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5년 UEFA 네이션스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24–25년 UEFA 네이션스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는 UEFA 네이션스리그의 2024–25 시즌의 승격 및 강등 플레이오프이며, UEFA 회원 협회의 남자 국가대표팀이 참여하는 국제 축구 대회의 네 번째 시즌입니다. 이번 시즌에 새로 추가된 플레이오프는 2026–27 시즌에 승격, 강등 또는 각 리그에 남을 팀을 결정합니다. 형식2023년 1월 25일, UEFA 집행위원회는 승격/강등 플레이오프를 추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2024-25년 네이션스 리그의 변경된 형식을 확정했습니다.[1][2] 리그 단계에 의해 결정되는 자동 승격 및 강등 외에도 승격/강등 플레이오프는 2026–27 UEFA 네이션스 리그의 리그의 최종 구성을 결정합니다.[3] 경기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두 경기. 상위 리그 팀이 승리하면 두 팀 모두 각자의 리그에 남게 되고, 하위 리그 팀이 승리하면 상위 리그로 승격되고, 패배한 팀은 하위 리그로 강등됩니다.[4] 승격/강등 플레이오프의 경기는 다음과 같습니다.[5]
상위 리그의 팀은 시드를 배정받고 홈에서 2차전을 치릅니다. 2차전에서는 합계에서 더 많은 골을 넣은 팀이 승리합니다. 합계 점수가 동점일 경우 연장전이 진행됩니다(원정골 규칙은 적용되지 않음). 연장전 이후에도 점수가 동점일 경우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합니다.[6] 진출 팀들다음 팀은 승격/강등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습니다.[7] 추첨승격/강등 플레이오프 추첨은 2024년 11월 22일 12:00 CET에 스위스 니옹에 있는 UEFA 본부에서 열렸고, 리그 A 8강전과 준결승전 추첨도 함께 열렸습니다.[8][9] 대진 추첨에서 상위 리그의 팀은 시드를 배정받아 2차전을 개최하도록 추첨되었고, 하위 리그의 팀은 시드가 배정되지 않아 1차전을 개최하도록 추첨되었습니다. 먼저, 시드가 배정되지 않은 팟의 모든 팀이 순서대로 짝을 이루었습니다(A/B 및 B/C의 경우 1~4 짝, C/D의 경우 1~2 짝). 그런 다음 시드가 배정된 팟의 팀이 무작위로 짝을 이루었습니다(숫자 순서대로). 상대 팀으로.[10] 추첨에는 금지된 충돌에 대한 조건이 적용되지 않았습니다.[note 1][8] 일정리그 A/B 및 B/C 플레이오프 경기는 3월 20일과 23일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2025. 월드컵 예선의 2025년 3월 창에 충분한 팀을 확보하기 위해, 리그 C/D 플레이오프 경기는 2026년 3월 26일과 31일에 예정되어 있습니다.[11] 그러나 리그 C/D 플레이오프에 참가하는 팀이 월드컵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경우, 리그 C/D 플레이오프는 취소되고 해당 팀은 각각의 리그에 남게 됩니다.[6][12] UEFA는 2024년 11월 22일 추첨 후 경기 시작 시간을 확정했습니다.[11][13] 시간은 UEFA에서 나열한 CET/CEST,[note 2]입니다(현지 시간이 다를 경우 괄호 안에 표시).
리그 A 대 리그 B리그 A/B 플레이오프는 리그 A의 3위 4개 팀과 리그 B의 2위 4개 팀이 맞붙는 경기입니다. 시드 배정
요약
경기 결과튀르키예가 합산 스코어 6-1 승리로 리그 A로 승격하였다. 헝가리는 리그 B로 강등되었다. 벨기에가 합산 스코어 4-3 승리하여서, 두 팀 모두 잔류하였다. 세르비아가 합산 스코어 3-1 승리하여서, 두 팀 모두 잔류하였다. 그리스가 합산 스코어 3-1 승리로 리그 A로 승격하였다. 스코틀랜드는 리그 B로 강등되었다. 리그 B 대 리그 C리그 B/C 플레이오프는 리그 B의 3위 4개 팀과 리그 C의 2위 4개 팀이 맞붙는 경기입니다. 시드 배정
요약
경기 결과코소보는 합산 스코어 5-2 승리로 리그 A로 승격하였다. 아이슬란드는 리그 C로 강등되었다. 아일랜드 공화국은 합산 스코어 4-2 승리하여서, 두 팀 모두 잔류하였다.
조지아는 합산 스코어 9-1 승리하여서, 두 팀 모두 잔류하였다. 슬로베니아는 합산 스코어 1-0 승리하여서, 두 팀 모두 잔류하였다. 리그 C 대 리그 D리그 C/D 플레이오프는 리그 C의 3위 하위 2개 팀과 리그 D의 2위 2개 팀이 맞붙는 경기입니다. 시드 배정
요약
경기 결과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