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Iceager안녕하세요? 종성이입니다. 여기에 님들의 의견 남겨주세요.
저와 관심사가 비슷하신듯 하여 반갑습니다. 몇가지 논의를 공동으로 진행해도 좋을거 같아서 내용 남깁니다. --거북이 올림안녕하십니까? Iceager씨는 영어 위키 Korean language 무서 의해서 "올림"이 "선물"이란 말을 들으신 적이 없다라고 쓰셨지마는 저의 대구에서 살고 있는 조카 OO은 저에게 선물을 주면서 "OO 올림"이라고 했으니 제가 "아, 아랫사람은 윗사람한테 올린 선물은 올림이라"고 생각했지만 "올림"은 "선물" 아니라 "올리는 것"을 나태내죠? 착각했습니다! --Sewing 2004년 8월 21일 (土) 19:19 (UTC) 사용자:Iceager/외국어의 한글 표기 페이지를 위키백과:외국어의 한글표기 페이지로 옮기고 각각의 경우별로 페이지를 분화했으면 좋겠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PuzzletChung 2004년 9월 1일 (水) 11:08 (UTC) 사용자:ChongDae/작업장에서 작업 중입니다.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초기 왕, 그리고 덴마크의 왕 이름을 살펴봐주세요. -- ChongDae 2005년 11월 16일 (水) 09:42 (UTC) 저에게 의견을 보내주면서...안녕하세요? 저는 Russ입니다.
친러파가 안 좋다고 하셧는데, 사실 저는 님이 말한대로 친러파입니다.
저는 4번에 속하는 친러파입니다. 다음부터는 좀 건설적인 내용을 만들겠고, Iceager님도 저에게 새 쪽지를 주세요. - Russ 쪽지 보내면서쪽지 보내주신 것 감사합니다.^^
MünsterThank you for your question about the Korean spelling for Münster. There are pretty well-established rules for transcribing German names in Korean, and the Korean Wikipedia adheres to that. While I do not agree with everything about the rules, it works well and is for the most part pretty straightforward. Münster does come out as '뮌스터' according to the rules, and to my ears it is a pretty good approximation, although I am no German speaker. The Korean open-mid back unrounded vowel 'ㅓ' doesn't really sound like 'o'; it is the vowel used to represent many foreign schwa sounds and their kin. For example, the English word 'centre' would be transcribed as '센터' in Korean. --Iceager
러시아의 행정 구역 옮기기차근차근 했으면 합니다. 분류명 등도 정리해야 하는데, 이건 손으로 하는 것보다 로봇을 쓰는 게 나을 듯 싶네요. 로봇을 써서 분류명을 옮기는 건 제가 돕겠습니다. 일단 러시아의 행정 구역을 용례집에 따라 옮긴게 사용자:ChongDae/작업장입니다. 용례집에 없는 것도 있고, 용례집 표기 기준이 바뀐 것도 있고 해서 아직 확인이 끝난 건 아닙니다.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의 경우 용례집에서는 바시키르 공화국 쪽을 적어놓고 있습니다. 타타르 공화국도 이런 경우입니다. 이런 거야 선택사항이긴 해도 정리는 하고 가야 하겠죠? 용례집을 보면 몇몇 이상한 게 눈에 띄기도 합니다. 유대인 자치주의 수도를 용례집에서는 "비로디잔"이라고 적어놨는데 비로비잔의 오기로 보입니다. 니즈니노브고로드 주의 경우는 "니제고로드 주"라는 이름을 들고나왔는데 어디서 온 건지 알 수 없습니다. -- ChongDae 2006년 1월 20일 (금) 13:50 (KST) Alexander Grothendieck 페이지의 한국어 표기들에 대해서안녕하세요, 편집하신 몇가지 사항을 보았습니다. 우선, 그로센딕인가 그로텐디크 인가는 어떻게 하건 큰 상관이 없을듯 하나, 수학계, 특히 대수기하학을 전공으로 하는 수학자들 사이에서는 그로텐디크라고 표기하는 것은 극히 드문 듯합니다. 몽페이에<->몽펠리에의 경우는, 어떤 것이 불어 발음에 더 가까운가에 따라서 몽페이에로 설정을 한 것입니다. 많은 불어단어들 중 lle로 끝나는 발음들이 영어식으로 잘못 표기되고 있습니다. 몽펠리에도 그런 경우중 하나입니다. 그로센딕이 영어 발음이라 그로텐디크를 택하셨다면 어째서 몽페이에를 몽펠리에로 바꾸셨는지....? 한가지만 더 예로 들면, Dieudonné의 경우 디외돈네 라고 바꾸어 놓으셨는데요, 이것은 굉장한 실수입니다. Dieu는 불어로 신 이라는 뜻의 단어로 한국어 표기로는 듀 혹은 '디우'를 빠르게 발음한것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디외'라고 바꾸신것은 굉장한 넌센스라고 생각되는군요. Jinhyun 2006년 1월 22일 (일) 02:32 (KST) CategorizationPlease remember to categorize your articles. Looking them up in other languages (if they exist, that is...) is an almost surefire method. Thanks. Yuyudevil 2006년 2월 7일 (화) 19:38 (KST)
한국어 위키백과의 현지어 중시라는 원칙이 시험에 빠졌습니다. -- ChongDae 2006년 2월 7일 (화) 22:51 (KST) 케서린 은데레바가 이미 있습니다. 혹시 캐서린 은데레바가 바른 표기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의문이네요. 답변이 오면 둘 중 하나는 합치거나 지우겠습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6년 2월 9일 (목) 13:39 (KST) 위키프로젝트 언어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언어를 만들었습니다. 아직 정해진 것도 없고 막막하니 의견을 주셨으면 합니다. --Puzzlet Chung 2006년 2월 15일 (수) 13:10 (KST) 관리자 추천Iceager 님의 허락을 미리 얻지 않고 관리자 후보로 추천했습니다. 부디 사양하지 마시길... -- ChongDae 2006년 2월 25일 (토) 20:27 (KST) 우크라이나어의 표기Iceager 님이 저에게 메세지를 보내신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기로는 Iceager 님께서 정하신 표기법은 정해도 좋습니다. 그런데 사실 сь, ць가 러시아어에 없는 표현인것은 사실입니다. 도네츠크가 도네치크로, 루한스크가 루한시크로 변한다는 데에는 그렇네요. 제 생각로는 이것을 сь, ць라도 러시아어 표기법을 적용시킵시다. сь, ць가 나와도 도네츠크는 도네츠크로, 루한스크는 루한스크로요. сь, ць가 나와도 러시아식 표기법으로는 스, 츠입니다. 혹시 러시아어를 좀 배우실 생각이에요? 러시아어는 좀 알고 있어요? - Russ 2006년 3월 4일 (토) 16:30
관리자 권한을 드렸습니다.잘 사용해주세요. -- ChongDae 2006년 3월 10일 (금) 23:00 (KST)
그리스어 표기법에 대해얼마 되지 않는 식견이지만 그리스와 그리스어를 좋아해서 그리스어 표기법에 대해 나름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나서 외국어 표기법에 대해 위키피디아 내에 별도로 정리되어 있는 공간이 있는지를 모른채 토론:그리스어란에 올려버렸네요. 개인적으로 현재 위키백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그리스어 표기법이 영어를 매개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 옳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 그리스어를 직접 반영하면서 동시에 현행 표기법과의 마찰을 최대한 줄이는 한으로 논의를 마무리 지어 보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아무쪼록 한번이라도 훑어보고 고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Airridi 2006년 4월 24일 (월) 22:50 (KST) 새로운 바벨색상 변경안에 대해기존의 바벨체계가 중간 여러 단계가 서로 구분되지 않았던 이유로 다시 바벨색상 변경에 대해 제안하고자 합니다. 이번에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제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 이미 에스파냐어 위키백과에서 사용중인 바벨 색상 체계입니다. 기존의 바벨 색상 체계와 크게 다르지 않을 뿐더러 이미 에스파냐어 위키백과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전례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에서는 새로운 색상체계를 도입하는 데의 문제점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래 예들은 에스파냐어 위키백과에서 구체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예들입니다.
관련 내용에 대한 토론은 위키백과토론:바벨#새 바벨색상 변경 제안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 아이리디 2006년 10월 7일 (일) 21:32 (KST) 언어 계통 및 분류 방법 세우기에 참여 부탁드립니다.다름이 아니라, 언어 계통 및 분류 방법 세우기에 참여를 다소 부탁드리고 해서 왔습니다. 해당 내용은 학술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단순히 찬반으로 결정지을 수 없는 문제라서 여러 많으신 분들의 의견 교환과 합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재 '어족' '어파' '어군' 이하의 규모가 큰 언어 집단 등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제어' 등의 명칭은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분류체계 종합적인 토론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아무쪼록 시간을 좀 더 내 주셔서 문제점이나 또는 새로운 제안, 개선안 등의 의견을 달아 주시면 좋겠습니다. - 아이리디 2006년 10월 15일 (월) 17:45 (KST) 남북국 시대
--정안영민 2007년 12월 30일 (일) 01:03 (KST) 프랑스어 표기법 질문Jacques Cousteau는 어떻게 되나요? 부탁합니다.%%스톰대박 %·% 2008년 9월 19일 (금) 12:23 (KST)
orders of magnitude의 정확한 용어님, 지금 "orders of magnitude"의 한국어판 문서가 규모의 비교이기는 한데, 정확한 명칭이 맞나요? --A. W. ROLAND ː <RECENT> 2008년 10월 25일 (토) 16:31 (KST) 레테름? 르테름?안녕하세요... 이브 레테름 문서를 이브 르테름 으로 변경하신 것을 보았습니다. 철자가 Letereme 인데 프랑스어 외래어표기법을 준수하여 르테름으로 변경하신 것이 아니신지요? 해당 인물의 경우 플라망어(벨기에의 네덜란드어) 사용권 출신으로 그 성도 플라망어 계통인 것으로 보입니다. 벨기에의 플라망어 사용권 출신들은 성은 플라망어 계통이면서도 이름은 프랑스어 계통의 것을 쓰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한국에서는 이름은 프랑스어, 성은 네덜란드어에 맞게 표기해왔습니다. 정부ㆍ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에서 이 인물에 대한 표기를 마련했나 확인해봤는데 아쉽게도 찾을 수 없었고 언론 기사를 검색해보면 레테름이라는 표기가 르테름이라는 표기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봐서 레테름이라는 표기가 거의 확립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네덜란드어 외래어표기법을 적용한다면 레테름이 아니라 레테르머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 그런 표기법은 찾아볼 수가 없고요 로마자를 쓰지 않는 타 언어 위키백과를 확인해보니 일본어는 르테름, 러시아어와 세르비아어는 레테름이라는 표기에 근거한 것으로 표기했더군요. 외래어표기법에 대해 잘 아시니 어떻게 된 것인지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Tosque (토론) 2008년 12월 23일 (화) 17:26 (KST) 르테름? 레테름? 레테르머?국립국어원에서도 그에 대한 표기를 마련했었군요. 저도 해당 메뉴를 이용했는데 Leterme으로 검색하니 나오지 않아 없는줄 알았습니다. Leterm으로 등록되어 있으니 Leterme으로 검색하면 나오지 않는 것이었네요. 현재 절대 다수가 '레테름' 이라는 표기를 쓰는 것도 고려를 해 봐야 하겠지만요.... 말씀하신 벨기에 사이트에서 하는 말을 들어보니 레테르머 보다는 레테름에 가깝게 들리더군요.... 그래서 그런지 먼저 말씀드린대로 러시아어와 세르비아어 위키백과에서는 레테름에 근거한 표기를 하나 봅니다. 그렇지만 일단 국립국어원에서 르테름이라 정해놓았으니 그에 따르는 것으로 하되 좀 더 알아봐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국립국어원에서도 Leterm이라 표기 오류를 내 놓을 정도로 대충 올린 것이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이런 표기는 추후에 정정되기도 하는데 정부ㆍ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에서는 아직 논의된 것이 없네요. 정부ㆍ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에서 정한 것이 생긴다면 좋겠는데요..... 문제는 이런 표기법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에 레테르머니 르테름이니 표기법을 제시해도 잘 따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데 있지 않을까요?Tosque (토론) 2008년 12월 24일 (수) 13:10 (KST) 제 토론에 남겨주신 글 잘 보았습니다. 자세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일단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한대로 '이브 르테름' 으로 하고 가능하다면 '이브 레테르머'로 바꿀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주석에는 일반적으로는 '이브 레테름' 으로 많이 쓴다는 것을 추가했는데 괜찮은지 모르겠습니다. Tosque (토론) 2008년 12월 24일 (수) 20:12 (KST) 활동이 없으셔서 관리자권한을 반납하시는 것이 어떨지를 묻습니다.장시간 전혀 관리자 계정을 활용하지 않으셨으므로 관리자 권한을 반납하심으로써 다른 사용자들에게 관리자로 도전할 기회를 더 열어주시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됩니다. 자진해서 반납하실 의사가 있으시다면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mhha 토론·메일 2009년 4월 2일 (목) 15:46 (KST) 질문제가 아는 어떤 분께서 독일 인명을 읽는 방법에 대해 질문하셨는데, 평소에 인명 표기에 많이 관여하시는 아이스에이저님이 많이 아실 것 같아서 질문을 드릴까 합니다. 질문은 아래 3가지 입니다.
덴마크어의 한글 표기제 지인 중에 어느 분께서 현재 국립국어원이 지정한 덴마크어 표기법이 완전히 엉망 (스웨덴어, 노르웨이어는 상당히 일치) 이라고 하시면서 이 페이지들을 권하시더군요. 저 역시 지금의 덴마크어의 한글 표기에 대해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혹시 시간이 되시면 들어가보시는 걸 권합니다. 차이나 오픈의 외국어 이름 교정차이나 오픈 (테니스) 문서의 외국어 이름들을 꼼꼼히 교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외국에의 한글 표기에 관심을 많이 기울이시는 것 같군요. Hi there. I just sent you an email. Amsaim (토론) 2009년 9월 21일 (월) 01:44 (KST) 제발 부탁드립니다토론:에이야퍄틀라이외쿠틀문서 에서 보았는데 아이슬란드 어를 잘 하시는 것 같아서 2010년 동계 올림픽 아이슬란드 선수단에 있는 선수 이름 편집 좀 부탁드립니다. --S7 ㅡ【ㅌㄹ】【ㄱㅇ】【E-M】 2010년 4월 28일 (수) 01:00 (KST)
아이슬란드의 지역명에 대해서 질문제가 사용자:Realidad y Illusion/연습장6에서 아이슬란드의 지역에 대한 문서를 만드는 중인데 원어 발음을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제가 임의로 편집해놓은 공간인데 이 곳에서 틀린 부분 있으면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Contribuciones) 2010년 7월 25일 (일) 01:50 (KST)
아이슬란드의 지역명에 대해서 질문(2)...사용자:Realidad y Illusion/연습장4에 '아이슬란드의 행정 구역'과 관련된 틀을 만들었는데... 수고스럽겠지만 한번만 더 바꿔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Contribuciones) 2010년 7월 25일 (일) 22:07 (KST)
감사합니다!
p.s. Farthings은 파딩이라고 읽으면 되나요?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Contribuciones) 2010년 7월 25일 (일) 22:51 (KST)
아이슬란드 관련 질문..이거 계속 질문하니 죄송하네요... fjórðungsþing, fjórðungsdómar, Norðlendingafjórðungur, Sunnlendingafjórðungur, Austfirðingafjórðungur, Norðlendingafjórðungur, Vestfirðingafjórðungur, Rangæingafjórðungur를 뭐라고 읽나요......?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Contribuciones) 2010년 7월 26일 (월) 22:14 (KST)
ChongDae 라는 관리자의 월권 문제ChongDae 라는 관리자가 월권을 행사해서 저의 편집만 스토킹하고 일괄 삭제하고 있습니다. 이 관리자의 월권을 강력히 규탄하며 저의 편집만 아무 이유 없이 일괄적으로 삭제하고 보호를 걸어 놓고 있습니다. 관리자의 월권이 너무 심하며 여기에 개입해서 정당한 근거를 가지고 편집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와주십시오.[3] 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4:18 (KST) 아이슬란드 지역명 음...Njarðvík를 뭐라고 읽나요? 냐르드비크?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Contribuciones) 2010년 8월 12일 (목) 13:26 (KST)
다시... Latrabjarg, Sudureyri, Snæfellsnes, Dyrhólaey, Barðaströnd, Reykholar를 어떻게 읽나요?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8월 19일 (목) 02:15 (KST)
'Vestfirðir'가 '베스트피르디'인가요, '베스트피르디르'인가요?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8월 19일 (목) 21:38 (KST) 그리고 Austfirðir를 외이스트피르디르라고 임의로 썼는데 맞나요? 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8월 19일 (목) 21:56 (KST)
Seltjarnarnes, Álftanes, Kjósarhreppur를 어떻게 읽나요? 셀탸르나르네스, 알프타네스, 쿄사르레푸르??... 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8월 22일 (일) 01:54 (KST)
Garðabær는 어떻게 읽나요, 가우라다바이르?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8월 22일 (일) 14:53 (KST)
Barðastrandarsýsla, Kötlutangi는 뭐라고 읽나요? 바르다스트란다르시슬라, 쾨틀루탕기라고 읽나요?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8월 28일 (토) 02:21 (KST)
Gerpir, Eyjafjörður, Hraunhafnartangi, Bjargtangar, Barðaströnd, Bjargtangar를 어떻게 읽나요?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8월 31일 (화) 20:05 (KST)
죄송하지만... 사용자:Realidad y Illusion/연습장6에서 도시명을 한글로 바꿔주실 수 있나요?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2010년 9월 7일 (화) 23:12 (KST) 그리고 Gullbringusýsla가 어떻게 귀들브링귀시슬라로 읽히는지 궁금합니다, 아이슬란드어에서는 ll이면 'ㄷ'으로 읽히는건가요? 아니면 또 다른 이유가...?2010년 9월 8일 (수) 00:29 (KST)
포르투갈어 발음토론:주제 사라마구에서 국립국어원 용례집과 영어 위키백과의 IPA가 달라 살펴보다en:Portuguese_phonology#Unstressed_vowels를 찾게 되었습니다. 포르투갈어 한글 표기법은 'o'를 어말이냐 아니냐로 구분했는데 반해, 영어 위키백과의 설명은 강세 여부까지 따져서 모음의 발음이 달라진다고 되어 있습니다. 혹시 이에 관한 정보가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 ChongDae (토론) 2010년 8월 17일 (화) 19:09 (KST)
혹시 리투아니아어에 대해서도 아시는지요?잘은 모르겠지만 리투아니아어에서 a가 ㅓ 발음이 난다는 말을 들은 것 같은데, 혹시 리투아니아어의 표기도 알고 계신가요? --Şilver ßullet (토론) 2010년 9월 1일 (수) 03:36 (KST)
저 사람이 폴란드인이라는데 iceager님이 표제어 이동시키고 알파벳 표제어는 삭제 시켜주실 수 있으신가요?Abcba (토론) 2010년 10월 23일 (토) 21:31 (KST) 성문 파열음이라는 것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요.아신다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타지크어에서 ъ라는 성문 파열음을 봤는데, 한글로 어떻게 표기해야할 지 의문이더군요. --Şilver ßullet (토론) 2010년 12월 29일 (수) 22:31 (KST)
kys951을 추방합시다요즘 사용자:kys951이 위키백과에서의 불법행위로 형사책임을 지게 되었는 데도 반성하기는 커녕 오히려 더 기고만장해져서 과거보다 더한 권한망용을 하고 있는 데 그동안 사용자:kys951가 숱하게 권한남용을 하여 위키백과의 물을 흐려온 적이 엄청 많아서 많은 사용자들이 위키백과를 떠나고 있는 데 그렇게 물의를 일으키고도 모자라 위키백과에서 불법행위를 하여 권한남용으로 위키백과사용자들에게 정신적상처를 준것 이상으로 피해자에게 큰 정신저피해를 주었는 데도 반성하기는 커녕 예전보다 더 설치고 있으니 그렇게 뻔뻔한 철면피가 더 있겠습니까? 혹시 님께서도 사용자:kys951의 권한남용을 아시면서도 같은 관리자라 묵인하신 것 아니에요?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1년 2월#사용자:kys951에 대한 관리자 회수 및 차단요청에 저의 주장을 납득할만한 내용이 있으니 읽어보시기 바라며 사용자:kys951에 대한 관리자회수는 물론 무기한차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위키백과에서 국법위반하고도 죄없다고 우기는 정말 뻔뻔한 인간인 사용자:kys951에게 더 이상 위키백과의 미래를 맡기면 안됩니다. 님의 현명한 조치를 기다리겠습니다.--Kazago (토론) 2011년 2월 7일 (월) 12:39 (KST) 관리 기능을 사용하고 계신가요?[4] 여기를 봤더니 총 관리 수가 3번밖에 되지 않으시네요. 혹시 관리자이신 것을 까먹고 계신것 같아 알려드립니다 :)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1년 12월 24일 (토) 08:02 (KST) Altostratus님 재선거 실시 여부에 투표 요청Altostratus님에 대한 관리자 선거에서 다중 계정 문제 때문에 당락이 바뀔 수도 있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백:관리자 선거 절차에 의거하여 위키백과:관리자 선거/Altostratus/3/재선거에서 Altostratus님 관리자 선거를 다시 실시할 것인지 실시하지 않을 것인지 관리자간에 투표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여기서 기권과 중립을 포함하여 투표에 참여한 관리자 과반수 이상이 재선거에 찬성을 하게 되면 Altostratus님에 대한 관리자 선거가 다시 열리게 됩니다. 이번 재선거에 대해 의견 부탁드립니다. ( 대량 메시지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콩가루 (토론)가 보낸 메시지)--MediaWiki message delivery (토론) 2015년 7월 17일 (금) 21:13 (KST) 요청을 검토해줄 관리자님이 없어 글을 남겨둡니다.실례하지만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16년 7월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6년 제26주의 요청을 확인 부탁드립니다. 일부 요청의 경우 답변없이 요청이 이행된 것도 있지만 미완료된 요청이 남아있습니다.--218.48.211.58 (토론) 2016년 7월 3일 (일) 19:29 (KST) 아일랜드어 한글표기법아일랜드어 한글표기법을 만들고 있습니다. 의견이 있으시면 답해주세요. Savtuprazan (토론) 2016년 9월 11일 (일) 02:10 (KST) 괜찮으시다면 분류:삭제 신청 문서 확인 부탁드립니다.다른 일에 바쁘시겠지만, 혹시 여유가 있으시다면 밀려있는 관리 업무를 처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왜인지는 몰라도 활동적인 관리자가 별로 없어서 관리 업무가 밀려있는 경우가 많습니다.--175.197.33.91 (토론) 2016년 9월 13일 (화) 11:40 (KST) 죄송하지만, 괜찮으시다면 관리 업무 부탁드리겠습니다.분류:삭제 신청 문서를 확인 후 처리해주실 분이 필요해 찾아왔습니다. 만약 괜찮으시다면 확인 부탁드립니다.--210.113.104.196 (토론) 2017년 7월 3일 (월) 17:23 (KST) 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 혹시 여유되시면 위키프로젝트토론:유럽사#복수 작위 소유자의 언어 문제, 앙주가와 플랜태저넷가의 기준 토론 참여 부탁드려요. Yoyoma88 (토론) 2017년 11월 29일 (수) 16:07 (KST)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8년 제10주에 있는 IP 관련 차단 요청 검토 부탁드립니다.계정 관련 차단 요청은 전부 처리되었지만 요청은 작성되었지만 IP로 나타나 문서 훼손 및 허위 편집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요청만 처리가 되지 않았습니다. 이런식으로 관리자님들 토론란에 찾아와 부탁하는건 싫지만 상황이 더 나빠져서 어쩔수 없이 간절히 요청하게 되었습니다. 죄송하지만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위키백과:사랑방 (기술)/2018년 3월 공용 IP로 나타나는 상습 훼손자들의 내용을 봐주십시오.--175.197.33.42 (토론) 2018년 3월 7일 (수) 18:07 (KST) 복수 작위 관련 토론 참여 요청복수 작위 관련 토론 참여 요청
지난 2017년에 복수 작위 관련 토론이 한 차례 있었습니다. 이번 "위키백과:문서 이동 요청/2018년 12월"에 사용자 간 복수 작위의 대표 표제어 선정에 이견이 있어, 당시 토론 참여자 분들의 의견을 묻고자 합니다. "위키프로젝트토론:유럽사"에서 의견을 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강철 (토론) 2018년 12월 17일 (월) 16:26 (KST) 비활동 관리자의 권한 회수와 관련한 안내2017년 10월에 종결된 비활동 관리자의 권한 회수에 관한 토론에 의거하여, 2년 이상 관리 행위가 없고, 기여가 25회 미만인 관리자에 대한 권한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토론에서 성립된 총의에 의거하여 귀하의 관리자 권한이 회수될 수 있음을 알립니다. 2020년 7월 15일까지 권한의 회수를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 표시가 없을 경우, 권한이 회수될 수 있습니다. 권한이 회수된 후에 권한을 다시 얻고자 하는 경우, 사랑방 또는 관리자 알림판에 권한의 복구를 요청할 수 있으며, 현직 관리자 3명이 권한의 회수에 동의하는 경우 권한의 복구가 이루어집니다. 이 권한의 회수는 순전히 절차적인 것이며, 귀하의 권한 미사용을 비난하거나 부정적인 인상을 남기고자 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동안의 관리자로써의 노력에 감사드립니다. — regards, Revi 2020년 7월 1일 (수) 01:36 (KST) 언어학 반스타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