 FC 서울 6 2 0 4 10 15 -5 6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6 2 0 4 10 21 -11 6
상대팀 합계 1차전 2차전 토너먼트 상대팀 합계 1차전 2차전
이란 에스테글랄 후제스탄 4-2 2-1 (A) 2-1 (H) 16강 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 3-2 0–2 (A) 3–0 (H)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3-0 0-0 (A) 3-0 (H) 8강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5-4 1–3 (A) 4-1 (H)
이란 페르세폴리스 6-2 4-0 (H) 2-2 (A) 준결승 중국 상하이 상강 2-1 1–1 (A) 1–0 (H)

리뷰

1차전

전반 7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공격수 하파에우 시우바의 선제골을 넣으며 앞서 나가고 있었다.[10] 그러나 전반 37분 알힐랄의 공격수 오마르 크르빈이 동점골을 넣었다. 그 이후 별 진전없이 1 – 1로 1차전을 마치게 되었다.[11]

알힐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GK 1 사우디아라비아 압둘라 알마유프
RB 2 사우디아라비아 모함메드 알브레이크 Yellow card 90+1′
CB 33 사우디아라비아 오사마 하우사위 (주장)
CB 70 사우디아라비아 모함메드 자흐팔리 Yellow card 45+2′
LB 12 사우디아라비아 야세르 알샤흐라니 Yellow card 90+3′
CM 7 사우디아라비아 살만 알파라지
CM 8 사우디아라비아 압둘라 오타이프 70분에 교체로 나옴 70′
CM 16 우루과이 니콜라스 밀레시 Yellow card 5′ 78분에 교체로 나옴 78′
AM 29 사우디아라비아 살렘 알다우사리
AM 3 브라질 카를루스 에두아르두 19분에 교체로 나옴 19′
CF 77 시리아 오마르 크르빈 Yellow card 37′
교체명단:
GK 30 사우디아라비아 모함메드 알와케드
DF 4 사우디아라비아 압둘라 알조리
MF 6 사우디아라비아 압둘말레 알카이브리
MF 24 사우디아라비아 나와프 알아베드 Yellow card 66′ 19분에 교체로 들어감 19′
FW 20 사우디아라비아 야세르 알카키타니
FW 27 사우디아라비아 모하메드 칸노 Yellow card 80′ 78분에 교체로 들어감 78′
FW 44 사우디아라비아 무크타르 팔라타 70분에 교체로 들어감 70′
감독:
아르헨티나 라몬 디아스
GK 1 일본 니시카와 슈사쿠
RB 3 일본 우가진 도모야 Yellow card 12′
CB 22 일본 아베 유키
CB 6 일본 엔도 와타루
LB 5 일본 마키노 도모아키
DM 16 일본 아오키 다쿠야
RM 8 브라질 하파에우 다 시우바 (주장) 64분에 교체로 나옴 64′
CM 15 일본 나가사와 가즈키 76분에 교체로 나옴 76′
CM 10 일본 가시와기 요스케
LM 10 일본 무토 유키
CF 30 일본 고로키 신조 86분에 교체로 나옴 86′
교체명단:
GK 25 일본 에노모토 데쓰야
DF 4 일본 나스 다이스케
DF 46 일본 모리와키 료타
MF 39 일본 야지마 신야
MF 7 일본 우메사키 쓰카사 76분에 교체로 들어감 76′
FW 13 일본 다카기 토시유키 86분에 교체로 들어감 86′
FW 21 슬로베니아 즐라탄 류비얀키치 64분에 교체로 들어감 64′
감독:
일본 호리 타카후미
부심:
아흐마드 알로알레 (요르단)
이사 알아마위 (요르단)
대기심:
Yousef Al-Jararwah (요르단)
보조 심판:
싱가포르무하맛 타키
스리랑카헤티캄카남게 페레라

AFC 맨 오브 더 매치:
일본 니시카와 슈사쿠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차전

1차전에서 1 – 1로 비겼던 두 팀이 우승을 향해 맞붙었다.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는 ACL 홈경기에서 무패를 거두고 있다.[12] 경기가 끝날 무렵 후반 88분에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의 용병 하파에우 시우바가 결승골을 기록하여 1 – 0 승리를 거두었다.[13][14]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Al-Hilal
GK 1 일본 니시카와 슈사쿠
RB 6 일본 엔도 와타루
CB 22 일본 아베 유키 (주장)
CB 5 일본 마키노 도모아키 Yellow card 27′
LB 3 일본 우가진 도모야 Yellow card 13′ 74분에 교체로 나옴 74′
CM 10 일본 가시와기 요스케 90+3분에 교체로 나옴 90+3′
CM 16 일본 아오키 다쿠야
RW 9 일본 무토 유키
AM 15 일본 나가사와 가즈키 Yellow card 70′
LW 8 브라질 하파에우 다 시우바
CF 30 일본 고로키 신조 84분에 교체로 나옴 84′
교체명단:
GK 25 일본 에노모토 데쓰야
DF 2 브라질 마우리시우 안토니우 74분에 교체로 들어감 74′
DF 46 일본 모리와키 료타
MF 7 일본 우메사키 쓰카사 90+3분에 교체로 들어감 90+3′
MF 39 일본 야지마 신야
FW 13 일본 다카기 토시유키
FW 21 슬로베니아 즐라탄 류비얀키치 84분에 교체로 들어감 84′
감독:
일본 호리 다카후미
GK 1 사우디아라비아 압둘라 알마유프
RB 2 사우디아라비아 모함메드 알브레이크
CB 33 사우디아라비아 오사마 하우사위 (주장)
CB 70 사우디아라비아 모함메드 자흐팔리
LB 12 사우디아라비아 야세르 알샤흐라니
DM 8 사우디아라비아 압둘라 오타이프 Yellow card 20′ 87분에 교체로 나옴 87′
RM 29 사우디아라비아 살렘 알다우사리 Yellow card 72′ Yellow-red card 79′
CM 16 우루과이 니콜라스 밀레시
CM 7 사우디아라비아 살만 알파라지 68분에 교체로 나옴 68′
LM 24 사우디아라비아 나와프 알아베드 Yellow card 77′
CF 77 시리아 오마르 크르빈 62분에 교체로 나옴 62′
교체명단:
GK 30 사우디아라비아 모함메드 알와케드
DF 4 사우디아라비아 압둘라 알조리
MF 6 사우디아라비아 압둘말레크 알카이브리
MF 10 사우디아라비아 모함메드 알샬후브 87분에 교체로 들어감 87′
MF 27 사우디아라비아 모하메드 칸노
FW 20 사우디아라비아 야세르 알카타니 Yellow card 80′ 68분에 교체로 들어감 68′
FW 44 사우디아라비아 무크타르 팔라타 62분에 교체로 들어감 62′
감독:
아르헨티나 라몬 디아스

맨 오브 더 매치:
하파에우 다 시우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부심:
압두하미둘로 라술로프 (우즈베키스탄)
자홍기르 사이도프 (우즈베키스탄)
대기심:
Mamur Saidkasimov (우즈베키스탄)
보조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우즈베키스탄)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각주

  1. “보관된 사본”. 2016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7일에 확인함. 
  2. K리그 클래식 2016 2위인 전북 현대 모터스는 2013년에 있었던 스카우트의 심판에게 금품 수수한 혐의로 인해 AFC 독립 기관인 출전관리기구(ECB)에서 2017년 1월 18일에 출전권을 박탈하였다. 3위를 한 제주 유나이티드는 조별 리그로 직행하고 4위를 한 울산 현대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되었다.
  3. 광저우 헝다중국 FA컵 2016 우승 여부와 관계 없이 장쑤 쑤닝의 중국 슈퍼리그 제2순위 지위를 확정하였다.
  4. 푸미폰 아둔야뎃 태국 국왕이 2016년 10월 13일 서거하여 그 다음날 10월 14일 기준 타이 리그 2016 잔여 3경기를 전격 취소하여 리그를 조기 종료하였다. 당시 1위팀 무앙통 유나이티드가 우승 확정하고 2위팀 방콕 유나이티드가 최종 2위 확정하였다. 태국축구협회컵 우승팀은 준결승 진출팀 4팀 중 추첨으로 수코타이로 결정되었다.
  5. S리그 2016 우승팀인 알비렉스 니가타 싱가포르는 일본 J리그 알비렉스 니가타의 위성팀이므로 싱가포르 리그 대표 자격으로 참가할 수 없다. 그래서, 2위팀 탬파인즈 로버스가 싱가포르 리그 대표 자격을 승계했다.
  6. “AFC Calendar of Competitions 2016 - 2018” (PDF). AFC. 
  7.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의 클럽 간의 모든 경기는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양국 간의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중립 지대에서 열렸다.
  8. 페르세폴리스는 AFC로부터 레크위야와의 16강전에서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르는 징계를 받았다. 이는 페르세폴리스가 알와흐다와의 조별 예선 홈 경기에서 일어난 관중들의 부적절한 행동을 막지 못한 사실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9. 제주 유나이티드의 원래 홈 구장인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2017년 FIFA U-20 월드컵 경기가 열렸기 때문에 제주 유나이티드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의 홈 경기를 제주시 소재 제주종합경기장에서 치렀다.
  10. “Rafael Da Silva goal helps Urawa Red Diamonds to draw with Al Hilal”. ESPN. 2017년 11월 18일. 
  11. “Urawa earn valuable away draw”. FIFA. 2017년 11월 18일. 2017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8일에 확인함. 
  12. “Al Hilal blow as Carlos Eduardo out of final second leg”. Fox Sports Asia. 2017년 11월 20일. 2019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8일에 확인함. 
  13. “Urawa clinch ticket to UAE”. FIFA. 2017년 11월 25일. 2018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8일에 확인함. 
  14. “Rafael Silva strike seals Asian Champions League crown for Urawa”. 《ESPN》. 2017년 11월 25일.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합계 2-1으로 승리.

득점 선수

  탈락된 팀 / 이 단계에서 비활성화.
순위 선수 MD1 MD2 MD3 MD4 MD5 MD6 2R1 2R2 QF1 QF2 SF1 SF2 F1 F2 합계
1 시리아 오마르 크르빈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1 2 1 3 2 1 10
2 브라질 헐크 중국 상하이 상강 1 1 1 1 1 1 1 1 1 9
브라질 하파에우 시우바 일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 1 1 2 1 1 1 1
4 아랍에미리트 오마르 압둘라흐만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2 1 1 1 2 7
브라질 알랑 중국 광저우 헝다 1 1 1 2 2
브라질 카를루스 에두아르두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1 1 1 1 3
브라질 히카르두 굴라르 중국 광저우 헝다 1 1 2 3
이란 메흐디 타레미 이란 페르세폴리스 2 1 3 1
9 일본 고바야시 유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1 1 1 1 2 6
이란 카베 레자에이 이란 에스테글랄 1 1 1 1 1 1

참고: 예선에서 득점은 이 기록에서 제외된다. (Regulations Article 64.4).[1]

출처: AFC[2]

기록

선수 수상 기록

경기일 도요타 금주의 선수
축구선수
조별리그
경기일 1[3] 모로코 유세프 엘아라비 카타르 레크위야
경기일 2[4] 대한민국 김인성 대한민국 울산 현대
경기일 3[5] 대한민국 윤일록 대한민국 FC서울
경기일 4[6] 대한민국 고승범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경기일 5[7] 아랍에미리트 칼리드 에이사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경기일 6[8] 우루과이 니콜라스 밀레시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토너먼트 단계
16강전 1차전[9] 태국 티라신 댕다 태국 무앙통 유나이티드
16강전 2차전[10] 아랍에미리트 오마르 압둘라흐만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8강전 1차전[11] 일본 고바야시 유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8강전 2차전[12] 브라질 카를로스 에두아르도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준결승전 1차전[13] 시리아 오마르 크르빈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준결승전 2차전[14] 나이지리아 고드윈 맨샤 이란 페르세폴리스
결승전[15] 사우디아라비아 모함메드 알브레이크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같이 보기

각주

  1. “2017 AFC Champions League Competition Regulations” (PDF). AFC. 
  2. “Top Goal Scorers (by Stage) – 2017 AFC Champions League (Group Stage, Round of 16, Knock-out Stage)”. 《the-afc.com》. AFC. 
  3. “ACL MD1 Toyota Player of the Week”. AFC. 2017년 2월 27일. 
  4. “ACL 2017 MD2 Toyota Player of the Week: Kim In-sung”. AFC. 2017년 3월 3일. 
  5. “ACL 2017 MD3 Toyota Player of the Week: Yun Il-lok”. AFC. 2017년 3월 16일. 
  6. “ACL 2017 MD4 Toyota Player of the Week: Ko Seung-beom”. AFC. 2017년 4월 14일. 2017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3일에 확인함. 
  7. “ACL 2017 MD5 Toyota Player of the Week: Khalid Eisa”. AFC. 2017년 4월 28일. 
  8. “ACL 2017 MD6 Toyota Player of the Week: Nicolas Milesi”. AFC. 2017년 5월 12일. 2017년 9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3일에 확인함. 
  9. “#ACL2017 Round of 16 Toyota Player of the Week: Teerasil Dangda”. AFC. 2017년 5월 25일. 
  10. “#ACL2017 Toyota Player of the Week: Omar Abdulrahman”. AFC. 2017년 6월 1일. 
  11. “ACL 2017 Quarter-final 1st leg Toyota Player of the Week: Yu Kobayashi”. AFC. 2017년 8월 25일. 
  12. “ACL 2017 Quarter-final 2nd Leg Toyota Player of the Week: Carlos Eduardo”. AFC. 2017년 9월 14일. 
  13. “ACL 2017 Semi-final 1st leg Toyota Player of the Week: Omar Khribin”. AFC. 2017년 9월 28일. 
  14. “ACL 2017 Semi-final 2nd leg Toyota Player of the Week: Godwin Mensha”. AFC. 2017년 10월 19일. 
  15. “ACL2017 Final Toyota Player of the Week: Mohammed Al Burayk”. AFC. 2017년 11월 27일.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