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슈어 윌리엄 린드블럼 (Joshua William Lindblom, 1987년 6월 15일 ~ )은 미국 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 내셔널 리그 밀워키 브루어스 의 프런트이다.
선수 시절
미국 프로야구 시절
2011년 에 LA 다저스 에 입단하였다.
한국 프로야구 시절
2015년 에 셰인 유먼 을 대체할 투수로 영입됐다.[ 1] 그의 영입에는 당시 해외 스카우트였던 라이언 사도스키 의 추천이 있었다.
2015 시즌에는 이닝이터 역할을 했다.[ 2]
2015년 에 리그 최다인 210이닝을 소화했고, QS 23회, 피안타율 0.250, WHIP 1.18을 기록했다. 시즌 후 일찌감치 연봉 120만 달러의 조건으로 재계약했는데 다음 해에 재계약할 경우 연봉 140만 달러에 계약한다는 옵션을 추가했고, 옵션을 행사하지 않는 경우 지급할 바이아웃을 20만 달러로 책정했다.[ 3]
그러나 2016년 시즌에는 등판 경기마다 홈런을 많이 맞는 모습을 보여 고전을 면하지 못했다. 2016년 팀 내 투수 중 유일하게 두 자릿수 승을 기록했다.
시즌 후 보류 선수 명단에 포함됐지만 2016년 12월 8일 딸의 심장병으로 인해 재계약을 포기했다. 셋째 아이인 딸이 태아일 때부터 희귀 심장 질환이 발견돼 태어나자마자 수술을 받았고, 몇 차례 더 수술과 치료를 반복해야 한다는 판정이 나와 미국으로 돌아갔다.[ 4] 그의 대체 선수로는 파커 마켈 이 영입됐다.
미국 프로야구 복귀
2017년 에 피츠버그 파이리츠 와 마이너 계약을 하였다.
한국 프로야구 복귀
2017년 7월 13일 에 닉 애디튼 의 대체 선수로 전에 활동했던 그를 재영입했다. 그는 이 제안을 받아들였고, 며칠 뒤 한국에 입국하며 복귀했다. 팀에서 연봉 90만 달러로 축소된 계약을 제안했으며 그는 이 제안을 받아들였지만 구단이 140만 달러의 계약 옵션을 포기한 만큼 바이아웃 20만 달러를 지급해야 한다며 소송을 제기했으나 민사 소송에서 패소했다.[ 5] 시즌 5승 3패,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7년 12월 11일 에 더스틴 니퍼트 를 대체할 외국인 투수로 영입되었다.
시즌 15승 4패, 2점대 평균자책점으로 세스 후랭코프 와 함께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팀의 4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을 이끌었다. 이에 힘입어 외국인 선수 최초로 최동원상 을 수상했다.
선발로만 20승 3패를 기록하며 2017년 더스틴 니퍼트 의 선발 20승 이상 투수 최소 패(3패)[ 6] 와 타이 기록을 세웠지만 2020년 라울 알칸타라 에 의해 경신됐다.[ 7] 팀의 6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에 일조했고, 외국인 선수 최초로 2년 연속 최동원상 을 수상했다.
미국 프로야구 재복귀
2020년 에 밀워키 브루어스 에 입단하였다.
야구선수 은퇴 후
2023년 부터 밀워키 브루어스 의 프런트로 활동한다.
트리비아
별명
연도별 투수 성적
연 도
소 속
등 판
선 발
완 투
완 봉
무 4 구
승 리
패 전
세 이 브
홀 드
승 률
타 자
이 닝
피 안 타
피 홈 런
볼 넷
고 4
몸 맞
탈 삼 진
폭 투
보 크
실 점
자 책 점
평 자 책
W H I P
2011년
LAD
27
0
0
0
0
1
0
0
3
1.000
116
29.2
21
0
10
3
2
28
3
0
9
9
2.73
1.05
2012년
48
0
0
0
0
2
2
0
15
.500
197
47.2
42
9
18
0
3
43
1
0
16
16
3.02
1.26
PHI
26
0
0
0
0
1
3
1
7
.250
107
23.1
19
4
17
2
1
27
1
0
15
12
4.63
1.54
'12 합계
74
0
0
0
0
3
5
1
22
.375
304
71.0
61
13
35
2
4
70
2
0
31
28
3.55
1.35
2013년
TEX
8
5
0
0
0
1
3
0
0
.250
137
31.1
35
4
11
2
0
21
2
0
19
19
5.46
1.47
2014년
OAK
1
1
0
0
0
0
0
0
0
----
22
4.2
5
1
2
0
1
2
0
0
2
2
3.86
1.50
2015년
롯데
32
32
2
1
0
13
11
0
0
.542
861
210.0
196
28
52
0
12
180
12
0
86
83
3.56
1.18
2016년
30
30
1
0
0
10
13
0
0
.435
791
177.1
197
28
77
0
9
148
7
0
109
104
5.28
1.55
MLB :4년
110
6
0
0
0
5
8
1
25
.385
579
136.2
122
18
58
7
7
121
7
0
61
58
3.82
1.32
KBO :2년
62
62
3
1
0
23
24
0
0
.489
1652
387.1
393
56
129
0
21
328
19
0
195
187
4.35
1.35
각주
외부 링크
두산 베어스
다승왕, 승률왕, 탈삼진왕, 최다 이닝 린드블럼 |
한국시리즈 MVP 오재일
투수
마이크 파머 (2000~2001, 퇴출)
셰인 베넷 (2001, 퇴출)
빅터 콜 (2001~2002)
게리 레스 (2002,2004,2008, 임의탈퇴)
마크 키퍼 (2003~2004, 퇴출)
이리키 사토시 (2003)
척 스미스 (2005, 퇴출)
맷 랜들 (2005~2009, 퇴출)
다니엘 리오스 (2005~2007)
저스틴 레이어 (2008, 퇴출)
후안 세데뇨 (2009)
크리스 니코스키 (2009)
켈빈 히메네스 (2010,2013)
레스 왈론드 (2010)
더스틴 니퍼트 (2011~2017)
라몬 라미레스 (2011, 퇴출)
페르난도 니에베 (2011)
스콧 프록터 (2012)
개릿 올슨 (2013, 퇴출)
데릭 핸킨스 (2013)
크리스 볼스테드 (2014, 퇴출)
유네스키 마야 (2014~2015, 퇴출)
앤서니 스와잭 (2015)
마이클 보우덴 (2016~2017)
세스 프랭코프 (2018~2019)
조쉬 린드블럼 (2018~2019)
크리스 플렉센 (2020)
라울 알칸타라 (2020, 2023~2024, 퇴출)
아리엘 미란다 (2021~2022, 퇴출)
워커 로켓 (2021)
로버트 스탁 (2022)
브랜든 와델 (2022, 2023~2024)
딜런 파일 (2023, 퇴출)
조던 발라조빅 (2024)
시라카와 케이쇼 (2024, 퇴출)
콜 어빈 (2025~)
타자
KBO 리그 외국인 선수
투수
마이클 길포일 (1999, 퇴출)
에밀리아노 히론 (1999~2001, 퇴출)
레이 데이비스 (2001, 퇴출)
대니얼 매기 (2002, 트레이드)
페르난도 에르난데스 (2002, 퇴출)
모리 가즈마 (2003, 퇴출)
호세 카브레라 (2007)
마티 매클러리 (2008, 퇴출)
다비드 코르테스 (2008)
존 애드킨스 (2009)
라이언 사도스키 (2010~2012)
브라이언 코리 (2011, 퇴출)
크리스 부첵 (2011)
셰인 유먼 (2012~2014)
스콧 리치먼드 (2013, 퇴출)
크리스 옥스프링 (2013~2014)
조쉬 린드블럼 (2015~2016, 2017)
브룩스 레일리 (2015~2019)
파커 마켈 (2017, 퇴출)
닉 애디튼 (2017, 퇴출)
펠릭스 듀브론트 (2018, 퇴출)
제이크 톰슨 (2019, 퇴출)
브록 다익손 (2019)
애드리안 샘슨 (2020)
댄 스트레일리 (2020~2021, 2022~2023, 퇴출)
앤더슨 프랑코 (2021)
글렌 스파크맨 (2022, 퇴출)
찰리 반즈 (2022~2025, 퇴출)
애런 윌커슨 (2023~2024)
알렉 감보아 (2025~)
타자
덕 브래디 (1998)
펠릭스 호세 (1999, 2001, 2006~2007, 퇴출)
테드 우드 (2000, 퇴출)
데릭 화이트 (2000)
훌리오 얀 (2001)
아지 칸세코 (2001, 퇴출)
제로니모 베로아 (2002, 퇴출)
호세 에레라 (2002, 퇴출)
크리스 해처 (2002, 퇴출)
마리오 엔카르나시온 (2003~2004, 퇴출)
보이 로드리게스 (2003, 퇴출)
로베르토 페레즈 (2003~2005, 2007)
라이언 잭슨 (2004~2005)
킷 펠로 (2005)
브라이언 마이로우 (2006, 퇴출)
존 갈 (2006)
에두아르도 리오스 (2007, 퇴출)
카림 가르시아 (2008~2010)
루이스 히메네스 (2014)
짐 아두치 (2015~2016, 퇴출)
저스틴 맥스웰 (2016)
앤디 번즈 (2017~2018)
카를로스 아수아헤 (2019, 퇴출)
제이콥 윌슨 (2019)
딕슨 마차도 (2020~2021)
DJ 피터스 (2022, 퇴출)
잭 렉스 (2022~2023, 퇴출)
니코 구드럼 (2023)
빅터 레예스 (2024~)
삼성 라이온즈 넥센 히어로즈 NC 다이노스 LG 트윈스 SK 와이번스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KIA 타이거즈 한화 이글스 KT 위즈 방출 외국인 선수
잭 루츠 (성적 부진 및 허리 부상, 두산 )
나이저 모건 (성적 부진 및 허리 부상, 한화 )
앤드루 시스코 (성적 부진, KT )
찰스 쉬렉 (성적 부진, NC )
유네스키 마야 (성적 부진, 두산 )
잭 한나한 (허리 부상, LG )
필 어윈 (성적 부진, KT )
트래비스 밴와트 (팔뼈 부상, SK )
필립 험버 (성적 부진, KIA )
셰인 유먼 (어깨 부상, 한화 )
두산 베어스 삼성 라이온즈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SK 와이번스 한화 이글스 KIA 타이거즈 롯데 자이언츠 LG 트윈스 KT 위즈 방출 외국인 선수
콜린 벨레스터 (성적 부진 및 팔꿈치 부상, 삼성 )
로버트 코엘로 (제구력 난조, 넥센 )
알레산드로 마에스트리 (성적 부진, 한화 )
크리스 세든 (성적 부진, SK )
에스밀 로저스 (팔꿈치 부상, 한화 )
짐 아두치 (도핑 적발 및 허리 부상, 롯데 )
슈가 마리몬 (팔꿈치 부상, KT )
앨런 웹스터 (종아리 부상, 삼성 )
스콧 코플랜드 (성적 부진, LG )
라이언 피어밴드 (성적 부진 → 넥센 방출 이후 KT 이적)
요한 피노 (성적 부진, KT )
KBO 리그 수상
역대 최다 수상: 이승엽 (5회) | 역대 최다 연속 수상: 이승엽 (2001년~2003년)
최다 수상 선동열 (6회) |
연속 수상 선동열 (4년, 1988~1991),
정민태 (2년, 1998~1999)
신인 수상 염종석 (1992),
류현진 (2006) |
외국인 선수 수상 리오스 (2007),
로페즈 (2009),
밴 헤켄 (2014),
해커 (2015),
니퍼트 (2016),
린드블럼 (2018, 2019),
알칸타라 (2020),
미란다 (2021),
페디 (2023),
하트 (2024)) |
최다 배출 팀 KIA 타이거즈 (10회,
해태 타이거즈 포함)
KBO 최다 이닝 투구
최다 이닝 투구 장명부 (1983, 427⅓이닝) | 최다 기록자 다니엘 리오스 (4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