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티스투타 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화에 대해서는
바티스투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본명
Gabriel Omar Batistuta 출생일
1969년 2월 1일(1969-02-01 ) (56세) 출생지
아르헨티나 산타페주 레콩키스타 키
185 cm 포지션
은퇴 (과거 스트라이커 ) 1987-1988
뉴얼스 올드 보이스 연도
구단
출전 (득점 )
1988-1989 1989-1990 1990-1991 1991-2000 2000-2003 2003 2003-2005 합계
뉴얼스 올드 보이스 리버 플레이트 보카 주니어스 피오렌티나 로마 → 인테르나치오날레 (임대) 알아라비
0 16 0 0 (4) 0 19 0 0 (3) 0 30 0 (13) 269 (167) 0 63 0 (30) 0 12 0 0 (2) 0 21 0 (25) 430 (244)
1991-2002
아르헨티나
0 77 0 (54)
* 구단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정규 리그의 공식 리그 경기 기록만 집계함.
가브리엘 오마르 바티스투타 (스페인어 : Gabriel Omar Batistuta , 1969년 2월 1일 , 아르헨티나 산타페주 레콩키스타 ~ )는 바티골 (Batigoal)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아르헨티나 의 전 축구 선수로, 스트라이커 로 활약하였다. 바티스투타는 22살에 처음 축구를 시작했으며 선수 생활의 대부분을 피오렌티나 에서 보냈으며, 세리에 A에서 318경기에 나와 184골을 넣어 세리에 A 역대 9번째로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선수이다. 아르헨티나 대표팀에서는 77경기에 출장해 54골을 넣어 아르헨티나 대표팀 역대 2번째로 득점을 많이 한 선수이며, 2004년 펠레 가 선정한 FIFA 100 에 지명되었다.
뉴얼스 올드 보이스 , 리버 플레이트 , 보카 주니어스 , ACF 피오렌티나 , AS 로마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임대), 알아라비 SC 에서 차례로 활동했으며, 2005년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그는 그가 뛰었던 팀들 중 피오렌티나 에 대한 충성심이 매우 강했으며, 그는 로마로 이적하여 피오렌티나를 상대로 골을 넣었을 때 눈물을 흘리면서 그라운드의 로맨티스트로 불렸다.[ 1]
플레이 스타일
오직 자신의 개인기에만 의존하는 플레이만 고집하며 패스를 안 하기로 유명하다. 이 때문에 그 자신도 골결정력이 뛰어난 클라우디오 로페스 는 이러한 바티의 취향 때문에 어시스트만 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것이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에게는 취약점으로 작용했다. 특히 2002년 FIFA 월드컵 에서는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이 이러한 바티스투타의 문제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우세한 경기를 펼치며 막판에 에르난 크레스포 가 넣은 골로 무승부를 낼 때까지 시종일관 아르헨티나보다 우세한 경기를 했다. 이것이 문제가 되어 호세 페케르만 감독은 바티스투타를 2006년 FIFA 월드컵 의 엔트리에서 제외시켰다.
경력
수상
코파 이탈리아 : 1995-96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1996
세리에 : 2000-01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2001
코파 아메리카 : 1991, 199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1992
개인
발롱도르 : 4위 (1999), 6위 (1998), 7위 (2000)
FIFA 올해의 선수 : 3위 (1999), 4위 (2000), 5위 (1998)
코파 아메리카 득점왕 : 1991, 1995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득점왕 : 1992
세리에 득점왕 : 1994-95
세리에 올해의 외국인 선수 : 1999
코파 이탈리아 득점왕 : 1995-96
FIFA 월드컵 실버슈 : 1998
카타르 리그 득점왕 : 2003-04
아르헨티나 협회 선정 자국 베스트 : 2015
이탈리아 축구 명예의 전당 : 2013
피오렌티나 명예의 전당 : 2014
로마 명예의 전당 : 2015
FIFA 100 : 2004
각주
외부 링크
수상
골든볼 골든글러브 최다 득점자 †: 골든부트 수상자 (득점이 동률일 때)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시대 코파 아메리카 시대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디 풋볼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보시오 , 리버 (1898 )
베버 (1899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보시오 (1900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말바노 (1901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파스테우르 (1902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말바노 (1903 )
프리마 카테고리아 프리마 디비시오네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포볼니 (1927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리보나티 (1928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로세티 (1929 )
세리에 A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메아차 (1930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볼크 (1931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스키아비오 , 페트로네 (1932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보렐 (1933 , 1934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과이타 (1935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메아차 (1936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피올라 (1937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메아차 (1938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보피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푸리첼리 (1939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보피 (1940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푸리첼리 (1941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보피 (1942 )
[[파일:{{{국기그림-1861}}}|15px|border |이탈리아|링크=이탈리아]] 피올라 (1943 )
1944
1945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세리에 A
V. 마촐라 (1947 )
보니페르티 (1948 )
녜르시 (1949 )
노르달 (1950 , 1951 )
한센 (1952 )
노르달 (1953 , 1954 , 1955 )
피바텔리 (1956 )
다 코스타 (1957 )
찰스 (1958 )
안젤릴로 (1959 )
시보리 (1960 )
브리겐티 (1961 )
알타피니 , 밀라니 (1962 )
만프레디니 , 닐센 (1963 )
닐센 (1964 )
S. 마촐라 , 오를란도 (1965 )
비니시우 (1966 )
리바 (1967 )
프라티 (1968 )
리바 (1969 , 1970 )
보닌세냐 (1971 , 1972 )
풀리치 , 리베라 , 사볼디 (1973 )
키날리아 (1974 )
풀리치 (1975 , 1976 )
그라치아니 (1977 )
로시 (1978 )
조르다노 (1979 )
베테가 (1980 )
프루초 (1981 , 1982 )
플라티니 (1983 , 1984 , 1985 )
프루초 (1986 )
비르디스 (1987 )
마라도나 (1988 )
세레나 (1989 )
판 바스턴 (1990 )
비알리 (1991 )
판 바스턴 (1992 )
시뇨리 (1993 , 1994 )
바티스투타 (1995 )
프로티 , 시뇨리 (1996 )
인차기 (1997 )
비어호프 (1998 )
아모호주 (1999 )
셰우첸코 (2000 )
크레스포 (2001 )
휘브너 , 트레제게 (2002 )
비에리 (2003 )
셰우첸코 (2004 )
루카렐리 (2005 )
토니 (2006 )
토티 (2007 )
델 피에로 (2008 )
이브라히모비치 (2009 )
디 나탈레 (2010 , 2011 )
이브라히모비치 (2012 )
카바니 (2013 )
임모빌레 (2014 )
이카르디 , 토니 (2015 )
이과인 (2016 )
제코 (2017 )
이카르디 , 임모빌레 (2018 )
콸리아렐라 (2019 )
임모빌레 (2020 )
C. 호날두 (2021 )
임모빌레 (2022 )
오시멘 (2023 )
마르티네스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