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차량의 특징은 기존의 동급 기종의 버스들이 6매 창문으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다르게 5매 창문 배열[2]로 되어 있어 좌석에서의 시야가 넓어진 특징이 있다.
2008년12월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에 전중비형 직행좌석버스가 추가된데 이어, 2010년10월에 출시된 2011년식부터 오디오는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과 동시에 MP3 플레이어가 추가되었으며, 럭셔리 이상급은 측면 화물칸 하단에 램프가 추가되었으며, 콜부저의 딩동 음향이 기본사양이 되었다. 아울러 후진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2011년 말 력셔리 이상급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로 페이스리프트되었으며,엘레강스 이하급은 현행대로 생산되고 있다. 그리고 출입문이 폴딩도어로 적용된 럭셔리 모델은 전면부에 크롬 가니쉬를 적용하였다. 2013년 초에 선보인 2013년식부터는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은 우측면 왼쪽에서 2번째 승객석 창틀에 CNG 로고가 무색 바탕/주황색 로고에서 흰색 테두리를 두른 연두색 바탕/흰색로고로 변경되었으며, 같은해 11월에 선보인 2014년식부터는 콜부저의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고,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천연가스버스 폰트가 굵은 센츄리고딕에서 가는 윤고딕으로의 변경과 동시에 CNG 천연가스버스 로고 크기도 약간 축소되었다.
2015년에 배기가스 규제가 유로6 기준으로 강화됨을 대비하여 엔진을 H430, 파워텍 440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가 추가되었으며,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차량 외관과 내관이 약간 변경된 유로6 모델이 출시되고 컴포트 모델과 클래식 모델이 수요 저조로 단종되었다. 그리고 럭셔리에 출입문이 폴딩도어에만 적용되었던 전면부에 크롬 가니쉬가 삭제되고 프라임 모델에 폴딩도어가 추가되었다. 노블 기반의 21인승 프리미엄 사양인 프레스티지라는 모델이 공개되었다. 2016년식부터 엘레강스 전중문에 한해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 변경 및 두께가 두꺼워졌으며, 디젤 전 모델에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연료명과 요소수를 각각 표기하였으며, 머플러가 땅을 바라보는 형태의 비노출 타입으로 바뀌었다. 노블 기반에 비행기의 퍼스트클래스석 시트를 적용한 프리미엄 좌석인 프레스티지 모델이 본격적으로 출시되었다. 그리고 CD타입의 오디오에는 USB 포트가 추가되었으며, 독립식 우등시트, 3점식 안전벨트(선택사양), 긴급제동 시스템인 AEBS 등이 추가되었다. 2017년부터는 전면부 순정 스포일러 검은 데칼이 약간 변경되었으며, 2018년에는 사제 스포일러가 약간 변경되었다. 그 해 하반기에는 H엔진 한정 옵션이었던 ZF 아스트로닉 12단 AMT를 삭제하고,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로 교체했다. 또한 파워텍 엔진에도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적용하며, 기어박스에 달린 버튼식이다. 단, 똑같은 ZF 6단 자동변속기여도 파워모드가 없는 현대 에어로시티 저상버스와 달리, 파워모드 스위치가 기어박스 하단에 따로 있다.
2019년3월에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유니버스 스페이스, 익스프레스 명칭이 삭제되고 뉴그랜버드 실크로드랑 같은 경쟁급인 노블 EX, 프레스티지 EX가 모델이 추가되었다. HD급은 신규 외장 디자인이 적용되었고, 실내 온도계랑 승객좌석 안전벨트 경고등이 추가되었다. SD급은 전면부 기존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에 적용되었던 그릴로 약간 변경하였으며, 스포일러랑 운전석 대시보드 외에는 HD급과 달리 많이 변경되지 않았다. 아울러 승용차처럼 스마트키가 추가되었으며, 선택사양이다. 6단 수동변속기는 대시보드에 올라갔으며,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는 버튼식에서 엑시언트와 동일한 컬럼식으로 변경되었다. 단, 위아래로 레인지를 변경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어 끄트머리에 있는 스위치를 돌려서 레인지를 바꾸는 방식이며, 파워모드 ON/OFF 스위치가 변속기 끄트머리에 따로 있다. 이 방식은 기아 그랜버드도 슈퍼 프리미엄으로 모델 체인지하면서 적용했으며, 승용 라인업에서는 EV인 아이오닉 5가 이 방식을 이용한다. 2020년6월 1일에는 비상문이 적용되고, SD급 전면부가 HD급 전면부랑 동일한 삼각램프로 변경되었다. 아울러 럭셔리 모델이 엘레강스 모델로 통합하여 단종되고 유니버스 노블 EX, 프레스티지 EX에 저가형인 프라임 EX가 추가되었다. 제작 날짜 2023년6월식부터는 깜박이등과 방향지시등을 측면 사이드램프와 연동되어 같이 점등되도록 변경되었다. 2025년 8월에는 유니버스 FCEV 사양에 뒤쪽 수소탱크 부분만 덮는 "부분 루프 커버" 선택 시 전고가 45mm(3,695mm) 낮아진다. 아울러 전장 12m SD급 유니버스 프라임에 FCEV 사양이 추가되었다.
한동안 현대자동차가 유일하게 일본 시장에 수출하는 차종이었다. 현대자동차가 판매 부진으로 2009년11월에 일본 승용 시장에서 철수한 후 2022년에 아이오닉 5와 넥쏘를 앞세워 일본 승용시장에 재진출할 때까지 13년이 걸리는 동안에도, 유니버스는 연료효율과 내구성을 인정받아 일본의 버스 시장에서 인기를 얻어 2010년 이후에도 판매되고 있다.[3] 이후 현대자동차가 아이오닉 5와 넥쏘로 일본 승용 시장에 재상륙한 후, 일렉시티 타운 등으로 서서히 일본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1세대 (PV; 2006년 11월~현재)
초기형 (2006년 11월~2011년 11월)
유니버스 스페이스
유니버스 스페이스는 11.8m급 미만의 SD 차량으로, 주로 자가용, 시외버스, 공항버스, 직행좌석버스, 급행버스 등에 쓰인다.
컴포트 (Comfort)《LR-B》- 11.65m 스텐더드 데크 등급, 롱 테이퍼 서스펜션 장착·사용
클래식 (Classic)《LR-B》- 11.65m 스텐더드 데크 등급, 롱 테이퍼 서스펜션 장착·사용
엘레강스 (Elegance)《LR-B》- 11.78m 스텐더드 데크 등급, 에어 서스펜션 사용
럭셔리 (Luxury)《LR-B(일반), LR-F(장애인용)》- 11.78M 스텐더드 데크 등급, 에어 서스펜션 사용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라임 (Prime)《LR-B》(전고 3.34m) 12m 스텐더드 데크
노블 (Noble) 일반, 우등《LR-D》(전고 3.49m) 12m 하이 데크
유니버스 스페이스 정측면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정측면
후기형 (2011년 11월~2019년 3월)
유니버스 스페이스
유니버스 스페이스는 11.8m급 미만의 SD 차량으로, 주로 자가용, 시외버스, 관광버스, 공항버스, 직행좌석버스(엘레강스, 럭셔리), 급행버스(엘레강스, 럭셔리) 등에 주로 투입된다. 럭셔리에만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명칭이 붙는다.
12m급 HD 차량. (노블,프레스티지)/12.5M급 HD(프라임 EX, 노블 EX, 프레스티지 EX) 차량. 주로 자가용, 관광버스, 고속버스, 시외버스 등에 주로 투입된다.
노블 (Noble) 일반, 우등《LR-D》(전고 3.49m) 12m 하이 데크
프레스티지 (Prestige) 프리미엄 (전고 3.49m) 12m 하이 데크
프라임 EX (Prime EX) 《LR-D》(전고 3.49m) 12.5M 염가형 하이 데크
노블 EX (Noble EX) 일반, 우등《LR-D》(전고 3.49m) 12.5m 하이 데크
프레스티지 EX (Prestige EX) 프리미엄 (전고 3.49m) 12.5m 하이 데크
2025년8월 6일에 2026년형 유니버스가 출시됐다. 전체 트림에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를 기본화 했으며, 기본 엘레강스 트림에서 선택 품목이었던 운전석 전용 에어컨, 멀티펑션 운전석 시트를 모두 기본으로 적용했다. 프라임 EX이상 상위 트림에는 신형 우등 시트를 기본 탑재했다.[4]
세계 최초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한 고속형 대형버스급으로, 현대차가 2023년 4월 6일에 출시했다.[5]
에너지 생산부터 운행까지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차량이다.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가 최대 635km로, 48.2kWh의 고출력 리튬 이온 배터리를 장착했다.
세계 최초로 MR(자기 유변 유체) 댐퍼와 차량의 좌우, 앞뒤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제어 로직을 적용해 주행 안정성과 승차감을 향상시켰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전방 충돌방지 보조, 차선 이탈 경고, 운전자 상태 경고, 햅틱 스티어링 휠, 후방 모니터, 후방 주차 거리 경고 등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탑재했다. 전면부의 검정 그릴 위에 파란 선을 좌우로 연결해 친환경을 상징하는 수소전기버스 정체성을 강조했다. 실내에는 슬림형 시트로 여유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착좌감을 개선했다.[6]
2025년8월 6일에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상품성 개선 모델이 출시됐다. 전장 12m의 프라임 트림이 새롭게 추가됐으며, 운전석 스마트폰 무선 충전기, 화물함 원격 잠금장치 등을 기본 탑재했다. 또한 일체형 모터와 변속기를 통해 연결 부위를 줄이고 듀얼 모터를 적용해 변속 단절감을 최소화했다.
고전압 배터리 화재 5분 지연 구조도 적용됐다. 차량 충돌 시 수소 밸브를 잠그고 고전압 배터리 충방전을 중단시키는 등 2차 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신형 우등 시트를 장착해 높이조절형 헤드레스트, 컵홀더, 맵포켓 등 편의사양을 갖췄다.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는 모터 최고 출력 350kW, 모터 최대 토크 1,800Nm이며 연료 전지 시스템 최고 출력 180kW, 고출력 리튬 이온 배터리 48.2kWh,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 최대 960.4km를 갖췄다.[8]
회복지원 수소전기버스
현대자동차그룹이 수소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한 소방관 회복지원 수소전기버스를 제작했다. 2023년3월부터 이 버스 8대를 소방청에 기증하기로 하고 2024년6월까지 경북, 강원, 인천, 전북, 충남, 울산 지역 시도 소방본부에 순차적으로 제공했다. 회복지원 수소전기버스는 유니버스 FCEV에 적용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해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산소를 공급하고,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생성한 전기로 모터를 가동시켜 차량을 운행한다. 이 과정에서 배출구 기준 오염물질 없이 순수한 물만 배출된다.[9]
또한 차량 외부에 현장에서 묻은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고압 에어건과 워터건을 장착했으며, 2차 오염에 대비하여 사용한 장비들을 별도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도록 방화복 행거도 탑재했다. 내부에 현장 상황실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ㄷ자 형태 소파형 회의 공간과 회의용 모니터, 프리미엄 리클라이너 시트, 좌석마다 220V 전원과 USB 단자, 전자레인지, 냉장고 등을 포함한 조리공간, 차량의 전력을 외부로 공급하여 에어텐트와 같은 휴식공간도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10]
↑경기순환버스 출신의 8407번, 8409번에 있었던 전 차량이 3000번, 5100번과 5300번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오산 ~ 신논현역간 시외버스 노선을 직행좌석버스 5300번으로 형간 전환하면서 넘어온 차량들도 다수 있다. 또한 직행좌석버스 3007번과 간선급행버스 8800번에도 추가로 투입하였다.
↑2021년에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로 대체되었다. 또한 선수단 차량과는 별도로 작전 지휘차가 있는데 이 차량은 유니버스 모바일 오피스로서, 앞쪽에 프리미엄 고속버스 좌석이 9개가 있고, 뒷쪽은 테이블을 기준으로 대한민국 지하철처럼 마주 보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부산 KCC 이지스는 2017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로 대체되었고,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는 2017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레스티지로 대체되었다. 그리고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는 2025년에 유니버스 혹은 그랜버드로 대차할 예정이고, 부산 KCC 이지스도 마찬가지며, 유니버스 혹은 그랜버드로 대차할 예정이다.
↑원주 DB 프로미는 2013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이 2018년식으로 교체되었다.
↑서울 삼성 썬더스는 2011년식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이 2019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EX로 대체되었고 수원 KT 소닉붐은 2014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이 2019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EX로 대체되었다. 이 차량은 자동변속기 옵션이다.
↑창원 LG 세이커스는 2016년식 대우 BX212 로얄하이데커가 2020년식 뉴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EX로 대체되었고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는 2014년식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이 2020년식 뉴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EX로 대체되었다.
↑2010년식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이 2018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로 대체되었다.
↑2010년식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이 2020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EX로 대체되었다. 이 차량은 ZF 6단 자동변속기 옵션이다.
↑2013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이 2019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EX로 대체되었다. 이 차량은 자동변속기 옵션이다.
↑2013년식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이 2021년식 유니버스 노블 EX로 대체되었다. 이 차량은 자동변속기 옵션이다.
↑2011년식 그랜버드 실크로드가 2019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EX로 대체되었다.
↑2013년식 대우 BX212 로얄하이데커가 2020년식 뉴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EX로 대체되었다.
↑2013년식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이 2021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EX로 대체되었다. 이 차량은 자동변속기 옵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