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는(駐 타이베이 大韓民國 代表部,중국어 정체자 : 駐台北大韓民國代表部 )는 대한민국 -중화민국 단교와 함께 1993년 11월 대만 타이베이 에 개설된 대표부(연락사무소 )이다.[ 1] :523 《외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에 따른 정식 재외공관은 아니지만 관행적으로 인정된다.[ 2]
공관 연혁
1992년 9월 4일: 대한민국-중화민국 단교와 함께 주중화민국 대한민국 대사관 철수[ 3]
1993년 7월 27일: 한국-대만 오사카 회담. 대표부 상호설치 합의[ 4] [ 5]
1993년 11월 25일: 주타이베이 대표부 개설[ 6]
역대 공관장
역대 주타이베이 대표[ 1] :523
대수
사진
성명
임기
비고
1
한철수 (韓哲洙)
1993년 11월~1995년 12월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주대만 대사,주브라질 대사 역임[ 7]
2
강민수 (姜敏秀)
1996년 2월~1999년 2월
공군참모차장[ 8]
3
윤해중 (尹海重)
1999년 2월~2002년 2월
주일본 대사관 공사 ,주상하이 총영사 역임[ 9] :454 [ 10] :488
4
손 훈 (孫 薰)
2002년 2월~2004년 2월
주카메룬 대사, 주시애틀 총영사 역임[ 9] :342 [ 10] :373-374
5
황용식 (黃龍植)
2004년 3월~2006년 2월
주튀니지 대사[ 1] :515
6
오상식 (吳相式)
2006년 월~2008년 9월
주가봉 대사,주프랑스 대사관 공사 역임[ 11]
7
구양근 (具良根)
2008년 9월~2011년 9월
성신여자대학교 총장. 한국작가교수회 회장
8
정상기 (丁相基)
2011년 10월~2014년 4월
외교부 본부대사,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 외교부아시아태평양국장 역임[ 12] [ 13] [ 14]
9
조백상 (趙百相)
2014년 4월~2016년 11월
주베트남 대사관 공사 [ 15] ,주선양 총영사 역임[ 16]
10
양창수 (楊昌洙)
2016년 11월~2019년
외교통상부 유럽국장,주광저우 총영사 역임[ 17]
11
강영훈 (姜永勳)
2019년 5월~2021년 12월
외교부 남아시아태평양국장, 주호놀룰루 총영사 역임[ 18]
12
정병원 (鄭炳元)
2021년 12월~2023년 2월
주밴쿠버 총영사, 외교부 동북아시아국장,주독일 대사관 공사참사관[ 19]
13
이은호 (李殷鎬)
2023년 2월~
전략물자관리원 원장주아랍에미리트 대사관 공사참사관 주베트남 1등서기관
같이 보기
각주
↑ 가 나 다 (한국어)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 《한국 외교 60년》 (PDF) .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21일에 확인함 .
↑ (한국어) 《대만정부 초청 방문 보고서》 (PDF) , 대구광역시의회 , 2018년 4월, 23쪽, 2019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 (한국어) 《외무부와그소속기관직제 (시행 1992.9.4.) (대통령령 제13725호, 1992.9.4., 일부개정)》 , 국가법령정보센터 , 1992년 9월 4일, 2017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영어) Lung-chu Chen (1997). 〈Prospects for Taiwan's Membership in the United Nations〉. Maysing H. Yang. 《Taiwan's Expanding Role in the International Arena》. M.E. Sharpe. 10쪽. ISBN 1-56324-968-5 .
↑ (한국어) 《국가/지역 정보: 대만》 , 대한민국 외교부 , 2018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4일에 확인함
↑ (한국어) “駐대만 한국대표부 개소”. 동아일보 . 1993년 11월 26일. 2면.
↑ (영어) 《Korea Annual 1992》 29 Annual판. Yonhap News Agency . 1992. 580쪽.
↑ (영어) 《Korea Annual 1998》 35 Annual판. Yonhap News Agency . 1992. 572쪽.
↑ 가 나 (한국어) 丘月煥, 편집. (1998년 4월 30일). 《韓國人名辭典 (聯合年鑑 1998년판 별책)》. 聯合通信 .
↑ 가 나 (한국어) 오철호, 편집. (1999년 4월 30일). 《한국인명사전 (연합연감 1999년판 별책)》. 연합뉴스 .
↑ (한국어) “한국인물정보” . 비전코리아. 2017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8일에 확인함 .
↑ (한국어) “정상기 전 대사, 외교안보연구소 중국연구센터 소장으로 위촉” .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연구행정과 》. 대한민국 외교부 . 2015년 6월 18일. 2018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한국어) “정상기 센터 소장 약력” .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 대한민국 외교부 . 2015년 6월 18일. 2018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한국어) 오재범 (2007년 1월 26일). “동포와 함께 하는 '준비된 영사' 제 3회 발로 뛰는 영사상 수상자 정상기 총영사” . 재외동포신문. 2018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한국어) “국방부, 국제정책관에 조백상씨 임명” . MBN뉴스 . 2009년 2월 23일. 2018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한국어) “공관연혁” . 주 선양 대한민국 총영사관. 2018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한국어) 강정숙 (2015년 10월 19일). “〔아주초대석〕 양창수 경기도 국제관계 대사 "중국과 '번영지교' 모델 만들어야" ” . 아주경제 . 2016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 (한국어/영어) 대한민국 외교부 인사운영팀 (2019년 5월 3일), 〈강영훈(국영문).pdf〉 , 《공관장이력서 주타이베이대표부》 , 대한민국 외교부 , 2019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1일에 확인함
↑ 〈이력서 .hwp〉 , 《배포 즉시 보도해주시기 바랍니다 〔제16-151호 보도자료〕》 , 대한민국 외교부 인사기획관실, 2016년 3월 10일, 2022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8일에 확인함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사관 총영사관 분관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파키스탄
필리핀
호주
출장소
아메리카 지역
유럽 지역
대사관 총영사관
독일
러시아
스페인
이탈리아
카자흐스탄
튀르키예
분관 출장소
중동 지역
아프리카 지역
대표부 없어진 공관
1. 재외공관장의 직무등급은 해당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대외비밀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2. 차관급 이상의 예우를 받는 13개 재외공관장[1] 중 6자 회담 참가국 및 국제기구의 재외공관장인 미국 대사, 중국 대사, 러시아 대사, 일본 대사, UN 대표, OECD 대표 등 6개 재외공관장은 장관급 예우를, 벨기에 대사 겸 유럽 연합·NATO 대표, 영국 대사, 프랑스 대사, 독일 대사, 인도 대사, 제네바 대표, ASEAN 대표 등 기타 주요국 대사들은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
3. 대한민국 재외공관 중 대사관은 191개국에, 대표부는 5개국에, 총영사관은 45개가 설치되어 있다. 다만, 대사관은 겸임 지역을 제외하면 125개국에 한정된다.
4. 몬트리올 총영사관은 국제민간항공기구 대표부를, 네덜란드 대사관은 헤이그 국제 기구 대표부를, 벨기에 대사관은 유럽연합 대사관·북대서양 조약 기구 대표부를, 영국 대사관은 국제 해사 기구 대표부를, 오스트리아 대사관은 빈 국제 기구 대표부를, 에티오피아 대사관은 아프리카 연합 대표부를 각각 겸임한다.
5. 대한민국이 독립국으로 승인하지 않은 나라에 설치된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대만 소재),
주팔레스타인 대한민국 대표사무소 (팔레스타인 소재)는 다른 대표부와 달리 정식 재외공관은 아니지만 관행적으로 인정된다.
[2]
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국제 기구 과거에 있었던 공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