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AFC 아시안컵 (영어 : 2015 AFC Asian Cup )은 2015년 1월 9일부터 1월 31일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에서 개최된 16번째 AFC 아시안컵 이다.
결승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 가 대한민국 을 연장전 까지 가는 경기 끝에 2-1로 누르고 아시안컵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이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는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자동 진출권 제도가 이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어 2019년 AFC 아시안컵 부터 자동 진출권은 개최국에게만 부여된다. 이에 따라 2019년 대회 개최국 자격의 아랍에미리트 를 제외한 오스트레일리아와 대한민국은 3위 이상의 성적을 기록했으나 다른 팀들과 마찬가지로 다음 대회의 예선에 참가하게 되었다.
개최국 선정
오스트레일리아 가 유일하게 2015년 AFC 아시안컵 유치를 신청했다. 2011년 1월 5일 아시아 축구 연맹 (AFC)은 오스트레일리아를 2015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예선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는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또한 2011년 AFC 아시안컵 에서 우승한 일본과 3위에 입상한 대한민국도 차기 대회의 출전권을 확보했다. 이 대회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준우승을 차지했으나, 2위 팀에게 주어진 출전권은 다음 순위 팀에게 승계되지는 않았다.[ 1] 2012년 AFC 챌린지컵 우승 팀과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 팀에게도 출전권이 주어지며, 남은 자리는 예선을 통해 채워졌다.
본선 진출 국가
본선 진출 국가
본선 진출 실패 국가
국가
진출 자격
진출 확정 날짜
과거 본선 진출 횟수와 연도1
오스트레일리아
개최국, 2011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
2011년 1월 5일
2회 (2007 , 2011 )
일본
2011년 AFC 아시안컵 우승
2011년 1월 25일
7회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7 , 2011 )
대한민국
2011년 AFC 아시안컵 3위
2011년 1월 28일
12회 (1956 , 1960 , 1964 , 1972 , 1980 , 1984 , 1988 , 1996 , 2000 , 2004 , 2007 , 201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2년 AFC 챌린지컵 우승
2012년 3월 19일
3회 (1980 , 1992 , 2011 )
팔레스타인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
2014년 5월 30일
첫 출전
사우디아라비아
C조 1위
2013년 11월 15일
8회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7 , 2011 )
아랍에미리트
E조 1위
2013년 11월 15일
8회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4 , 2007 , 2011 )
바레인
D조 1위
2013년 11월 15일
4회 (1988 , 2004 , 2007 , 2011 )
오만
A조 1위
2013년 11월 19일
2회 (2004 , 2007 )
이란
B조 1위
2013년 11월 19일
12회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7 , 2011 )
쿠웨이트
B조 2위
2013년 11월 19일
9회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6 , 2000 , 2004 , 2011 )
카타르
D조 2위
2013년 11월 19일
8회 (1980 , 1984 , 1988 , 1992 , 2000 , 2004 , 2007 , 2011 )
우즈베키스탄
E조 2위
2013년 11월 19일
5회 (1996 , 2000 , 2004 , 2007 , 2011 )
요르단
A조 2위
2014년 [2월 4일
2회 (2004 , 2011 )
이라크
C조 2위
2014년 3월 5일
7회 (1972 , 1976 , 1996 , 2000 , 2004 , 2007 , 2011 )
중화인민공화국
C조 3위
2014년 3월 5일
10회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7 , 2011 )
1 강조된 글씨 는 우승한 대회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이번 2015년 AFC 아시안컵은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 캔버라 , 시드니 , 뉴캐슬 , 멜버른 등 총 5개 경기장에서 열린다.
베이스 캠프
아래 틀은 2015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 16개 팀의 베이스캠프를 나열한 것이다.
팀
도착
마지막 경기
베이스 캠프
조별예선 경기장
8강전 경기장
준결승전 경기장
결승/3위 결정전 경기장
오스트레일리아
12월 29일
1월 31일
멜버른
멜버른, 시드니, 브리즈번
브리즈번
뉴캐슬
시드니
바레인
12월 22일
1월 19일
밸러랫
멜버른, 캔버라, 시드니
빈칸
빈칸
빈칸
중화인민공화국
12월 29일
1월 22일
시드니
브리즈번, 캔버라
브리즈번
빈칸
빈칸
이란
12월 31일
1월 23일
시드니
멜버른, 시드니, 브리즈번
캔버라
빈칸
빈칸
이라크
1월 1일
1월 30일
캔버라
브리즈번, 캔버라
캔버라
시드니
뉴캐슬
일본
1월 3일
1월 23일
세스넉
뉴캐슬, 브리즈번, 멜버른
시드니
빈칸
빈칸
요르단
12월 23일
1월 20일
멜버른
브리즈번, 멜버른
빈칸
빈칸
빈칸
쿠웨이트
12월 18일
1월 17일
퀸비언
멜버른, 캔버라, 뉴캐슬
빈칸
빈칸
빈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2월 15일
1월 18일
캔버라
시드니, 멜버른, 캔버라
빈칸
빈칸
빈칸
오만
12월 28일
1월 17일
시드니
캔버라, 시드니, 뉴캐슬
빈칸
빈칸
빈칸
팔레스타인
1월 2일
1월 20일
브리즈번
뉴캐슬, 멜버른, 캔버라
빈칸
빈칸
빈칸
카타르
12월 28일
1월 19일
캔버라
캔버라, 시드니
빈칸
빈칸
빈칸
사우디아라비아
12월 26일
1월 18일
브리즈번
브리즈번, 멜버른
빈칸
빈칸
빈칸
대한민국
12월 27일
1월 31일
시드니
캔버라, 브리즈번
멜버른
시드니
시드니
아랍에미리트
12월 26일
1월 30일
골드코스트
캔버라, 브리즈번
시드니
뉴캐슬
뉴캐슬
우즈베키스탄
1월 3일
1월 22일
멜버른
시드니, 브리즈번, 멜버른
멜버른
빈칸
빈칸
시드 배정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 조 추첨은 2014년 3월 26일에 실시되었다. 이 대회의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 와 2014년 3월자 FIFA 랭킹 이 가장 높은 3팀인 이란 , 일본 , 우즈베키스탄 은 최상위 시드에 배정되었다. 대한민국 은 2011년 AFC 아시안컵 에서 3위에 입상하였으나, FIFA 랭킹 에서 세 팀보다 낮아 톱 시드에서 제외되었다.
(*) 추첨 당시에는 우승 팀이 결정되지 않았다.
선수 명단
조별 리그
현지 시간(CEST/UTC+10 , CEST/UTC+11 )을 따릅니다.
A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대한민국
3
3
0
0
3
0
+3
9
오스트레일리아
3
2
0
1
8
2
+6
6
오만
3
1
0
2
1
5
-4
3
쿠웨이트
3
0
0
3
1
6
-5
0
2015년 1월 9일 (2015-01-09 ) 20:00 (UTC+11 )
2015년 1월 10일 (2015-01-10 ) 16:00 (UTC+11 )
2015년 1월 13일 (2015-01-13 ) 18:00 (UTC+11 )
2015년 1월 13일 (2015-01-13 ) 20:00 (UTC+11 )
2015년 1월 17일 (2015-01-17 ) 19:00 (UTC+10 )
2015년 1월 17일 (2015-01-17 ) 20:00 (UTC+11 )
B조
2015년 1월 10일 (2015-01-10 ) 18:00 (UTC+11 )
2015년 1월 10일 (2015-01-10 ) 19:00 (UTC+10 )
2015년 1월 14일 (2015-01-14 ) 18:00 (UTC+11 )
2015년 1월 14일 (2015-01-14 ) 19:00 (UTC+10 )
2015년 1월 18일 (2015-01-18 ) 20:00 (UTC+11 )
2015년 1월 18일 (2015-01-18 ) 20:00 (UTC+11 )
C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이란
3
3
0
0
4
0
+4
9
아랍에미리트
3
2
0
1
6
3
+3
6
바레인
3
1
0
2
3
5
-2
3
카타르
3
0
0
3
2
7
-5
0
2015년 1월 11일 (2015-01-11 ) 18:00 (UTC+11 )
2015년 1월 11일 (2015-01-11 ) 20:00 (UTC+11 )
2015년 1월 15일 (2015-01-15 ) 18:00 (UTC+11 )
2015년 1월 15일 (2015-01-15 ) 20:00 (UTC+11 )
2015년 1월 19일 (2015-01-19 ) 19:00 (UTC+10 )
2015년 1월 19일 (2015-01-19 ) 20:00 (UTC+11 )
D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일본
3
3
0
0
7
0
+7
9
이라크
3
2
0
1
3
1
+2
6
요르단
3
1
0
2
5
4
+1
3
팔레스타인
3
0
0
3
1
11
-10
0
2015년 1월 12일 (2015-01-12 ) 18:00 (UTC+11 )
2015년 1월 12일 (2015-01-12 ) 19:00 (UTC+10 )
2015년 1월 16일 (2015-01-16 ) 18:00 (UTC+11 )
2015년 1월 16일 (2015-01-16 ) 19:00 (UTC+10 )
2015년 1월 20일 (2015-01-20 ) 20:00 (UTC+11 )
2015년 1월 20일 (2015-01-20 ) 20:00 (UTC+11 )
결선 토너먼트
현지 시간(CEST/UTC+10 , CEST/UTC+11 )을 따릅니다.
8강전
2015년 1월 22일 (2015-01-22 ) 18:30 (UTC+11 )
2015년 1월 22일 (2015-01-22 ) 20:30 (UTC+10 )
2015년 1월 23일 (2015-01-23 ) 17:30 (UTC+11 )
2015년 1월 23일 (2015-01-23 ) 20:30 (UTC+11 )
준결승전
2015년 1월 26일 (2015-01-26 ) 20:00 (UTC+11 )
2015년 1월 27일 (2015-01-27 ) 20:00 (UTC+11 )
3위 결정전
2015년 1월 30일 (2015-01-30 ) 20:00 (UTC+11 )
결승전
2015년 1월 31일 (2015-01-31 ) 20:00 (UTC+11 )
우승국
수상
아시안컵 2015 드림 팀
최종 순위
2015년 AFC 아시안컵 순위
순위
국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1
오스트레일리아
6
5
0
1
14
3
+11
15
2
대한민국
6
5
0
1
8
2
+6
15
결승전 진출
3
아랍에미리트
6
3
1
2
10
8
+2
10
4
이라크
6
2
1
3
8
9
-1
7
4강전 진출
5
일본
4
3
1
0
8
1
+7
10
6
이란
4
3
1
0
7
3
+4
10
7
중화인민공화국
4
3
0
1
5
4
+1
9
8
우즈베키스탄
4
2
0
2
5
5
0
6
8강전 진출
9
요르단
3
1
0
2
5
4
+1
3
10
사우디아라비아
3
1
0
2
5
5
0
3
11
바레인
3
1
0
2
3
5
-2
3
12
오만
3
1
0
2
1
5
-4
3
13
카타르
3
0
0
3
2
7
-5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0
0
3
2
7
-5
0
15
쿠웨이트
3
0
0
3
1
6
-5
0
16
팔레스타인
3
0
0
3
1
11
-10
0
조별리그 진출
우승에서 4위까지는 준결승, 3위 결정전 및 결승전 결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8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9위에서 최하 16위까지이다.
토너먼트 에서 승부차기 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 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
득점 선수
5골
4골
3골
2골
1골
자책골
어시스트
4 어시스트
3 어시스트
2 어시스트
1 어시스트
해트트릭
기록
팀 득점 기록
14골
10골
8골
7골
5골
3골
2골
1골
팀 실점 기록
1실점
2실점
3실점
4실점
5실점
6실점
7실점
8실점
9실점
11실점
기타 기록
중계 방송
각주
외부 링크
본선 예선 결승전 선수 명단 1956년부터 1968년까지는 결승전은 없었으며, 대신 우승국을 조별 리그전으로 정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
국가급
프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