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관
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아랍어: سفارة جمهورية كوريا في ليبيا)은 리비아 트리폴리에 위치하고 있는 대한민국 대사관이다. 역사대한민국은 1978년 1월 23일에 리비아와 영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며 1980년 12월 29일에 대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8년 5월 6일에 주트리폴리 대한민국 총영사관을 설립했는데 1980년 12월 29일을 기해 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1] 리비아 정부는 무아마르 알 카다피 정권(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시대였던 1981년 11월 26일에 대한민국 서울에 주한 리비아 국민사무소(주한 리비아 인민사무소, 현재의 주한 리비아 대사관)를 설립했다.[주해 1][1][2] 2011년에 일어난 리비아 내전으로 인하여 리비아 반군을 지원해 온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나토)가 리비아를 공습했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는 2011년 5월 30일에 리비아 트리폴리 주재 대사관을 임시 폐쇄하고 튀니지 제르바섬으로 임시 이전했다.[3] 2011년 8월에는 리비아 반군이 리비아의 수도인 트리폴리를 함락했고 대한민국 정부도 2011년 8월 23일에 공개된 공식 성명을 통해 카다피 정권에 반대하던 세력들이 창설한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를 리비아를 대표하는 합법 정부로 공식 승인했다.[4][5] 2011년 9월 6일에는 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이 트리폴리로 복귀했다.[6] 하지만 대한민국 정부는 2014년 7월 28일에 민병대, 이슬람 무장 조직 간의 교전에 따른 치안 악화로 인하여 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근무하던 일부 공관원들을 튀니지로 임시 철수한다고 결정했다.[7] 또한 2014년 7월 30일에는 리비아를 《여권법》에 따른 여행 금지 국가로 지정했다.[8][9] 2019년 4월 12일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리비아의 정세 불안을 고려하여 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을 튀니지 튀니스에 위치한 임시 사무소로 철수한다고 밝혔다.[10][11] 사건2010년 6월에는 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근무하던 국가정보원 소속 정보 담당 직원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 일가, 리비아 정부 요인, 리비아군이 소유한 무기를 비롯한 군사 정보에 대한 첩보 활동을 벌인 사실이 발각되어 리비아 정부로부터 페르소나 논 그라타(Persona non grata, 기피 인물)로 지정되어 추방당하는 사태가 벌어졌다.[12] 이에 리비아 정부는 2010년 6월 24일을 기해 주한 리비아 경제협력사무소의 업무를 중단했다.[13][14] 그러다가 2010년 10월 1일에 이명박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리비아를 방문한 이상득 국회의원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와의 만남을 통해 대한민국과 리비아 간의 외교 관계 정상화에 합의했고 리비아 정부도 2010년 10월 8일을 기해 주한 리비아 경제협력사무소의 업무를 정상화했다.[15] 2015년 4월 12일에는 리비아 트리폴리에 위치한 대한민국 대사관이 무장 괴한의 총격을 받은 사건이 일어났는데 처음에는 이슬람 수니파 무장 조직인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트리폴리 지부의 소행으로 추정되었다.[16][17] 이 사건으로 경비원 2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을 입었으나 한국인의 피해는 없었다.[18] 대한민국 정부는 성명을 내고 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관 공격을 규탄하고 희생자들을 애도한다고 밝혔다.[19][20] 2015년 4월 14일에 리비아 트리폴리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을 튀니지로 잠정 철수한다고 밝혔다.[21] 그러나 외교부가 튀니지에 있다고 밝힌 이종국 주리비아 대사가 사실은 인사발령에 따라 대한민국으로 귀국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논란을 빚었다.[22][23] 2015년 5월 25일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리비아 정부로부터 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관 총격 사건을 일으킨 범인 2명이 체포되었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리비아 경찰은 조사 결과를 통해 이번 사건은 경비원들과 범인들 간의 개인적인 관계에 따른 소행이며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와의 연계, 정치적인 동기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밝혔다.[24][25] 역대 대사주트리폴리 대한민국 총영사
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
같이 보기각주내용주참고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