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재외공관 설치 지역
이 문서는 대한민국 재외공관 을 나열한 목록이다. 수교 중인 194개 국가 중 122개 국가에 대사관을, 46개 지역에 총영사관을, 14개 지역에 분관(영사관에 해당함)을, 7개 지역에 출장소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명칭
위치
관할 구역
개설일
겸임 지역
주네팔 대사관
Ravi bhawan Tahachal, Kathmandu
네팔
1970년 5월 11일 네팔 총영사관 개설[ 1]
1972년 3월 20일 카트만두 총영사관으로 개편[ 2]
1974년 7월 15일 네팔 대사관으로 승격[ 3]
주뉴질랜드 대사관
2 Hunter Street, Wellington 6011
뉴질랜드
니우에 사모아 쿡 제도 통가
주오클랜드 분관
Level 12, Tower 1, 205 Queen Street, Auckland Central
[ 내용 1]
주동티모르 대사관
Avenida de Portugal, Campo Alor, Dom Aleixo, Dili
동티모르
주라오스 대사관
Lao-Thai Friendship Road, Ban Watnak, Sisattanak District
라오스
1973년 11월 13일 비엔티안 통상대표부 개설[ 7]
1974년 8월 14일 라오스 대사관으로 승격[ 8]
1977년 8월 27일 폐쇄[ 9]
1996년 6월 29일 재개설[ 10]
주말레이시아 대사관
No. 9 & 11, Jalan Nipah, Off Jalan Ampang, 55000 Kuala Lumpur
말레이시아
주코타키나발루 분관
L7.02, Level 7, Plaza Shell, 29 Jalan Tunku Abdul Rahman, 88000 Kota Kinabalu, Sabah
[ 내용 2]
주몽골 대사관
Mahatma Gandhi street-39, Khan-Uul district-15, Ulaanbaatar-17011
몽골
주미얀마 대사관
No.97, University Avenue Road, Bahan Township, P.O.Box 1408, Yangon
미얀마
1962년 9월 11일 랑군 총영사관 개설[ 14]
1975년 6월 25일 미얀마 대사관으로 승격[ 15]
주방글라데시 대사관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4 Madani Avenue, Baridhara, Dhaka-1212
방글라데시
부탄
주베트남 대사관
28th Fl., Lotte Center Hanoi, 54 Lieu Giai St., Ba Dinh District, Hanoi
베트남
주다낭 총영사관
Tang 3-4, Lo A1-2 Chuong Duong, P.Khue My, Q.Ngu Hanh Son, TP.Da Nang
[ 내용 3]
주호찌민 총영사관
107 Nguyen Du, Dist 1, HCMC
[ 내용 4]
주브루나이 대사관
Lot No 24160, Simpang 336, Diplomatic Enclave, Jalan Kebangsaan, Kampong Kianggeh
브루나이
1983년 9월 22일 반다르스리브가완 총영사관 개설[ 20]
1984년 1월 1일 브루나이 대사관으로 승격[ 21]
주스리랑카 대사관
No. 98 Dharmapala Mawatha, Colombo 7
스리랑카
1972년 9월 1일 콜롬보 통상대표부 개설[ 22]
1977년 11월 15일 스리랑카 대사관으로 승격[ 23]
몰디브
주싱가포르 대사관
47 Scotts Road #08-00 Goldbell Towers Singapore 228233
싱가포르
1970년 12월 31일 싱가포르 통상경제대표부 개설[ 24]
1971년 8월 19일 싱가포르 총영사관으로 개편[ 4]
1975년 9월 29일 싱가포르 대사관으로 승격[ 25]
주아프가니스탄 대사관
House No. 34, Street No. 10, Wazir Akbar Khan, Kabul, Afghanistan[ 내용 5]
아프가니스탄
1974년 11월 4일 개설[ 26]
1980년 9월 12일 폐쇄[ 27]
2002년 8월 8일 재개설[ 6]
주인도 대사관
9 Chandragupta Marg, Chanakyapuri Extension, New Delhi - 110021
인도 [ 내용 6]
1962년 4월 24일 뉴델리 총영사관 개설[ 28]
1974년 1월 28일 인도 대사관으로 승격[ 16]
주뭄바이 총영사관
Dr. E Moses Road, Worli Naka, Mumbai 400018
[ 내용 7]
1980년 5월 22일 개설[ 29]
1982년 3월 1일 폐쇄[ 30]
1996년 6월 29일 재개설[ 10]
2001년 7월 1일 뭄바이 분관으로 강등[ 31] [ 32]
2005년 12월 9일 뭄바이 총영사관으로 승격[ 33]
주첸나이 총영사관
Dr. Radha Krishnan Road, Mylapore, Chennai 600 004
[ 내용 8]
주인도네시아 대사관
Jalan Jenderal Gatot Subroto Kav. 57 Jakarta 12950
인도네시아
1966년 11월 7일 자카르타 총영사관 개설[ 35]
1973년 10월 19일 인도네시아 대사관으로 승격[ 36]
주발리 분관
Jalan Prof. Moh. Yamin No.8, Kelurahan Sumerta Kelod, Kec,Denpasar Timur, Kota Denpasar, Bali 80239
[ 내용 9]
주일본 대사관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 1-2-5
일본 [ 내용 10]
1949년 1월 14일 일본 대표부 개설[ 38]
1965년 2월 18일 일본 대사관으로 승격[ 39]
주고베 총영사관
효고현 고베시 주오구 나카야마테길 2-21-5
[ 내용 11]
1966년 1월 27일 고베 영사관 개설[ 40]
1974년 5월 7일 고베 총영사관으로 승격[ 41]
2001년 7월 1일 고베 출장소로 강등[ 31] [ 32]
2008년 7월 3일 고베 총영사관으로 승격[ 42]
주나고야 총영사관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메이에키미나미 1-19-12
[ 내용 12]
1966년 1월 27일 나고야 영사관 개설[ 40]
1974년 5월 7일 나고야 총영사관으로 승격[ 41]
주니가타 총영사관
니가타현 니가타시 주오구 반다이지마 5-1
[ 내용 13]
주삿포로 총영사관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 기타2조 니시12초메 1-4
[ 내용 14]
주센다이 총영사관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가미스기1초메 4-3
[ 내용 15]
1966년 1월 27일 센다이 영사관 개설[ 40]
1980년 5월 22일 센다이 총영사관으로 승격[ 29]
주오사카 총영사관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 니시신사이바시 2-3-4
[ 내용 16]
오사카 출장소 개설 (날짜 불명)
1966년 1월 27일 오사카 총영사관으로 승격[ 40]
주요코하마 총영사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나카구 야마테 118
[ 내용 17]
1966년 1월 27일 요코하마 영사관 개설[ 40]
1974년 5월 7일 요코하마 총영사관으로 승격[ 41]
주후쿠오카 총영사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주오구 지교하마 1-1-3
[ 내용 18]
후쿠오카 출장소 개설 (날짜 불명)
1966년 1월 27일 후쿠오카 총영사관으로 승격[ 40]
주히로시마 총영사관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미나미구 히가시고진정 4-22
[ 내용 19]
1966년 1월 27일 시모노세키 영사관 개설[ 40]
1980년 5월 22일 시모노세키 총영사관으로 승격[ 29]
1996년 6월 29일 히로시마 총영사관으로 개편[ 10]
주중국 대사관
베이징시 차오양구 둥팡둥로 20호
중화인민공화국 [ 내용 20]
주광저우 총영사관
광둥성 광저우시 하이주구 赤岗领事馆区友邻三路18号
[ 내용 21]
주상하이 총영사관
상하이시 장녕구 만산로 60호
[ 내용 22]
주선양 총영사관
랴오닝성 선양시 허핑구 南13纬路 37号
[ 내용 23]
1999년 3월 2일 선양 사무소 개설[ 46]
2003년 4월 17일 선양 총영사관으로 승격[ 47]
주다롄 출장소
랴오닝성 다롄시 중산구 런민로 23호
[ 내용 24]
주시안 총영사관
산시성 시안시 고신기술산업개발구 과기로 33
[ 내용 25]
주우한 총영사관
후베이성 우한시 장한구 신화로 218
[ 내용 26]
주청두 총영사관
쓰촨성 청두시 东御街18号百扬大厦14楼
[ 내용 27]
주칭다오 총영사관
산둥성 칭다오시 청양구 춘양로 88
[ 내용 28]
주홍콩 총영사관
홍콩 金鐘夏慤道 16
[ 내용 29]
1949년 5월 1일 홍콩 영사관 개설[ 53]
1962년 9월 11일 홍콩 총영사관으로 승격[ 14]
주캄보디아 대사관
Phum No.14, Sangkat Tonle Bassac, Khan Chamkarmon, Phnom Penh
캄보디아
1962년 9월 11일 프놈펜 총영사관 개설[ 14]
1967년 1월 31일 폐쇄[ 54]
1996년 6월 29일 캄보디아 대표부 개설[ 10]
1998년 2월 28일 캄보디아 대사관으로 승격[ 55]
주시엠립 분관
Sokha Siem Reap Resort&Convention Center, St. 60, Phum Trang, Sangkat Slorkram, Siem Reap
[ 내용 30]
주태국 대사관
23 Thiam-Ruammit Road, Ratchadapisek, Huay-Kwang, Bangkok 10310
태국
1959년 1월 20일 태국 공사관 개설[ 57]
1960년 8월 30일 태국 대사관으로 승격[ 57]
주파키스탄 대사관
Block 13, Street 29, G-5/4, Diplomatic Enclave II, Islamabad
파키스탄
1968년 3월 12일 라왈핀디 총영사관 개설[ 58]
1968년 9월 11일 이슬라마바드 총영사관으로 개편[ 59]
1983년 11월 21일 파키스탄 대사관으로 승격[ 60]
주카라치 분관
101, 29th Street(Off. Khayaban-e-Mohafiz) Phase VI, DHA, Karachi, Pakistan
[ 내용 31]
1983년 11월 21일 카라치 총영사관 개설[ 60]
1999년 1월 1일 카라치 분관으로 강등[ 61] [ 62]
주파푸아뉴기니 대사관
Section 21 Allotments 2 & 3, Champion Parade, Granville, Port Moresby
파푸아뉴기니
1975년 4월 4일 포트모르즈비 영사관 개설[ 63]
1981년 7월 25일 파푸아뉴기니 대사관으로 승격[ 64]
바누아투 솔로몬 제도
주피지 대사관
Victoria Parade, Suva
피지
나우루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키리바시 투발루
주필리핀 대사관
122 Upper McKinley Road, McKinley Town Center, Fort Bonifacio, Taguig city 1634
필리핀
1954년 1월 19일 필리핀 공사관 개설[ 65]
1958년 2월 1일 필리핀 대사관으로 승격[ 65]
팔라우
세부 분관
Lot 2, Samar Loop Cor. Road 5, Cebu Business Park, Mabolo, Cebu City
[ 내용 32]
주호주 대사관
113 Empire Circuit, Yarralumla ACT 2600
오스트레일리아 (호주)[ 내용 33]
1953년 3월 시드니 총영사관 개설[ 67]
1962년 1월 23일 호주 대사관으로 승격[ 67]
주시드니 총영사관
Level 10, 44 Market Street Sydney NSW 2000
[ 내용 34]
주브리즈번 출장소
[ 내용 35]
주멜번 분관
Level 10, 636 St Kilda Rd, Melbourne VIC 3004
[ 내용 36]
아메리카 지역
명칭
위치
관할 구역
개설일
겸임 지역
주과테말라 대사관
5 Avenida 5-55 Zona 14, Edificio Europlaza, Torre 3, Nivel 7, Ciudad de Guatemala
과테말라
주니카라과 대사관
Edificio Invercasa Torre III 5to Piso Frente al Hospital Monte España, Managua
니카라과
1981년 7월 25일 개설[ 64]
1990년 10월 30일 폐쇄[ 70]
2007년 7월 19일 재개설[ 71]
주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
Avenida Enriquillo No. 75, Urbanización Real, Santo Domingo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 바하마 세인트키츠 네비스 아이티 앤티가 바부다
주멕시코 대사관
Lopez Diaz de Armendariz 110, Col. Lomas de Virreyes Deleg Miguel Hidalgo, Mexico D.F
멕시코
자메이카
킹스턴 분관[ 내용 37]
5 Oakridge Kingston 8 Jamaica W.I
자메이카
주미국 대사관
2450 Massachusetts Avenue N.W. Washington, D.C. 20008
미국 [ 내용 38]
주뉴욕 총영사관
460 Park Ave.(bet.57th & 58th St.) New York, NY 10022
[ 내용 39]
1949년 4월 1일 뉴욕 총영사관 개설[ 74]
1966년 1월 27일 뉴욕 영사관으로 강등[ 40]
1969년 6월 26일 뉴욕 총영사관으로 승격[ 75]
주필라델피아 출장소
1500 John F. Kennedy Boulevard. Suite 1830 Philadelphia, PA 19102
[ 내용 40]
주로스앤젤레스 총영사관
3243 Wilshire Blvd, Los Angeles, CA 90010
[ 내용 41]
주보스턴 총영사관
300 Washington Street (One Gateway Center), Suite 251. Newton, MA 02458
[ 내용 42]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3500 Clay Street, San Francisco, CA 94118
[ 내용 43]
주시애틀 총영사관
115 W Mercer St. Seattle, WA 98119
[ 내용 44]
주앵커리지 출장소
800 E. Dimond Blvd., STE 3-695, ANCHORAGE, AK 99515
[ 내용 45]
1980년 5월 22일 앵커리지 총영사관 개설[ 29]
1999년 4월 1일 폐쇄[ 61]
2008년 8월 4일 앵커리지 출장소 개설[ 72]
주시카고 총영사관
NBC Tower Suite 2700, 455 N. Cityfront Plaza Dr. Chicago, IL 60611
[ 내용 46]
1968년 4월 26일 시카고 영사관 개설[ 81]
1969년 6월 26일 시카고 총영사관으로 승격[ 75]
주애틀랜타 총영사관
229 PEACHTREE STREET NE, SUITE 2100, INTERNATIONAL TOWER, ATLANTA, GA 30303
[ 내용 47]
주호놀룰루 총영사관
2756 Pali Highway Honolulu, Hawaii 96817
[ 내용 48]
주하갓냐 출장소
153 Zoilo St., Tamuning, Guam 96913
[ 내용 49]
1974년 5월 7일 하갓냐 영사관 개설[ 41]
1977년 2월 9일 하갓냐 총영사관으로 승격[ 84]
1999년 3월 1일 하갓냐 출장소로 강등[ 61] [ 62]
주휴스턴 총영사관
1990 Post Oak Blvd. #1250, Houston, TX 77056
[ 내용 50]
주댈러스 출장소
14001 Dallas Parkway Ste.450 (4층), Dallas, TX 75240
[ 내용 51]
주베네수엘라 대사관
Av. Francisco de Miranda, Centro Lido, Torre B, Piso 9, Ofic.91-92-B, El Rosal, Caracas
베네수엘라
수리남
주볼리비아 대사관
Calacoto calle #13, Edificio Torre Lucia 4-5 Piso, La Paz
볼리비아
주브라질 대사관
SEN - Av. das Nações, Lote 14 Asa Norte, 70800-915, Brasilia-DF
브라질 [ 내용 52]
주상파울루 총영사관
Av. Paulista,37 (Alameda Santos,74), 8˚andar cj. 81 - Bela Vista, Sao Paulo
[ 내용 53]
주아르헨티나 대사관
Av. del Libertador 2395, Ciudad Autónoma de Buenos Aires (C1425AAJ)
아르헨티나
주에콰도르 대사관
Av. 12 de Octubre 1942 y Cordero Edificio World Trade Center, Torre B, Piso 3, Quito
에콰도르
주엘살바도르 대사관
Calle El Mirador y 87 Av. Nte. Edificio Torre Futura, Nivel 14, Local 5, Col. Escalon, San Salvador
엘살바도르
벨리즈
주온두라스 대사관
Metrópolis Torre 2, piso 15, Blvd. Suyapa, frente a Televicentro, Tegucigalpa
온두라스
주우루과이 대사관
Av. Luis Alberto de Herrera 1248, Torre II, Piso10 WTC, C.P. 11300, Montevideo
우루과이
1966년 7월 12일 개설[ 92]
1998년 9월 1일 폐쇄[ 93]
2002년 8월 8일 재개설[ 6]
주칠레 대사관
Alcántara 74, Las Condes, Santiago
칠레
주캐나다 대사관
150 Boteler Street, Ottawa, Ontario
캐나다 [ 내용 54]
주몬트리올 총영사관 겸 주국제 민간 항공 기구 대표부
1250 René-Lévesque Boulevard West, Suite 3600, Montreal, Quebec
[ 내용 55]
주밴쿠버 총영사관
Suite 1600, 1090 West Georgia Street Vancouver, British Columbia
[ 내용 56]
주토론토 총영사관
555 Avenue Road, Toronto, Ontario
[ 내용 57]
주코스타리카 대사관
Urbanización Trejos Montealegre, San Rafael de Escazú, San Jose
코스타리카
주콜롬비아 대사관
Calle 94 No.9-39, Bogota
콜롬비아
주쿠바 대사관
5ta Avenida entre Calle 76 y 78, Edificio Barcelona, Oficina 301, Centro de Negocios Miram ar, Playa, La Habana
쿠바
2024년 7월 2일 개설 결정[ 95]
2025년 1월 17일 임시 대사 체제로 개관
주트리니다드 토바고 대사관
#36 Elizabeth Street, St. Clair, Port of Spain
트리니다드 토바고
가이아나 그레나다 바베이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주파나마 대사관
Calle 50, Torre Global Bank, Piso 30, Oficina3002, Obarrio, Panama
파나마
주파라과이 대사관
Avda. República Argentina 678 esq. Pacheco, Asunción
파라과이
주페루 대사관
Calle Guillermo Marconi 165, San Isidro, Lima
페루
유럽 지역
명칭
위치
관할 구역
개설일
겸임 지역
주교황청 대사관
VIA DELLA MENDOLA 109, 00135, ROME
바티칸 시국 (교황청 )[ 내용 58]
주그리스 대사관
2-4 Messogion Avenue, 115 27, Athens
그리스
알바니아 키프로스
주네덜란드 대사관
Verlengde Tolweg 8, 2517 JV The Hague
네덜란드
주노르웨이 대사관
Inkognitogata 3, 0258 Oslo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주덴마크 대사관
Svanemøllevej 104, DK-2900 Hellerup
덴마크
주독일 대사관
Stülerstr. 10, 10787 Berlin
독일 [ 내용 59]
주프랑크푸르트 총영사관
Lyoner Str. 34, 60528 Frankfurt
[ 내용 60]
주함부르크 총영사관
Kaiser-Wilhelm-Str. 9 (3.OG), 20355 Hamburg
[ 내용 61]
1965년 3월 30일 함부르크 영사출장소 개설[ 89]
1966년 1월 27일 함부르크 총영사관으로 승격[ 40]
1999년 4월 1일 폐쇄[ 61]
2007년 7월 19일 재개설[ 71]
주본 분관
Godesberger Allee. 142-148, 53175 Bonn
[ 내용 62]
주라트비아 대사관
2 Jura Alunana Street, LV-1010, Riga
라트비아
2012년 2월 22일 리가 분관 개설[ 102]
2019년 3월 26일 라트비아 대사관으로 승격[ 18]
주러시아 대사관
St. Plyushchikha 56 bldg 1, Moscow
러시아 [ 내용 63]
1990년 10월 30일 소련 대사관 개설[ 70]
1992년 7월 31일 러시아 대사관으로 개편[ 103]
아르메니아
주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관
Pologaya St. 19, 690091, Vladivostok
[ 내용 64]
주유즈노사할린스크 출장소
283 Bm Lenin St., Yuzhno-Sakhalinsk
[ 내용 65]
주상트페테르부르크 총영사관
St. Nekrasova 32-a, Saint-Petersburg
[ 내용 66]
주이르쿠츠크 총영사관
Gegarin Boulevard, Irkustk
[ 내용 67]
주루마니아 대사관
Calea Floreasca, No.246C. Etaj 33, Sector 1, Bucarest
루마니아
주룩셈부르크 대사관
L-1142 Luxembourg, 5, rue Pierre d’Aspelt
룩셈부르크
2023년 11월 7일 개설 결정[ 105]
2024년 9월 12일 정식 개관
주리투아니아 대사관
Liubarto g. 33, Vilnius, LT-08117
리투아니아
2023년 11월 7일 개설 결정[ 105]
2024년 10월 8일 정식 개관
주벨기에·유럽 연합 대사관 겸 주북대서양 조약 기구 대표부
Chaussée de la Hulpe 173-175, 1170 Brussels(Watermael-Boitsfort)
벨기에
주벨라루스 대사관
Ave. Pobediteley 59, 5th Floor, Minsk
벨라루스
주불가리아 대사관
Dragan Tsankov Blvd 36, Interpred, Fl. 7A, 1057, Sofia
불가리아
북마케도니아
주세르비아 대사관
Miloša Savčića 4, 11040 Belgrade
세르비아
1990년 1월 30일 유고슬라비아 대사관 개설[ 106]
1998년 9월 1일 폐쇄[ 93]
2002년 2월 4일 유고슬라비아 대사관 재개설[ 107]
2003년 4월 17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대사관으로 개편[ 47]
2007년 2월 1일 세르비아 대사관으로 개편[ 108]
몬테네그로
주스웨덴 대사관
Laboratoriegatan 10, 115 27 Stockholm
스웨덴
주스위스 대사관
Kalcheggweg 38, 3000 Bern 15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주스페인 대사관
C/ González Amigó 15, 28033 Madrid
스페인
안도라
주바르셀로나 총영사관
Passeig de Gracia 103, 3ª P, 08008, Barcelona
[ 내용 68]
주라스팔마스 분관
Luis Doreste Silva 60, 1ª P, 35004, Las Palmas de Gran Canaria
[ 내용 69]
1973년 10월 19일 라스팔마스 영사관 개설[ 36]
1976년 6월 17일 라스팔마스 총영사관으로 승격[ 112]
1999년 4월 1일 라스팔마스 분관으로 강등[ 61] [ 62]
주슬로바키아 대사관
Štúrova 16, 811 02 Bratislava
슬로바키아
주슬로베니아 대사관
Gosposvetska cesta 11, 1000 Ljubljana
슬로베니아
2023년 11월 7일 개설 결정[ 105]
2025년 2월 20일 정식 개관
주아일랜드 대사관
15 Clyde Road, Ballsbridge, Dublin 4, D04 EN28
아일랜드
주아제르바이잔 대사관
H.Aliyev str., Cross 1, House 12, Baku
아제르바이잔
주에스토니아 대사관
Liivalaia 13, 4.korrus, 10118 Tallinn
에스토니아
2023년 11월 7일 개설 결정[ 105]
2024년 8월 29일 정식 개관
주영국 대사관 겸 주국제 해사 기구 대표부
60 Buckingham Gate, London SW1E 6AJ
영국
1950년 2월 17일 영국 공사관 개설[ 113]
1957년 6월 13일 영국 대사관으로 승격[ 113]
주오스트리아 대사관 겸 주빈 국제 기구 대표부
Gregor Mendel Strasse 25, A-1180, Vienna
오스트리아
코소보
주우즈베키스탄 대사관
Afrosiab st. 7, Tashkent, 100029
우즈베키스탄
주우크라이나 대사관
12, Striletska St., Kyiv
우크라이나
몰도바
주이탈리아 대사관
Via Barnaba Oriani, 30 - 00197 Roma
이탈리아 [ 내용 70]
1957년 9월 이탈리아 공사관 개설[ 114]
1959년 4월 16일 이탈리아 대사관으로 승격[ 114]
바티칸 시국 (영사 업무에 한함) 몰타 산마리노
주밀라노 총영사관
Piazza Cavour 3, 20121 - Milano
[ 내용 71]
주조지아 대사관
12, Titsian Tabidze Str. Tbilisi 0179
조지아
2015년 6월 26일 개설[ 115]
2024년 11월 조지아 대사관으로 승격
주체코 대사관
Slavickova 5, 160 00 Praha 6-Bubenec
체코
1990년 5월 29일 체코슬로바키아 대사관 개설[ 13]
1993년 1월 30일 체코 대사관으로 개편[ 17]
주카자흐스탄 대사관
Kosmonavtov St. 62, Astana, 010000
카자흐스탄 [ 내용 72]
주알마티 총영사관
Kaldayakov st. 66A, Bogenbai batyr st. corner, Almaty
[ 내용 73]
2004년 12월 10일 아스타나 분관 개설[ 116]
2008년 8월 4일 알마티 분관으로 개편[ 72]
2015년 5월 29일 알마티 총영사관으로 승격[ 117]
주크로아티아 대사관
Ksaverska cesta 111/A-B, 10000 Zagreb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키르기스스탄 대사관
35, Str. Akhunbaev, Bishkek
키르기스스탄
주타지키스탄 대사관
Ghani Abdullo 61, Dushanbe
타지키스탄
2008년 8월 4일 두샨베 분관 개설[ 72]
2021년 3월 30일 타지키스탄 대사관으로 승격[ 118]
주튀르키예 대사관
Farabi Sokak. No.27, Cinnah Caddesi, Ankara 06690
튀르키예
1957년 3월 8일 터키 대사관 개설[ 119]
2022년 9월 13일 튀르키예 대사관으로 개편[ 120]
주이스탄불 총영사관
Askerocağı Cad. Süzer Plaza, No:6, Kat:4, 34367, Elmadağ/Şişli, İstanbul
[ 내용 74]
1977년 8월 27일 개설[ 9]
1982년 3월 1일 폐쇄[ 30]
2006년 8월 24일 재개설[ 49]
주투르크메니스탄 대사관
744005, Azadi str., 17a, Ashgabat
투르크메니스탄
주포르투갈 대사관
Av. Miguel Bombarda 36-7, 1051-802 Lisboa
포르투갈
주폴란드 대사관
ul. Szwolezerow 600-464 Warsaw
폴란드
주프랑스 대사관
125 rue de Grenelle 75007 Paris
프랑스
1949년 7월 6일 프랑스 공사관 개설[ 122]
1958년 10월 10일 프랑스 대사관으로 승격[ 122]
모나코
주핀란드 대사관
Erottajankatu 7 A, 4th 00130 Helsinki
핀란드
1972년 3월 20일 헬싱키 통상대표부 개설[ 2]
1973년 10월 19일 핀란드 대사관으로 승격[ 36]
주헝가리 대사관
1062 Andrassy ut. 109. Budapest
헝가리
1988년 10월 12일 헝가리 대표부 개설[ 123]
1989년 2월 13일 헝가리 대사관으로 승격[ 124]
중동 지역
명칭
위치
관할 구역
개설일
겸임 지역
주레바논 대사관
Bldg.4, Elias Sarkis Road 1209, Yarzeh, Baabda
레바논
1970년 1월 5일 베이루트 통상대표부 개설[ 125]
1981년 4월 3일 레바논 대사관으로 승격[ 126]
시리아
주리비아 대사관
Abounawas Area, Gargaresh St., Tripoli
리비아
1978년 3월 14일 트리폴리 총영사관 개설[ 43]
1981년 3월 2일 리비아 대사관으로 승격[ 127]
주모로코 대사관
41 Av. Mehdi Ben Barka, Souissi
모로코
모리타니
주바레인 대사관
Villa 401, Road 915, Al Salmaniya 309, Manama
바레인
1976년 5월 22일 개설[ 128]
1999년 4월 1일 폐쇄[ 61]
2011년 5월 11일 마나마 분관 개설[ 129]
2011년 12월 30일 바레인 대사관으로 승격[ 130]
주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
Riyadh 11693
사우디아라비아 [ 내용 75]
주젯다 총영사관
Jeddah 21544
[ 내용 76]
주아랍에미리트 대사관
33rd Airport Rd, Embassies District, Abu Dhabi
아랍에미리트 [ 내용 77]
1976년 9월 2일 아부다비 총영사관 개설[ 82]
1980년 9월 12일 아랍에미리트 대사관으로 승격[ 27]
주두바이 총영사관
Villa # 12, Street 29b, Jumeirah 2, Dubai
[ 내용 78]
주알제리 대사관
23 Chemin de la Madeleine Chekiken, Hydra
알제리
주예멘 대사관
House No.4 (Off Iran St), Sana'a (임시 사무소: P.O.Box 94399, Riyadh 11693, Saudi Arabia)
예멘
주오만 대사관
P.O.Box 377, Madinat Qaboos, Postal Code 115, Muscat
오만
주요르단 대사관
Bahjat Homsi st. 7, Amman 11181
요르단
주이라크 대사관
Villa W5, Dijla Diplomatic Compound Green Zone, Baghdad
이라크
1981년 7월 25일 바그다드 총영사관 개설[ 64]
1989년 8월 7일 이라크 대사관으로 승격[ 135]
주아르빌 분관
Rotana Hotel, Gulan Street, Erbil
[ 내용 79]
주이란 대사관
No. 2, West Daneshvar St, Sheikhbahai Ave, Vanak Sq, Tehran
이란
주이스라엘 대사관
6 Hasadnaot St., Herzliya Pituach 4672833
이스라엘
주이집트 대사관
3 Boulos Hanna St., Dokki, Cairo
이집트
1962년 5월 1일 카이로 총영사관 개설[ 138]
1995년 5월 1일 이집트 대사관으로 승격[ 139]
주카타르 대사관
West Bay, Diplomatic Area, Doha
카타르
주쿠웨이트 대사관
Kuwait, Mishref, Diplomatic Zone 2, Street 303, Block 7A, Plot 6
쿠웨이트
1972년 3월 20일 쿠웨이트 통상대표부 개설[ 2]
1979년 7월 9일 쿠웨이트 대사관으로 승격[ 140]
주튀니지 대사관
3 Rue de l'Alhambra, Mutuelleville, B.P.297, 1002 Tunis
튀니지
1968년 9월 11일 튀니스 총영사관 개설[ 59]
1969년 6월 26일 튀니지 대사관으로 승격[ 75]
아프리카 지역
명칭
위치
관할 구역
개설일
겸임 지역
주가나 대사관
No.10, Fifth Avenue Extension, Cantonments, Accra
가나
베냉 토고
주가봉 대사관
B.P.2620, Libreville
가봉
상투메 프린시페 적도 기니
주말라보 분관
Villa 14, Hotel 3 de Agosto, Avda.HassanⅡ, Malabo
적도 기니
주나이지리아 대사관
No9 Ovia Crescent Off Pope John Paul II Street Maitama, POBox 6870, Abuja
나이지리아 [ 내용 80]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주라고스 분관
Plot 10A & B, Layi Ajayi Bembe Street, Parkview, Ikoyi, Lagos
[ 내용 81]
주남아프리카 공화국 대사관
265 Melk Street, Nieuw Muckleneuk, Pretoria 0181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 보츠와나
주르완다 대사관
Plot No. 10050, Nyarutarama, Kigali
르완다
1974년 7월 15일 개설[ 3]
1975년 5월 30일 폐쇄[ 143]
1987년 11월 9일 재개설[ 144]
1992년 7월 31일 폐쇄[ 103]
2011년 5월 11일 키갈리 분관 개설[ 129]
2011년 12월 30일 르완다 대사관으로 승격[ 130]
부룬디
주마다가스카르 대사관
Villa Pervenches, Lotissement Bonnet, Ivandry, Antananarivo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코모로
주모잠비크 대사관
138 Rua D. Maria II, Maputo
모잠비크
에스와티니
주세네갈 대사관
Villa Hamoudy, Rue Aimé Césaire Fann, Résidence, B.P. 5850 Dakar Fann, Dakar
세네갈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말리 카보베르데
주수단 대사관
House No.55, Al-Jazira Street 56, Khartoum2, P.O.Box 2414 Khartoum
수단
1976년 5월 22일 하르툼 총영사관 개설[ 128]
1977년 5월 9일 수단 대사관으로 승격[ 149]
에리트레아
주앙골라 대사관
Condominio Zenith, Torre 1, 7º Andar, Via AL 16, Luanda-sul Talatona
앙골라
나미비아
주에티오피아 대사관 겸 주아프리카 연합 대표부
P.O. BOX 2047, Addis Ababa
에티오피아
세이셸 지부티
주우간다 대사관
Plot 14, Ternan Road, Nakasero, Kampala
우간다
1963년 7월 18일 개설[ 109]
1995년 5월 1일 폐쇄[ 139]
2011년 5월 11일 캄팔라 분관 개설[ 129]
2011년 12월 30일 우간다 대사관으로 승격[ 130]
남수단
주짐바브웨 대사관
3rd Street, Robert Mugabe Road, Harare
짐바브웨
말라위 잠비아
주카메룬 대사관
House No. 85, Rosa Park Avenue, Ntougou Golf, P.O Box 13286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주케냐 대사관
Westlands Road, Nairobi
케냐
1963년 7월 18일 나이로비 총영사관 개설[ 109]
1965년 3월 30일 케냐 대사관으로 승격[ 89]
소말리아
주코트디부아르 대사관
01BP 3950 Abidjan 01, Rue Sainte Marie, Lot 18~19, Cocody Sud, Abidjan
코트디부아르
개설 날짜 불명
1962년 9월 11일 폐쇄[ 14]
1966년 7월 12일 재개설[ 92]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주콩고 민주 공화국 대사관
63, Ave. de la Justice, Gombe, Kinshasa
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 공화국
주탄자니아 대사관
Ohio Street, City Centre, Dar es Salaam
탄자니아
국제 기구
정식 재외공관이 아닌 공관
《외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43조(명칭·위치 및 관할 구역)에 첨부된 별표에 따르면 대한민국이 독립국으로 승인한 나라들에 위치한 공관들만을 정식 재외공관으로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이 독립국으로 승인하지 않은 나라들에 위치한 다음 공관들은 정식 재외공관이 아니기 때문에 제외한다.
명칭
위치
관할 구역
개설일
주타이베이 대표부
Rm. 1506, 15F. No. 333, Sec. 1, Kee Lung Road, Taipei
중화민국 (대만 )
주팔레스타인 대표사무소
5F Padico Building, 17 Al-Quds Street, Al-Masyoun, Ramallah
팔레스타인 [ 내용 82]
2005년 11월 이스라엘 대사관 산하 대표사무소로 개설
2014년 10월 팔레스타인 상주 대표사무소로 개편
개설 예정인 재외공관
폐지된 재외공관
갤러리
주광저우 총영사관
주토론토 총영사관
주미국 대사관
주미국 대사관 영사부
주로스앤젤레스 총영사관
주콜롬비아 대사관
주볼리비아 대사관
주핀란드 대사관
주헝가리 대사관
주이스라엘 대사관
주아일랜드 대사관
주체코 대사관
주덴마크 대사관
주스웨덴 대사관
주폴란드 대사관
주프랑스 대사관
주노르웨이 대사관
주상트페테르부르크 총영사관
같이 보기
각주
내용주
↑ 오클랜드 지방, 와이카토 지방, 베이오브플렌티 지방, 노스랜드 지방, 기즈번 지방
↑ 사바주, 사라왁주
↑ 다낭시, 트어티엔후에성, 꽝남성, 꽝응아이성
↑ 호찌민시, 꼰뚬시, 카인호아성, 닌투언성, 빈투언성, 동나이성, 바리어붕따우성, 빈즈엉성, 롱안성, 띠엔장성, 벤째성, 빈롱성, 짜빈성, 하우장성, 박리에우성, 까마우성
↑ 2021년 탈레반 공세 의 여파로 카불이 함락 된 후 15th, Tornado Tower, Bldg. 17, Zone 60, St. No. 810, Majlis Al Taawon St., West Bay, Doha, Qatar에서 임시사무소 운영 중.
↑ 아루나찰프라데시주, 아삼주, 비하르주, 차티스가르주, 하리아나주, 히마찰프라데시주, 자르칸드주, 라자스탄주, 메갈라야주, 마니푸르주, 미조람주, 나갈랜드주, 오리샤주, 펀자브주, 시킴주, 트리푸라주, 우타라칸드주, 우타르프라데시주, 서벵골주, 델리, 찬디가르,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잠무 카슈미르, 라다크
↑ 마하라슈트라주, 구자라트주, 텔랑가나주, 마디아프라데시주, 고아주, 다드라 나가르하벨리, 다만 디우
↑ 타밀나두주, 케랄라주, 카르나타카주, 안드라프라데시주, 푸두체리, 락샤드위프 제도
↑ 발리주, 서누사틍가라주, 동누사틍가라주, 말루쿠주, 북말루쿠주
↑ 도쿄도, 지바현, 이바라키현, 사이타마현, 도치기현, 군마현
↑ 효고현, 돗토리현, 오카야마현, 가가와현, 도쿠시마현
↑ 아이치현, 미에현, 후쿠이현, 기후현
↑ 나가노현,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 홋카이도
↑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 오사카부, 교토부, 시가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야마나시현
↑ 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오이타현, 구마모토현, 미야자키현, 가고시마현, 오키나와현
↑ 히로시마현, 야마구치현, 시마네현, 에히메현, 고치현
↑ 베이징시, 톈진시, 허베이성, 산시성(산서성), 칭하이성, 내몽골자치구, 신장위구르자치구, 티베트자치구
↑ 광둥성, 푸젠성, 하이난성, 광시좡족자치구
↑ 상하이시,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 다롄시
↑ 산시성(섬서성), 간쑤성, 닝샤후이족자치구
↑ 장시성, 후난성, 후베이성, 허난성
↑ 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 충칭시
↑ 산둥성
↑ 홍콩, 마카오
↑ 시엠레아프주, 바탐방주, 파일린, 반떼아이메안체이주, 오다르메안체이주, 프레아비헤아르주
↑ 신드주
↑ 기마라스주, 남레이테주, 동네그로스주, 동사마르주, 레이테주, 보홀주, 북사마르주, 빌리란주, 사마르주, 서네그로스주, 세부주, 시키호르주, 아클란주, 안티케주, 일로일로주, 카피스주
↑ 오스트레일리아수도준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태즈메이니아주
↑ 뉴사우스웨일스주, 노던준주, 퀸즐랜드주
↑ 퀸즐랜드주
↑ 빅토리아주
↑ 자메이카 대사관의 분관이다.
↑ 워싱턴 D.C., 버지니아주, 메릴랜드주, 웨스트버지니아주
↑ 뉴욕주, 코네티컷주, 뉴저지주, 델라웨어주, 펜실베이니아주
↑ 필라델피아주, 델라웨어주
↑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 네바다주, 캘리포니아주 샌루이스오비스포군, 컨군, 샌베르나디노군 이남 지역
↑ 메인주, 뉴햄프셔주, 버몬트주, 매사추세츠주, 로드아일랜드주
↑ 주로스앤젤레스 총영사관의 관할 구역에 포함되지 않는 캘리포니아주의 각 군, 와이오밍주, 유타주, 콜로라도주
↑ 몬태나주, 아이다호주, 오리건주, 워싱턴주, 알래스카주
↑ 알래스카주
↑ 미시간주, 오하이오주, 인디애나주, 일리노이주, 미주리주, 사우스다코타주, 네브래스카주, 아이오와주,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캔자스주, 노스다코타주, 켄터키주
↑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노스캐롤라이나주, 앨라배마주, 조지아주, 테네시주, 플로리다주,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하와이주, 아메리칸사모아, 괌, 북마리아나 제도
↑ 괌, 북마리아나 제도
↑ 텍사스주, 오클라호마주, 아칸소주, 루이지애나주, 미시시피주
↑ 댈러스, 포트워스
↑ 연방구, 아크리주, 알라고아스주, 아마파, 아마조나스주, 바이아주, 세아라주, 이스피리투산투주, 고이아스주, 마라냥주, 미나스제라이스주, 파라주, 파라이바주, 페르남부쿠주, 피아우이주, 히우그란지두노르치주, 혼도니아주, 호라이마주, 세르지피주, 토칸칭스주
↑ 상파울루주, 파라나주, 산타카타리나주, 히우그란지두술주, 마투그로수주, 마투그로수두술주, 리우데자네이루주
↑ 오타와, 누나부트준주
↑ 퀘백주, 노바스코샤주, 뉴브런즈윅주,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뉴편들랜드주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앨버타주, 서스캐처원주서북영역, 유콘준주
↑ 오타와시를 제외한 온타리오주, 마니토바주
↑ 영사 업무는 관할하지 않으며, 주이탈리아 대사관이 해당 업무를 관할한다.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주, 작센안할트주, 작센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튀링겐주
↑ 헤센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바이에른주
↑ 함부르크주, 브레멘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니더작센주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라인란트팔츠주, 자를란트주
↑ 모스크바시, 니즈니노브고로드주, 랴잔주, 로스토프주, 리페츠크주, 모스크바주, 벨고로드주, 보로네시주, 볼고그라드주, 브랸스크주, 블라디미르주, 사라토프주, 사마라주, 스몰렌스크주, 스베르들롭스크주, 아스트라한주, 야로슬라블주, 오렌부르크주, 오룔주, 울리야놉스크주, 이바노보주, 첼랴빈스크주, 칼루가주, 코스트로마주, 쿠르간주, 쿠르스크주, 키로프주, 탐보프주, 툴라주, 튜멘주, 트베리주, 펜자주, 다게스탄공화국, 마리옐공화국, 모르도바공화국, 바시키르공화국, 북오세티야공화국, 아디게야공화국, 우드무르트공화국, 인구시공화국, 체첸공화국, 추바시공화국,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르공화국, 칼미크공화국, 타타르스탄공화국, 스타브로폴지방, 크라스노다르지방, 페름지방, 야말로네네츠자치구, 한티만시자치구
↑ 프리모르스키지방, 하바롭스크지방, 사할린주, 아무르주, 캄차카주, 마가단주, 유대인자치주, 축치자치구
↑ 사할린주
↑ 상트페테르부르크시, 카렐리야공화국, 코미공화국, 아르한겔스크주, 볼로그다주, 칼리닌그라드주, 레닌그라드주, 무르만스크주, 노브고로드주, 프스코프주, 네네츠자치구
↑ 이르쿠츠크주, 사하공화국, 부랴트공화국, 하카스공화국, 투바공화국, 알타이공화국, 케메로보주, 노보시비르스크주, 옴스크주, 톰스크주, 자바이칼지방, 크라스노야르스크지방, 알타이지방
↑ 카탈루냐지방, 발렌시아지방, 발레아레스 제도
↑ 카나리아 제도
↑ 토스카나주, 움브리아주, 라치오주, 아브루초주, 마르케주, 캄파니아주, 풀리아주, 몰리세주, 칼라브리아주, 사르데냐, 시칠리아
↑ 피에몬테주, 발레다오스타주, 롬바르디아주, 리구리아주,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 베네토주,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에밀리아로마냐주
↑ 아스타나시, 동카자흐스탄주, 카라간다주, 코스타나이주, 악퇴베주, 파블로다르주, 아크몰라주, 망기스타우주, 서카자흐스탄주, 아티라우주, 북카자흐스탄주, 아바이주, 울리타우주
↑ 알마티, 심켄트시, 알마티주, 잠빌주, 투르키스탄주, 키질로르다주, 제티수주
↑ 이스탄불주, 에디르네주, 키르클라렐리주, 테키르다주, 차나칼레주, 부르사주, 코자엘리주, 사카리아주, 발리케시르주, 빌레지크주, 얄로바주
↑ 리야드주, 자우프주, 하일주, 카심주, 나지란주, 동부주, 북부 변경주
↑ 메카주, 메디나주, 타부크주, 바하주, 아시르주, 지잔주
↑ 아부다비 토후국
↑ 두바이 토후국, 샤르자 토후국, 아지만 토후국, 라스알카이마 토후국, 움알쿠와인 토후국, 푸자이라 토후국
↑ 아르빌주, 다후크주, 술라이마니야주, 할라브자주
↑ 아부자, 아비아주, 카노주, 아다마와주, 에보니주, 카치나주, 케비주, 아남브라주, 코기주, 플래토주, 바우치주, 에누구주, 콰라주, 곰베주, 소코토주, 베누에주, 이모주, 나사라와주, 타라바주, 보르노주, 지가와주, 나이저주, 요베주, 카두나주, 잠파라주
↑ 라고스주, 오군주, 오순주, 에키티주, 온도주, 오요주, 아콰이봄주, 바이엘사주, 크로스리버주, 델타주, 에도주, 리버스주
↑ 영사 및 재외 국민 보호 업무는 관할하지 않으며, 주이스라엘 대사관이 해당 업무를 관할한다.
↑ 주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산하 분관으로 신설될 예정이다.
↑ 주베네수엘라 대한민국 대사관 산하 분관으로 재개설될 예정이다.
↑ 주자메이카 대한민국 대사관 킹스턴 분관에서 승격하는 형식으로 재개설될 예정이다.
↑ 플로리다주,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마카오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주, 작센주, 작센안할트주, 튀링겐주, 함부르크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브레멘주, 니더작센주
↑ 암스테르담시
↑ 오키나와현
참조주
외부 링크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사관 총영사관 분관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파키스탄
필리핀
호주
출장소
아메리카 지역
유럽 지역
대사관 총영사관
독일
러시아
스페인
이탈리아
카자흐스탄
튀르키예
분관 출장소
중동 지역
아프리카 지역
대표부
없어진 공관
차관급 이상의 예우를 받는 13개 재외공관장 중 6자 회담 참가국 및 국제기구의 재외공관장인 미국 대사, 중국 대사, 러시아 대사, 일본 대사, UN 대표, OECD 대표 등 6개 재외공관장은 장관급 예우를, 벨기에 대사 겸 유럽 연합·NATO 대표, 영국 대사, 프랑스 대사, 독일 대사, 인도 대사, 제네바 대표, ASEAN 대표 등 기타 주요국 대사들은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 대한민국이 독립국으로 승인하지 않은 나라들에 설치된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대만 소재),
주팔레스타인 대한민국 대표사무소 (팔레스타인 소재)는 정식 재외공관이 아니기 때문에 제외한다.
본부 소속
산하 공공기관 소관기관 관련 항목
외교전략정보본부장은 14등급(차관급 상당) 외무공무원으로, 국립외교원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각각 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