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331C06편성
331C27편성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통근형 전동차
제작사
현대로템
제작 연도
생산량
28개 편성 188량
제원
양 수
4량, 8량
궤간 (mm)
1435
성능
전기 방식
교류 25,000V 60㎐
제어 방식
VVVF -IGBT (도시바 ) 2레벨 1C4M제어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 최고 속도
ATS 구간 110 km/h
설계 최고 속도
120 km/h
감속도
상용: 3.5 km/h/s 비상: 4.5 km/h/s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MT비
4M4T , 2M2T
보안 장치
ATS [수동운전]
비고
331C14~331C22편성은 4량, 나머지 편성은 8량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에 운행 중인 한국철도공사 의 통근형 전동차 다. 현재 총 8량 18개 편성(144량)은 문산 ~용문 ~지평 구간에서만 운행하고 있으며, 총 4량 9개 편성(36량)은 임진강 ~문산 ~가좌 ~서울역 , 용산역 구간에만 고정 운행하고 있다.
개요
본 차량은 2009년 7월 1일 에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교류 전동차 로 8량 13개 편성이 반입되었고, 2012년 12월 15일 에 공덕역 연장 개통 및 2014년 12월 27일 에 용산역 연장 개통과 함께 증차분으로 8량 5개 편성이 반입되었다. 모두 문산차량사업소 에 배속되어 있다.
기술적 사양
제어기기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후기형에서 사용된 우진산전 , 도시바 제 (東芝) COVO52-A0형 주제어장치가 장착되었다.
1차분(33101~33113편성)은 차체 전면부에 충격 흡수 요철 장착 및 알루미늄 대형 압출형재가 적용되었고, 2차분(33114~33127편성)은 스테인리스 차체가 적용되었다. 그리고 무도장 차체가 적용되었다. 또한 모든 차량에 비상탈출을 위한 사다리가 최초로 도입되어 차량 하부에 설치되었다.
승무 설비
기존 차량들의 전면부보다 운전실 창을 넓히고, 형태를 살짝 바꾸어 시야를 개선하였으며, 1인 승무에 대응하도록 승무기기가 구성되어 있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모든 안내기가 소등되었다.
편성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등을 갖춘 Tc차, 그리고 아무런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4량 편성의 열차는 Tc, M'칸만 포함하고 있다.
4량 편성(33114~33122편성)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331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312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314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319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8량 편성(33101~33113, 33123~33127편성)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331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311XX
M(주변환장치)
3312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313XX
T(무동력객차)
3314XX
T(무동력객차)
3315XX
M(주변환장치)
3316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319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도입 역사
33106편성
도입: 2009년 3월 27일 ~5월 19일
2009년 7월 1일 1단계 구간(임진강-가좌,신촌,서울역) 개통분이다.
도입 당시 알루미늄 차체가 적용되었으며, 좌석의 폭이 넓어졌고, 좌석을 나누는 봉이 설치되어 승객 취급이 보다 효과적이다.
도입 당시 노약자·장애인·임산부석을 제외하고, 천장 선반은 설치되지 않았지만, 현재는 모든 좌석에 설치되었다.
33110, 33112~33113편성을 제외한 선두칸에 자전거 전용 거치대가 있다.(다만, 자전거 의 경우 주인이 직접 들고 다녀야 한다.)
초창기에 도입 당시, 각 출입문 위에 LCD 형 모니터가 2개씩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었지만, 시스템 노후화 문제로 철거 후 LED 백라이트가 탑재된 천장부착형 LCD 모니터 로 교체한 바 있다.
33127편성
33114~33122편성(4량): 2013년 7월 30일 ~11월 5일 33123~33126편성(8량): 2014년 9월 4일 ~10월 17일 33127편성(6량): 2012년 하반기 33127편성(8량): 2014년 11월 7일
도입 당시 스테인레스 차체가 적용되었다.
35129~35133, 35161~35168편성과 사양이 동일하며, 천장부착형 LCD TV 가 설치되었다.
원래 33114~33122, 33123~33126편성은 4량으로 제작되었고, 33127편성은 6량으로 제작되었다.
33114~33122편성은 제작된 이래로 현대로템 창원공장 에서 1년가량 유치되었다가 서울역-문산 간 열차로서 도입되었다.
33123~33126편성은 제작된 이래로 현대로템 창원공장 에서 2년가량 유치되었다가 2014년 12월 27일 3단계 구간(공덕-용산) 개통분으로서 신조 제작된 객차 를 장착한 상태로 도입되었다.
33127편성은 2012년 12월 15일 2단계 구간(가좌-공덕) 개통분으로서 6량으로 도입됐다. 이후 2014년 12월 27일 3단계 구간(공덕-용산) 개통분으로서 신조 제작된 객차 를 장착한 상태로 재도입되었다.
문산차량사업소 소속: 33129편성(총 1편성)
제작사: 미정
제어방식: 미정
배속
현재 운행구간
현황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 로 표시했다.
1세대분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3101 편성
2009년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33102 편성
운행 중
33103 편성
운행 중
33104 편성
운행 중
33105 편성
운행 중
33106 편성
운행 중
33107 편성
운행 중
33108 편성
운행 중
33109 편성
운행 중
33110 편성
운행 중
33111 편성
운행 중
33112 편성
운행 중
33113 편성
운행 중
33114 편성
2012년
운행 중
현재 임진강역 -문산역 구간와 문산역 -서울역 /용산역 구간 4량 편성 열차로 고정 운행 중이다.
33115 편성
운행 중
33116 편성
운행 중
33117 편성
운행 중
33118 편성
운행 중
33119 편성
운행 중
33120 편성
운행 중
33121 편성
운행 중
33122 편성
운행 중
33123 편성
2012년 , 2014년
운행 중
객차 중 4량은 2012년 7월 부터 8월 까지, 나머지 4량은 2014년 4월 부터 6월 까지 신조되었다.
33124 편성
운행 중
33125 편성
운행 중
33126 편성
운행 중
객차 중 4량은 2012년 9월 , 나머지 4량은 2014년 7월 에 신조되었다. 331026호, 331926호에 책꽃이가 설치되어 독서 바람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33127 편성
운행 중
객차 중 6량은 2012년 10월 에 제작되었으며, 나머지 2량은 2014년 7월 에 신조되었다. 차량 상부에 검측 장치가 설치되었다.
2세대분
해당 편성은 경의·중앙선 노선 색상에 맞는 연옥색 으로 도색되었다.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3128 편성
2024년
시운전 중
3세대분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31905편성 대차분이다.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3129 편성
2031년 예정
제작 예정
사진
33106편성 (1차분)
33127편성 (2차분)
차량 내부(선반 설치 후)
자전거 전용 거치대
각종 미디어에서의 등장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