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2005년 후반기부터, 최종 예선은 2006년 2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열렸다. 25개국이 예선에 참가했다.

처음으로 디펜딩 챔피언인 일본이 전대회 우승국 자동 출전권을 받지 않고 예선에 참가했다. 6개 조 중 각 조 상위 2개 팀, 총 12개 팀은 공동 개최국인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과 함께 조별 예선에서 만나게 된다.

예선에 불참한 팀들

조 추첨이 시작되기 전에 아래의 국가대표팀들은 예선에 참가하지 않았다. (괄호 안은 그 당시 팀의 FIFA 랭킹을 보여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당시 82위)은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일어난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징계 조치에 따라 이 대회에 출전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예비 라운드

2005년 12월에, 참가국 중 그 당시 랭킹이 가장 낮았던 파키스탄(158위)과 방글라데시(160위)는 본 예선으로 진출할 팀을 가리기 위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원래는 그 해 11월에 치르기로 계획이 잡혀있으나 파키스탄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경기가 연기되었다.

2005년 12월 22일방글라데시 다카방가반두 국립경기장에서 있었던, 양팀 모두 무득점었던 1차전 뒤에 파키스탄카라치에 있는 인민 스포츠 경기장에서 4일 뒤에 치러진 2차전에선 방글라데시가 84분경 터진 극적인 골로 승리할 수 있었다. 이로써 방글라데시는 득점 총합 1 - 0으로 예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러나 여기서 패한 파키스탄도 스리랑카의 기권으로 인해 최종 예선에 진출하게 된다.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방글라데시 1 - 0 파키스탄 0 - 0 1 - 0



시드 배정

시드 배정은 2004년 AFC 아시안컵예선과 본선 성적을 기초로 하였다. 대한민국은 8강전에서 탈락했고, 사우디아라비아는 조별 리그전에서 탈락했기 때문에, 그들은 그룹 B에 배정되었다. 한편, 오스트레일리아2006년 1월AFC에 가입했기 때문에 이전 대회 경력이 없으므로 최하위 점수를 받고 그룹 D에 배정되었다.

그룹 A 그룹 B 그룹 C 그룹 D

바레인
중화인민공화국
이란
요르단
일본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오만

홍콩
레바논
싱가포르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예멘

오스트레일리아
방글라데시
인도
팔레스타인
파키스탄*
중화 타이베이

동점 시 처리 기준

만약 한 조에서 두 팀 혹은 그 이상의 팀의 승점이 같을 경우에는 다음의 순서에 따른다.

  1. 같은 점수를 얻은 팀들 사이의 경기에서 더 많은 승점을 얻은 팀. (승자승)
  2. 같은 점수를 얻은 팀들 사이의 경기에서 골 득실이 앞서는 팀.
  3. 같은 점수를 얻은 팀들 사이의 경기에서 다득점이 앞서는 팀. (단, 여기서 원정 다득점은 적용되지 않는다)
  4. 조에 속한 모든 팀들과 치른 경기에서의 골 득실이 앞서는 팀.
  5. 두 팀은 승부차기를 하게 되는데 단 해당 조 내에서 두 팀만이 동점이어야 하고, 이 두 팀 모두 서로간에 경기를 끝내고 같은 경기장에 있어야 함.
  6. 추첨

최종 예선

풀 리그로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펼쳐졌으며, 각 조 2위까지 본선 진출 티켓이 주어졌다.

A조

승점 경기 득실차
일본 15 6 5 0 1 15 2 +13
사우디아라비아 15 6 5 0 1 21 4 +17
예멘 6 6 2 0 4 5 13 −8
인도 0 6 0 0 6 2 24 −22
  • 사우디아라비아는 일본보다 골득실차가 앞섰으나, 승자승 원칙에 의해 3-2로 앞선 일본이 1위, 사우디아라비아가 2위가 되었다.

일본 6 – 0 인도
오노 32분에 득점 32′
하세베 58분에 득점 58′
후쿠니시 68분에 득점 68′
구보 78분, 90분에 득점 78′90′
사토 82분에 득점 82′
리포트




일본 2 – 0 예멘
아베 70분에 득점 70′
사토 90+1분에 득점 90+1′
리포트
관중: 40,913명
심판: 이기영 대한민국








B조

승점 경기 득실차
이란 14 6 4 2 0 12 2 +10
대한민국 11 6 3 2 1 15 5 +10
시리아 8 6 2 2 2 10 6 +4
중화 타이베이 0 6 0 0 6 0 24 −24













C조

승점 경기 득실차
아랍에미리트 13 6 4 1 1 11 6 +5
오만 12 6 4 0 2 14 6 +8
요르단 10 6 3 1 2 10 5 +5
파키스탄 0 6 0 0 6 4 22 −18













D조

승점 경기 득실차
오스트레일리아 9 4 3 0 1 7 3 +4
바레인 4 4 1 1 2 3 6 −3
쿠웨이트 4 4 1 1 2 3 4 −1
레바논 중도 기권
레바논의 결과를 반영한 본래의 순위표는 다음과 같다.
승점 경기 득실차
오스트레일리아 9 4 3 0 1 7 3 +4
쿠웨이트 5 5 1 2 2 4 5 −1
바레인 4 4 1 1 2 3 6 −3
레바논 1 1 0 1 0 1 1 0








E조

승점 경기 득실차
이라크 11 6 3 2 1 12 8 +4
중화인민공화국 11 6 3 2 1 7 3 +4
싱가포르 4 5 1 1 3 4 6 −2
팔레스타인 4 5 1 1 3 3 9 −6












싱가포르와 팔레스타인의 경기는 팔레스타인 대표팀이 이스라엘과의 분쟁으로 인한 국경 봉쇄로 인해 출국이 불가능해진 점, 싱가포르와 팔레스타인 모두 남은 경기 결과에 관계 없이 예선 탈락이 확정된 점을 고려하여 취소되었다.[3]


1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으로 인한 안전상의 이유로 모든 홈 경기가 아랍에미리트 알아인에서 열렸다.
2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으로 인한 안전상의 이유로 모든 홈 경기가 요르단 암만에서 열렸다.

F조

승점 경기 득실차
카타르 15 6 5 0 1 14 4 +10
우즈베키스탄 11 6 3 2 1 14 4 +10
홍콩 8 6 2 2 2 5 7 −2
방글라데시 0 6 0 0 6 1 19 −18













각주

  1. “AFC confirms Lebanon withdrawal request” (영어). 
  2. “Asian Cup qualifers - D조” (영어).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13일에 확인함. 
  3. 싱가포르-팔레스타인 아시안컵 예선 '취소 위기'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