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해구 해역의 지진 구분도.
미야기현 해역 지진 (일본어 : 宮城県沖地震 みやぎけんおきじしん[* ] )은 일본 미야기현 동쪽 해역을 진원 으로 일어나는 지진이다. 특히 해양판과 대륙판의 경계 지역인 일본 해구 대륙판 쪽에서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규모 M7.5 가량의 지진을 의미한다.
일본 도호쿠 지방은 대륙판인 북아메리카판 (또는 오호츠크판 ) 위에 있으며, 일본 해구 지역을 경계로 대륙판 밑으로 해양판인 태평양판 이 가라앉고 있는 지역이다. 두 판이 움직이며 압축되면서 왜곡이 생기며 생긴 활단층의 활동으로 오시카반도 인근 해역을 진원으로 규모 M7.1-7.5의 지진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오시카반도 해역의 평균 지진 발생 간격은 약 38년이다. 두 판 사이의 '돌기'가 2개가 있어 미야기현 앞바다 지진은 1930년대 지진처럼 시간을 두고 두 돌기가 파괴되거나, 1978년 지진처럼 두 돌기가 한꺼번에 파괴되는 지진 두 종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에 있었던 지진으로 추정할 때 돌기들이 따로 파괴되면 규모 M7.1-7.4, 두 돌기가 동시에 파괴되면 규모 M7.4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1]
미야기현 해역 지진의 평균 지진 발생 간격은 25년에서 최대 40년이다. 또한 1793년 지진과 같이 산리쿠 해역 남부 해구 쪽 지역과 연동형지진 이 일어날 경우 규모는 M8.0 정도 될 것으로 추정된다.
2011년 3월 11일 일어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동일본대지진)은 산리쿠 해역 이 진원이지만 진원역은 북쪽으로는 이와테현에서 남쪽으로는 이바라키현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구역의 연동형 지진으로 일본 지진예지연락회 나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에서는 "미야기현 해역 지진도 동시에 일어났다"라고 말했다.[ 2] [ 1]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에서는 이처럼 여러 진원역이 동시에 연동되어 일어난 지진은 평균 600년 간격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과거 지진의 규모에서 추정해볼 때 평균 규모는 M8.4-9.0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1]
주요 지진
목록
아래 목록의 지진은 미야기현 해역 지진으로 밝혀진 지진과 미야기현 해역 외에도 다른 곳과 연동되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지진 목록이다.[ 3]
1835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
1835년의 미야기현 해역 지진은 1835년 7월 20일에 발생한 약 M7.0의 지진이다. 센다이성 이 피해를 받았다.[ 4]
1861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
1861년의 미야기현 해역 지진은 1861년 10월 21일에 발생한 M7.3의 지진이다.
1897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
1897년의 미야기현 해역 지진은 1897년 2월 21일에 발생한 M7.4의 지진이다.
1933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
1933년의 미야기현 해역 지진은 1933년 6월 19일에 발생한 M7.1의 지진이다. 여러 돌기가 따로 파괴된 종류의 지진이다. 천발지진이다.
1936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
1936년의 미야기현 해역 지진은 1936년 11월 3일에 발생한 지진이다.[ 5] 지진 규모 는 M7.4. 여러 돌기가 따로 파괴된 종류의 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4명이 부상했다.
1937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
1937년의 미야기현 해역 지진은 1937년 7월 27일에 발생한 M7.1의 지진이다. 여러 돌기가 따로 파괴된 종류의 지진이다. 심발지진이다.
2005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
2005년의 미야기현 해역 지진은 2005년 8월 16일에 발생한 지진이다.[ 6] [ 7] 지진 규모 는 M7.2.[ 8] [ 9] 여러 돌기가 따로 파괴된 종류의 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미야기현 가와사키정 에서 최대 진도6약을 관측했다.[ 10] [ 11] 이 지진으로 100명이 부상했다.
2021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
2021년의 미야기현 해역 지진은 2021년 3월 20일에 발생한 지진이다.[ 12] 지진 규모 는 M6.9. 2011년 일어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의 여진이다.[ 13] [ 14] 미야기 현에서 최대 진도5강을 관측했다.[ 15] 다른 진원역과 연동된 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11명이 부상했다.[ 16] 일본 기상청은 도호쿠 지방 태평양 앞바다 지진의 여진 역 (미야기 현 해역 포함)에서 2021년 4월 1일 이후에 발생하는 지진을, 2011년의 지진의 여진이라고 표현하지 않을 방침이다.[ 17] 또한 2021년 5월 1일에도 미야기현 해역을 진원으로하는 M6.8의 지진이 발생, 미야기현에서 최대 진도5강을 관측했다.
기타 지진
아래 지진은 진원이 미야기현 해역이지만 지진 규모나 종류로 인해 미야기현 해역 지진에 포함되지 않는 지진이다.
각주
같이 보기
1749년 이전
고훈 시대 아스카 시대 나라 시대 헤이안 시대
고닌 (818년, M?)
데와 (850년, M7.5?)
하리마 (868년, M?)
조간 (869년, M8.3<)
사가미-무사시 (878년, M7.5<)
닌나 (887년, M8<)
야마시로-오미 (976년, M?)
만주 (1026년, M?)
에이초 (1096년, M8<)
코와 (1099년, M?)
가마쿠라 시대 무로마치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에도 시대
게이초 (1605년, M7.9?)
아이즈 (1611년, M6.9)
게이초 산리쿠 (1611년, M8.1<)
다카다 (1614년, M7.7?)
겐나 에도 (1615년, M6.3?)
오다와라 (1633년, M7?)
보소 해역 (1655년, M?)
간분 오미-와카사 (1662년, M7.6)
돈도코로 (1662년, M7.6)
하치노헤 해역 (1677년, M7.9)
보소 해역 (1677년, M8-8.5)
미카와 (1686년, M7.0)
노시로 (1694년, M7.0)
겐로쿠 (1703년, M8.2-8.5)
노시로 (1704년, M7.0)
호에이 (1707년, M8.6-9.3)
후지노미야 (1707년, M7.0)
오타리 (1714년, M6.3)
간포 오시마 (1741년, M6.9)
1750년~1799년
1750년~1759년 1760년~1769년 1770년~1779년 1780년~1789년
쇼나이 (1780년, M7.0)
오다와라 (1782년, M7.0)
아와 (1789년, M7.1)
1790년~1799년
1800년~1849년
1800년~1809년 1810년~1819년
우고 (1810년, M6.5)
가나가와 (1812년, M7.0)
오미 (1819년, M7.3)
1820년~1829년 1830년~1839년 1840년~1849년
1850년~1884년
1850년~1859년
오다와라 (1853년, M6.7)
이가우에노 (1854년, M7.4)
도카이 (1854년, M8.4)
난카이 (1854년, M8.4)
호요 해협 (1854년, M7.4)
히다 (1855년, M6.8)
미야기현 해역 (1855년, M7.3)
에도 (1855년, M7)
하치노헤 해역 (1856년, M7.5-8)
게이요 (1857년, M7.3)
히에쓰 (1858년, M7.1)
산리쿠 해역 북부 (1858년, M7.3)
1860년~1869년 1870년~1879년 1880년~1884년
1885년-1899년
1885년-1889년 1890년-1899년
미노-오와리 (1891년, M8.0)
노토 (1892년, M6.4)
시코탄섬 해역 (1893년, M7.7)
네무로반도 해역 (1894년, M7.9)
도쿄 (1894년, M7.0)
쇼나이 (1894년, M7.0)
가스미가우라 (1895년, M7.2)
이바라키현 해역 (1896년, M7.3)
산리쿠 (1896년, M8.5)
리쿠 (1896년, M7.2)
미야기현 해역 (1897년, M7.4)
산리쿠 해역 (1897년, M7.7)
미야기현 해역 (1898년, M7.2)
후쿠오카현 이토시마반도 (1898년, M6.0)
다라마섬 근해 (1898년, M7.0)
기이-야마토 (1899년, M7.0)
휴가나다 (1899년, M7.1)
1900년-1949년
1900년-1909년
미야기현 북부 (1900년, M7.0)
아마미오섬 근해 (1901년, M7.3)
산리쿠 해역 북부 (1901년, M7.4)
아오모리현 산파치키미카타 (1902년, M7.0)
게이요 (1905년, M7.2)
후쿠시마현 해역 (1905년, M7.1)
구마노나다 (1906년, M7.5)
보소 해역 (1909년, M7.5)
아네가와 (1909년, M6.8)
오키나와섬 근해 (1909년, M6.2)
미야자키현 서부 (1909년, M7.6)
1910년-1919년
기가이섬 (1911년, M8.0)
히다카 근해 지진 (1913년, M7.0)
사쿠라섬 (1914년, M7.1)
아키타현 센보쿠 (1914년, M7.1)
이시가키섬 서북부 근해 (1915년, M7.4)
도카치 해역 (1915년, M7.0)
미야기 현 해역 (1915년, M7.5)
아카시 해협 (1916년, M6.1)
시즈오카 (1917년, M6.3)
우루프섬 해역 (1918년, M8.0)
오마치 (1918년, M6.1+M6.5)
1920년-1929년
류가사키 (1921년, M7.0)
우라가 수도 (1922년, M6.8)
시마바라 (1922년, M7.1)
이바라키현 해역 (1923년, M7.1)
규슈 동남쪽 해역 (1923년, M7.3)
간토 지방 (간토 대진재 ) (1923년, M7.9)
가나가와현 서부 (1924년, M7.3)
홋카이도 동쪽 해역 (1924년, M7.5)
이바라키현 해역 (1924년, M7.2)
아바시리 근해 (1924년, M7.0)
기타타지마 (1925년, M6.7)
오키나와 서북쪽 해역 (1926년, M7.0)
미야코섬 근해 (1926년, M7.0)
기타탄고 (1927년, M7.3)
산리쿠 해역 북부 (1928년, M7.0)
1930년-1939년
다이쇼지 (1930년, M6.3)
기타이즈 (1930년, M7.3)
동해 북부 (1931년, M7.2)
산리쿠 해역 북부 (1931년, M7.2)
사이타마 서부 (1931년, M6.9)
휴가나다 (1931년, M7.1)
동해 북부 (1932년, M7.1)
산리쿠 (1933년, M8.1)
미야기현 해역 (1933년, M7.1)
노토 (1933년, M6.0)
이오지마 근해 (1934년, M7.1)
시즈오카 (1935년, M6.4)
산리쿠 해역 북부 (1935년, M7.1)
가와치-야마토 (1936년, M6.4)
미야기현 해역 (1936년, M7.4)
니지마섬 근해 (1936년, M6.3)
미야기현 해역 (1937년, M7.1)
이바라키현 해역 (1938년, M7.0)
데시카가 (1938년, M6.1)
미야코섬 북서쪽 해역 (1938년, M7.2)
후쿠시마현 동쪽 해역 (1938년, M7.5)
휴가나다 (1939년, M6.5)
오가 (1939년, M6.8)
1940년-1949년
샤고탄반도 해역 (1940년, M7.5)
나가노 (1941년, M6.1)
휴가나다 (1941년, M7.2)
산리쿠 해역 북부 (1943년, M7.1)
돗토리 (1943년, M7.2)
나가노현 북부 (1943년, M5.9)
도난카이 (1944년, M7.9)
미카와 (1945년, M6.8)
산리쿠 해역 북부 (1945년, M7.1)
난카이 (1946년, M8.0)
요나구니섬 근해 (1947년, M7.4)
와카야마현 남부 해역 (1948년, M7.0)
기이 수도 (1948년, M6.7)
후쿠이 (1948년, M7.1)
아키나다 (1949년, M6.2)
이마이치 (1949년, M6.4)
1950년-1999년
1950년-1959년
소야 동쪽 해역 (1950년, M7.5)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1951년, M7.2)
도카치 해역 (1952년, M8.2)
다이쇼지 해역 (1952년, M6.5)
요시노 (1952년, M6.7)
보소 해역 (1953년, M7.4)
이오지마 근해 (1955년, M7.5)
도쿠시마현 남부 (1955년, M6.4)
시라이시 (1956년, M6.0)
이시가키섬 근해 (1958년, M7.2)
이투루프섬 해역 (1958년, M8.1)
1960년-1969년
산리쿠 해역 북부 (1960년, M7.2)
나가오카 (1961년, M5.2)
휴가나다 (1961년, M7.0)
쿠시로 해역 (1961년, M7.2)
기타미노 (1961년, M7.0)
히로오 해역 (1962년, M7.1)
미야기현 북부 (1962년, M6.5)
이투루프섬 해역 (1963년, M8.1)
니가타 (1964년, M7.5)
시즈오카 (1965년, M6.1)
요나구니섬 근해 (1966년, M7.3)
에비노 (1968년, M6.1)
휴가나다 (1968년, M7.5)
아오모리현 동부 해역 (1968년, M7.9)
산리쿠 해역 북부 (1968년, M7.2)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1968년, M7.3)
시코탄섬 해역 (1969년, M7.8)
기후현 중부 (1969년, M6.6)
1970년-1979년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1970년, M7.1)
니카타현 주에쓰 (1971년, M5.5)
도카치 해역 (1971년, M7.0)
하치조섬 동쪽 해역 (1972년, M7.2)
네무로 반도 해역 (1973년, M7.4)
이즈반도 해역 (1974년, M6.9)
도리시마섬 근해 (1974년, M7.3)
아소 (1975년, M6.1)
시코탄섬 해역 (1975년, M7.0)
동해 서부 (1975년, M7.3)
이즈오섬 근해 (1978년, M7.0)
도리시마섬 근해 (1978년, M7.2)
이투루프섬 해역 (1978년, M7.5)
미야기현 해역 (1978년, M7.4)
1980년-1989년
지바현 서북부 (1980년, M6.0)
산리쿠 해역 (1981년, M7.0)
우라카와 해역 (1982년, M7.1)
이바라키현 해역 (1982년, M7.0)
동해 중부 (1983년, M7.7)
야마나시현 동부 (1983년, M6.0)
미에현 동남부 (1984년, M7.0)
도리시마섬 근해 (1984년, M7.6)
휴가나다 (1984년, M7.1)
나가노현 서부 (1984년, M6.8)
휴가나다 (1987년, M6.6)
동해 북부 (1987년, M7.0)
지바현 동쪽 해역 (1987년, M6.7)
산리쿠 해역 북부 (1989년, M7.1)
1990년-1999년
쿠시로 해역 (1993년, M7.5)
홋카이도 서남쪽 해역 (1993년, M7.8)
도카이도 남쪽 해역 (1993년, M6.9)
동해 북부 (1994년, M7.3)
홋카이도 동쪽 해역 (1994년, M8.2)
산리쿠 먼바다 (1994년, M7.6)
효고현 남부 지진 (한신·아와지 대진재 ) (1995년, M7.3)
이투루프섬 해역 (1995년, M7.7)
가고시마현 북서부 (1997년, M6.4)
이시가키섬 남쪽 해역 (1998년, M7.7)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1998년, M7.1)
이와테현 내륙 북부 (1998년, M6.2)
2000년-현재
2000년-2009년
네무로반도 해역 (2000년, M7.0)
이오지마 근해 (2000년, M7.9)
이즈제도 북부 (2000년, M6.5)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2000년, M7.2)
돗토리현 서부 (2000년, M7.3)
게이요 (2001년, M6.7)
요나구니섬 근해 (2001년, M7.3)
이시가키섬 근해 (2001년, M7.0)
미야기현 해역 (2003년, M7.1)
미야기현 북부 (2003년, M6.4)
도카치 해역 (2003년, M8.0)
기이반도 동남쪽 해역 (2004년, M7.4)
니가타현 주에쓰 (2004년, M6.8)
쿠시로 해역 (2004년, M7.1)
루모이 지청 남부 (2004년, M6.1)
후쿠오카현 서쪽 해역 (2005년, M7.0)
지바현 서북부 (2005년, M6.0)
미야기현 해역 (2005년, M7.2)
이즈반도 동쪽 해역 (2006년, M5.8)
노토반도 (2007년, M6.9)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2007년, M6.8)
이바라키현 해역 (2008년, M7.0)
이와테-미야기 내륙 지방 (2008년, M7.2)
이와테현 연안북부 (2008년, M6.8)
도카치 해역 (2008년, M7.1)
스루가만 (2009년, M6.5)
2010년-2019년
오키나와 근해 (2010년, M7.2)
후쿠시마현 해역 (2010년, M6.7)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2010년, M7.1)
지치지마 근해 (2010년, M7.8)
산리쿠 해역 (2011년, M7.3)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동일본대진재 ) (2011년, M9.1)
이와테현 해역 (2011년, M7.4)
이바라키현 해역 (2011년, M7.6)
산리쿠 해역 (2011년, M7.5)
나가노현 북부 (2011년, M6.7)
시즈오카현 동부 (2011년, M6.4)
미야기현 해역 (2011년, M7.2)
후쿠시마현 하마도리 (2011년, M7.0)
후쿠시마현 나카도리 (2011년, M6.4)
나가노현 중부 (2011년, M5.4)
산리쿠 해역 (2011년, M7.3)
오키나와 서북쪽 해역 (2011년, M7.0)
도리시마섬 근해 (2012년, M7.0)
지바현 동쪽 해역 (2012년, M6.1)
산리쿠 해역 (2012년, M7.3)
아와지섬 (2013년, M6.3)
후쿠시마현 해역 (2013년, M7.1)
후쿠시마현 해역 (2014년, M7.0)
나가노현 가미시로 단층 (2014년, M6.7)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2015년, M8.1)
사쓰마반도 서쪽 해역 (2015년, M7.1)
구마모토 (2016년, M6.5+M7.3)
우치우라만 (2016년, M5.3)
돗토리현 중부 (2016년, M6.6)
후쿠시마현 해역 (2016년, M7.4)
이바라키현 북부 (2016년, M6.3)
나가노현 남부 (2017년, M5.7)
후쿠시마현 해역 (2017년, M5.9)
시마네현 서부 (2018년, M6.1)
오사카부 북부 (2018년, M6.1)
홋카이도 이부리 지방 (2018년, M6.7)
구마모토 (2019년, M5.1)
3월 후쿠시마현 해역 (2019년, M6)
휴가나다 (2019년, M6.3)
산리쿠 해역 (2019년, M6.2)
이즈 제도 해역 (2019년, M6.1)
야마가타현 해역 (2019년, M6.4)
미에현 남부 해역 (2019년, M6.6)
8월 후쿠시마현 해역 (2019년, M6.4)
2020년-현재
이투루프섬 해역 (2020년, M7.2)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2020년, M6.8)
이시카와현 노토지방 (2020년, M5.5)
4월 미야기현 해역 (2020년, M6.2)
9월 미야기현 해역 (2020년, M6.1)
후쿠시마현 해역 (2021년, M7.3)
3월 미야기현 해역 (2021년, M6.9)
5월 미야기현 해역 (2021년, M6.8)
노토반도 (2021년, M5.1)
이와테현 해역 (2021년, M5.9)
지바현 북서부 (2021년, M6.1)
도카라 열도 해역 (2021년, M6.1)
휴가나다 (2022년, M6.6)
후쿠시마현 해역 (2022년, M7.4)
이와테현 해역 (2022년, M5.6)
노토반도 (2022년, M5.4)
노토반도 (2023년, M6.5)
지바현 남부 (2023년, M5.2)
노토반도 (2024년, M7.6)
분고 수도 해역 (2024년, M6.6)
휴가나다 해역 (2024년, M7.1)
휴가나다 해역 (2025년, M6.9)
도카라 열도 해역 (2025년, M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