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AFC 아시안컵 예선 은 2005년 후반기부터, 최종 예선은 2006년 2월 부터 2006년 11월 까지 열렸다. 25개국이 예선에 참가했다.
처음으로 디펜딩 챔피언인 일본 이 전대회 우승국 자동 출전권을 받지 않고 예선에 참가했다. 6개 조 중 각 조 상위 2개 팀, 총 12개 팀은 공동 개최국인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태국 , 베트남 4개국과 함께 조별 예선에서 만나게 된다.
예선에 불참한 팀들
조 추첨이 시작되기 전에 아래의 국가대표팀들은 예선에 참가하지 않았다. (괄호 안은 그 당시 팀의 FIFA 랭킹 을 보여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시 82위)은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에서 일어난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아시아 축구 연맹 (AFC)의 징계 조치에 따라 이 대회에 출전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예비 라운드
2005년 12월 에, 참가국 중 그 당시 랭킹이 가장 낮았던 파키스탄 (158위)과 방글라데시 (160위)는 본 예선으로 진출할 팀을 가리기 위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원래는 그 해 11월 에 치르기로 계획이 잡혀있으나 파키스탄 에서 일어난 지진 으로 경기가 연기되었다.
2005년 12월 22일 에 방글라데시 다카 의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에서 있었던, 양팀 모두 무득점었던 1차전 뒤에 파키스탄 의 카라치 에 있는 인민 스포츠 경기장 에서 4일 뒤에 치러진 2차전에선 방글라데시가 84분경 터진 극적인 골로 승리할 수 있었다. 이로써 방글라데시는 득점 총합 1 - 0으로 예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러나 여기서 패한 파키스탄도 스리랑카 의 기권으로 인해 최종 예선에 진출하게 된다.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방글라데시
1 - 0
파키스탄
0 - 0
1 - 0
시드 배정
시드 배정은 2004년 AFC 아시안컵 의 예선 과 본선 성적을 기초로 하였다. 대한민국 은 8강전에서 탈락했고, 사우디아라비아 는 조별 리그전에서 탈락했기 때문에, 그들은 그룹 B에 배정되었다. 한편, 오스트레일리아 는 2006년 1월 에 AFC 에 가입했기 때문에 이전 대회 경력이 없으므로 최하위 점수를 받고 그룹 D에 배정되었다.
(*) 스리랑카 의 기권으로 대신 출전하였다.
동점 시 처리 기준
만약 한 조에서 두 팀 혹은 그 이상의 팀의 승점이 같을 경우에는 다음의 순서에 따른다.
같은 점수를 얻은 팀들 사이의 경기에서 더 많은 승점을 얻은 팀. (승자승)
같은 점수를 얻은 팀들 사이의 경기에서 골 득실이 앞서는 팀.
같은 점수를 얻은 팀들 사이의 경기에서 다득점이 앞서는 팀. (단, 여기서 원정 다득점 은 적용되지 않는다)
조에 속한 모든 팀들과 치른 경기에서의 골 득실이 앞서는 팀.
두 팀은 승부차기를 하게 되는데 단 해당 조 내에서 두 팀만이 동점이어야 하고, 이 두 팀 모두 서로간에 경기를 끝내고 같은 경기장에 있어야 함.
추첨
최종 예선
풀 리그로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펼쳐졌으며, 각 조 2위까지 본선 진출 티켓이 주어졌다.
A조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일본
15
6
5
0
1
15
2
+13
사우디아라비아
15
6
5
0
1
21
4
+17
예멘
6
6
2
0
4
5
13
−8
인도
0
6
0
0
6
2
24
−22
사우디아라비아는 일본보다 골득실차가 앞섰으나, 승자승 원칙 에 의해 3-2로 앞선 일본이 1위, 사우디아라비아가 2위가 되었다.
B조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이란
14
6
4
2
0
12
2
+10
대한민국
11
6
3
2
1
15
5
+10
시리아
8
6
2
2
2
10
6
+4
중화 타이베이
0
6
0
0
6
0
24
−24
C조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아랍에미리트
13
6
4
1
1
11
6
+5
오만
12
6
4
0
2
14
6
+8
요르단
10
6
3
1
2
10
5
+5
파키스탄
0
6
0
0
6
4
22
−18
D조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오스트레일리아
9
4
3
0
1
7
3
+4
바레인
4
4
1
1
2
3
6
−3
쿠웨이트
4
4
1
1
2
3
4
−1
레바논
중도 기권
쿠웨이트는 바레인보다 골득실차가 앞섰으나, 승자승 원칙 에 의해 2-1로 앞선 바레인이 2위, 쿠웨이트가 3위가 되었다.
아시아 축구 연맹 은 2006년 8월 1일 에 2006년 이스라엘-레바논 전쟁 의 여파로 인한 레바논 축구 협회 의 기권 요청을 받아들였다고 발표했다.[ 1] 이에 따라 2006년 2월 22일 에 있었던 레바논과 쿠웨이트의 경기는 무효 처리되었고 조별 랭킹 결과에 포함되지 않았다.[ 2] 또한 레바논을 상대로 치를 예정이던 다른 팀들의 다음 5경기도 모두 취소되었다.
바레인 대 레바논 (2006년 8월 16일, 바레인 국립경기장 , 마나마 )
오스트레일리아 대 레바논 (2006년 8월 31일, 애들레이드 오벌 , 애들레이드 )
레바논 대 바레인 (2006년 9월 6일, 베이루트 시립경기장 , 베이루트 )
쿠웨이트 대 레바논 (2006년 10월 11일, 쿠웨이트 국립 경기장 , 쿠웨이트시 )
레바논 대 오스트레일리아 (2006년 11월 15일, 베이루트 시립경기장 , 베이루트 )
E조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이라크
11
6
3
2
1
12
8
+4
중화인민공화국
11
6
3
2
1
7
3
+4
싱가포르
4
5
1
1
3
4
6
−2
팔레스타인
4
5
1
1
3
3
9
−6
싱가포르와 팔레스타인의 경기는 팔레스타인 대표팀이 이스라엘과의 분쟁으로 인한 국경 봉쇄로 인해 출국이 불가능해진 점, 싱가포르와 팔레스타인 모두 남은 경기 결과에 관계 없이 예선 탈락이 확정된 점을 고려하여 취소되었다.[ 3]
1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 으로 인한 안전상의 이유로 모든 홈 경기가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에서 열렸다.
2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으로 인한 안전상의 이유로 모든 홈 경기가 요르단 암만 에서 열렸다.
F조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카타르
15
6
5
0
1
14
4
+10
우즈베키스탄
11
6
3
2
1
14
4
+10
홍콩
8
6
2
2
2
5
7
−2
방글라데시
0
6
0
0
6
1
19
−18
각주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FIFA 비회원국 종합 대회
본선 예선 결승전 선수 명단 1956년부터 1968년까지는 결승전은 없었으며, 대신 우승국을 조별 리그전으로 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