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駐香港大韓民國總領事館, 광둥어 : 大韓民國駐香港總領事館 , 영어 :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Hong Kong )는 1949년 홍콩 에 개설된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의 총영사관 이다. 이 총영사관은 대한민국 건국 후 최초의 재외공관 중의 하나다.[ 1] [ 2]
연혁
역대 공관장
주 홍콩 대한민국 공관의 역대 공관장은 다음과 같다.[ 3]
영사
대수
이 름
임기 개시
임기 종료
비고
1
차균찬(車均燦)
1949년 4월 16일
1949년 5월 11일
2
김용식 (金溶植)
1949년 8월 11일
1949년 11월 27일
총영사
대수
이 름
임기 개시
임기 종료
비고
1
이정방(李鼎邦)
1949년 11월 27일
1952년 12월 20일
2
박창준(朴昌俊)
1952년 12월 20일
1956년 8월 23일
3
강춘희(姜春熙)
1956년 8월 23일
1960년 11월 12일
4
최문경 (崔文卿)
1961년 3월 8일
1962년 7월 11일
5
문덕주(文德周)
1962년 7월 11일
1964년 10월 19일
6
진필식(陳弼植)
1964년 11월 1일
1966년 11월 3일
7
장상문(張相文)
1966년 11월 4일
1967년 10월 31일
8
윤경도(尹慶道)
1967년 11월 5일
1972년 1월 9일
9
박창남(朴昌南)
1972년 1월 10일
1974년 2월 14일
10
이수우(李秀佑)
1974년 2월 15일
1977년 8월 30일
11
이창수(李昌洙)
1977년 9월 1일
1980년 12월 20일
12
김태지 (金太智)
1981년 3월 31일
1984년 5월 20일
13
김정훈(金正勳)
1984년 6월 1일
1985년 10월 18일
14
김재춘(金在春)
1985년 10월 18일
1987년 10월 29일
15
김이명(金以銘)
1987년 11월 5일
1990년 6월 30일
16
정민길(鄭旼吉)
1990년 7월 5일
1993년 4월 30일
17
남홍우(南洪祐)
1993년 5월 5일
1996년 3월 15일
18
박양천(朴楊千)
1996년 3월 20일
1998년 4월 15일
19
신두병(申斗柄)
1998년 5월 4일
2000년 12월 31일
20
김광동(金光東)
2001년 2월 14일
2002년 1월 19일
21
강근택 (姜根鐸)
2002년 2월 26일
2004년 9월 6일
22
조환복(趙煥復)
2004년 9월 13일
2007년 3월 2일
23
석동연(石東演)
2007년 3월 21일
2010년 3월 6일
24
전옥현 (全玉鉉)
2010년 3월 8일
2012년 9월 16일
25
조용천(趙鏞天)
2012년 9월 19일
2015년 3월 25일
26
김광동(金光東)
2015년 4월 18일
2017년 9월 19일
27
김원진(金元辰)
2018년 1월 10일
2020년 12월 1일
28
백용천(白龍天)
2020년 12월 8일
2023년 5월 19일
29
유형철(柳泂喆)
2023년 5월 26일
2025년 7월 13일
같이 보기
각주
↑ 徐莉吟 , 편집. (2009년 8월 14일). “韓國文化館歡迎香港市民” (중국어 (홍콩)). 홍콩: 대공보. A22면.
↑ “보관된 사본” ‘Ties between Korea, H.K. robust’ (영어). The Korea Herald . 2010년 7월 4일. 2016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총영사관 약사” .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2018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Chae-ho Chŏng (2007). Between Ally and Partner: Korea-China Relations and the United States (영어). Columbia University Press . 50쪽. ISBN 9780231139069 .
↑ 漢城二十九日電 (1985년 3월 30일). 加強與中共貿易 韓決大幅擴充駐香港領事館 (중국어 (대만)). 대만 : 경제일보. 6면.
↑ 关于我与大韩民国就韩国在香港特区保留总领事馆问题换文的备案函 (중국어 간체),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 1997년 5월 28일, 外领五函[1997]第104号
↑ 가 나 “주홍콩총영사관 부임자 안내서” (PDF) .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2011. 2016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30일에 확인함 .
외부 링크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사관 총영사관 분관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파키스탄
필리핀
호주
출장소
아메리카 지역
유럽 지역
대사관 총영사관
독일
러시아
스페인
이탈리아
카자흐스탄
튀르키예
분관 출장소
중동 지역
아프리카 지역
대표부
없어진 공관
차관급 이상의 예우를 받는 13개 재외공관장 중 6자 회담 참가국 및 국제기구의 재외공관장인 미국 대사, 중국 대사, 러시아 대사, 일본 대사, UN 대표, OECD 대표 등 6개 재외공관장은 장관급 예우를, 벨기에 대사 겸 유럽 연합·NATO 대표, 영국 대사, 프랑스 대사, 독일 대사, 인도 대사, 제네바 대표, ASEAN 대표 등 기타 주요국 대사들은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 대한민국이 독립국으로 승인하지 않은 나라들에 설치된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대만 소재),
주팔레스타인 대한민국 대표사무소 (팔레스타인 소재)는 정식 재외공관이 아니기 때문에 제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