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AFC 챔피언스리그 는 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35번째 대회(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포함)이자 현재의 AFC 챔피언스리그 구성으로는 14회째를 맞는 아시아 국가들의 클럽대항전이다. 우승 팀은 2016년 FIFA 클럽 월드컵 에 참가한다.
출전권 배정
쿠웨이트 축구 협회와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는 FIF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기 때문에 해당 축구 협회 소속 팀들은 모든 국제 대회에 참가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참가 팀
일정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일정은 아래와 같다.(모든 대진 추첨은 말레이시아 , 콸라룸푸르 에서 개최된다.).[ 1]
단계
라운드
대진추첨일
1차전
2차전
예선
플레이오프 1차예선
무추첨
2016년 1월 27일
플레이오프 2차예선
2016년 2월 2일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3차예선
2016년 2월 9일
조별리그
매치데이 1
2015년 12월 10일
2016년 2월 23–24일
매치데이 2
2016년 3월 1–2일
매치데이 3
2016년 3월 15–16일
매치데이 4
2016년 4월 5–6일
매치데이 5
2016년 4월 19–20일
매치데이 6
2016년 5월 3–4일
토너먼트
16강전
2016년 5월 17–18일
2016년 5월 24–25일
8강전
2016년 6월 9일
2016년 8월 23-24일
2016년 9월 13-14일
준결승전
2016년 9월 27-28일
2016년 10월 18-19일
결승전
2016년 11월 19일
2016년 11월 26일
플레이오프
서아시아
2016년 2월 9일 (2016-02-09 ) 20:20 UTC+3
2016년 2월 9일 (2016-02-09 ) 17:00 UTC+5
2016년 2월 9일 (2016-02-09 ) 20:15 UTC+4
동아시아
1차 예선
2016년 1월 27일 (2016-01-27 ) 19:00 05:30
2차 예선
2016년 2월 2일 (2016-02-02 ) 18:00 UTC+7
2016년 2월 2일 (2016-02-02 ) 19:00 UTC+7
2016년 2월 2일 (2016-02-02 ) 15:00 UTC+8
2016년 2월 2일 (2016-02-02 ) 19:30 UTC+7
3차 예선
2016년 2월 9일 (2016-02-09 ) 14:00 UTC+9
2016년 2월 9일 (2016-02-09 ) 19:30 UTC+9
2016년 2월 9일 (2016-02-09 ) 19:30 UTC+8
조별 리그
A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6
2
4
0
6
3
+3
10
알나스르
6
2
3
1
5
4
+1
9
알이티하드
6
2
3
1
9
4
+5
9
세파한
6
1
0
5
2
11
−9
3
로코모티프
—
0 – 0
1 – 1
1 – 0
알나스르
1 – 1
—
0 – 0
2 – 1
알이티하드
1 – 1
1 – 2
—
4 – 0
세파한
0 – 2
2 – 0
0 – 2
—
2016년 2월 23일 (2016-02-23 ) 15:00 UTC+5
2016년 3월 1일 (2016-03-01 ) 20:30 UTC+4
2016년 3월 1일 (2016-03-01 ) 20:30 UTC+3
2016년 3월 15일 (2016-03-15 ) 20:35 UTC+3
2016년 4월 6일 (2016-04-06 ) 16:00 UTC+5
2016년 4월 6일 (2016-04-06 ) 20:45 UTC+4
2016년 4월 20일 (2016-04-20 ) 17:55 UTC+4
2016년 4월 20일 (2016-04-20 ) 20:45 UTC+3
2016년 5월 4일 (2016-05-04 ) 20:00 UTC+5
B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조브 아한
6
4
2
0
12
2
+10
14
레크위야
6
2
3
1
7
2
+5
9
알나스르
6
1
2
3
5
14
−9
5
부뇨드코르
6
0
3
3
5
11
−6
3
조브 아한
—
0 – 0
3 – 0
5 – 2
레크위야
0 – 1
—
4 – 0
0 – 0
알나스르
0 – 3
1 – 1
—
3 – 3
부뇨드코르
0 – 0
0 – 2
0 – 1
—
2016년 2월 23일 (2016-02-23 ) 18:15 UTC+3
2016년 2월 23일 (2016-02-23 ) 20:15 UTC+3
2016년 3월 1일 (2016-03-01 ) 18:00 UTC+5
2016년 3월 16일 (2016-03-16 ) 18:00 UTC+5
2016년 3월 16일 (2016-03-16 ) 20:15 UTC+3
2016년 4월 5일 (2016-04-05 ) 18:30 UTC+3
2016년 4월 20일 (2016-04-20 ) 19:00 UTC+5
2016년 5월 4일 (2016-05-04 ) 20:15 UTC+3
2016년 5월 4일 (2016-05-04 ) 20:15 UTC+3
C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트락토르 사지
6
4
0
2
10
3
+7
12
알힐랄
6
3
2
1
10
7
+3
11
파흐타코르
6
3
1
2
10
9
+1
10
알자지라
6
0
1
5
2
13
−11
1
트락토르 사지
—
1 – 2
2 – 0
4 – 0
알힐랄
0 – 2
—
4 – 1
1 – 0
파흐타코르
1 – 0
2 – 2
—
3 – 0
알자지라
0 – 1
1 – 1
1 – 3
—
2016년 2월 24일 (2016-02-24 ) 16:30 UTC+5
2016년 3월 2일 (2016-03-02 ) 20:30 UTC+4
2016년 3월 2일 (2016-03-02 ) 20:30 UTC+3
2016년 3월 15일 (2016-03-15 ) 17:00 UTC+5
2016년 3월 15일 (2016-03-15 ) 20:35 UTC+4
2016년 4월 6일 (2016-04-06 ) 20:45 UTC+3
2016년 4월 19일 (2016-04-19 ) 20:45 UTC+3
2016년 4월 19일 (2016-04-19 ) 20:50 UTC+4
2016년 5월 3일 (2016-05-03 ) 19:30 UTC+5
D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엘자이시
6
3
1
2
6
8
−2
10
알아인
6
3
1
2
8
6
+2
10
알아흘리
6
3
0
3
10
7
+3
9
나사프 카르시
6
1
2
3
4
7
−3
5
엘자이시
—
2 – 1
1 – 4
1 – 0
알아인
1 – 2
—
1 – 0
2 – 0
알아흘리
2 – 0
1 – 2
—
2 – 1
나사프 카르시
0 – 0
1 – 1
2 – 1
—
2016년 2월 24일 (2016-02-24 ) 19:00 UTC+4
2016년 2월 24일 (2016-02-24 ) 20:10 UTC+3
2016년 3월 2일 (2016-03-02 ) 18:00 UTC+5
2016년 3월 2일 (2016-03-02 ) 18:30 UTC+3
2016년 3월 16일 (2016-03-16 ) 19:10 UTC+4
2016년 3월 16일 (2016-03-16 ) 18:45 UTC+3
2016년 4월 5일 (2016-04-05 ) 18:45 UTC+5
2016년 4월 5일 (2016-04-05 ) 20:25 UTC+3
2016년 4월 19일 (2016-04-19 ) 19:30 UTC+5
2016년 4월 19일 (2016-04-19 ) 19:00 UTC+3
2016년 5월 3일 (2016-05-03 ) 21:00 UTC+4
2016년 5월 3일 (2016-05-03 ) 20:00 UTC+3
E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전북 현대 모터스
6
3
1
2
13
9
+4
10
FC 도쿄
6
3
1
2
8
8
0
10
장쑤 쑤닝
6
2
3
1
10
7
+3
9
빈즈엉
6
1
1
4
6
13
−7
4
전북 현대
—
2 – 1
2 – 2
2 – 0
FC 도쿄
0 – 3
—
0 – 0
3 – 1
장쑤 쑤닝
3 – 2
1 – 2
—
3 – 0
빈즈엉
3 – 2
1 – 2
1 – 1
—
2016년 2월 23일 (2016-02-23 ) 19:00 UTC+9
2016년 2월 23일 (2016-02-23 ) 17:00 UTC+7
2016년 3월 1일 (2016-03-01 ) 19:30 UTC+9
2016년 3월 1일 (2016-03-01 ) 20:00 UTC+8
2016년 3월 15일 (2016-03-15 ) 19:00 UTC+9
2016년 3월 15일 (2016-03-15 ) 19:30 UTC+9
2016년 4월 6일 (2016-04-06 ) 17:00 UTC+7
2016년 4월 6일 (2016-04-06 ) 20:00 UTC+8
2016년 4월 20일 (2016-04-20 ) 19:30 UTC+9
2016년 4월 20일 (2016-04-20 ) 20:00 UTC+8
2016년 5월 4일 (2016-05-04 ) 19:00 UTC+9
2016년 5월 4일 (2016-05-04 ) 17:00 UTC+7
F조
FC 서울
—
0 – 0
4 – 1
2 – 1
산둥 루넝
1 – 4
—
1 – 0
3 – 0
산프레체
2 – 1
1 – 2
—
3 – 0
부리람
0 – 6
0 – 0
0 – 2
—
2016년 2월 23일 (2016-02-23 ) 19:00 UTC+9
2016년 2월 23일 (2016-02-23 ) 18:00 UTC+7
2016년 3월 1일 (2016-03-01 ) 14:00 UTC+9
2016년 3월 1일 (2016-03-01 ) 15:30 UTC+8
2016년 3월 16일 (2016-03-16 ) 15:30 UTC+8
2016년 3월 16일 (2016-03-16 ) 19:00 UTC+9
2016년 4월 5일 (2016-04-05 ) 19:30 UTC+9
2016년 4월 5일 (2016-04-05 ) 17:00 UTC+7
2016년 4월 20일 (2016-04-20 ) 19:30 UTC+9
2016년 4월 20일 (2016-04-20 ) 19:00 UTC+8
2016년 5월 4일 (2016-05-04 ) 19:30 UTC+9
2016년 5월 4일 (2016-05-04 ) 17:30 UTC+7
G조
2016년 2월 24일 (2016-02-24 ) 19:45 UTC+11
2016년 2월 24일 (2016-02-24 ) 19:30 UTC+9
2016년 3월 2일 (2016-03-02 ) 19:00 UTC+9
2016년 3월 2일 (2016-03-02 ) 19:30 UTC+8
2016년 3월 15일 (2016-03-15 ) 19:45 UTC+11
2016년 3월 15일 (2016-03-15 ) 19:30 UTC+8
2016년 4월 6일 (2016-04-06 ) 19:00 UTC+9
2016년 4월 6일 (2016-04-06 ) 19:30 UTC+9
2016년 4월 19일 (2016-04-19 ) 19:00 UTC+9
2016년 4월 19일 (2016-04-19 ) 19:30 UTC+8
2016년 5월 3일 (2016-05-03 ) 20:00 UTC+10
2016년 5월 3일 (2016-05-03 ) 19:00 UTC+9
H조
2016년 2월 24일 (2016-02-24 ) 19:30 UTC+9
2016년 2월 24일 (2016-02-24 ) 19:30 UTC+8
2016년 3월 2일 (2016-03-02 ) 20:00 UTC+11
2016년 3월 2일 (2016-03-02 ) 19:30 UTC+9
2016년 3월 16일 (2016-03-16 ) 19:30 UTC+9
2016년 3월 16일 (2016-03-16 ) 19:30 UTC+8
2016년 4월 5일 (2016-04-05 ) 20:00 UTC+10
2016년 4월 5일 (2016-04-05 ) 19:30 UTC+9
2016년 4월 19일 (2016-04-19 ) 19:30 UTC+9
2016년 4월 20일 (2016-04-20 ) 20:00 UTC+10
2016년 5월 3일 (2016-05-03 ) 18:30 UTC+8
2016년 5월 3일 (2016-05-03 ) 19:30 UTC+9
결선 토너먼트
16강전
16강전은 조별 예선의 결과에 따라 각 조 1위와 다른 조 2위와 각각 맞붙으며 각 조 2위의 홈에서 1차전이 치러지고 각 조 1위의 홈에서 2차전이 치러진다.
서아시아
2016년 5월 17일 (2016-05-17 ) 19:15 UTC+3
2016년 5월 25일 (2016-05-25 ) 19:00 UTC+3
2016년 5월 17일 (2016-05-17 ) 20:45 UTC+4
2016년 5월 17일 (2016-05-17 ) 21:05 UTC+3
2016년 5월 24일 (2016-05-24 ) 18:00 UTC+5
2016년 5월 18일 (2016-05-18 ) 19:40 UTC+4
동아시아
2016년 5월 17일 (2016-05-17 ) 19:45 UTC+10
2016년 5월 24일 (2016-05-24 ) 19:00 UTC+9
2016년 5월 17일 (2016-05-17 ) 19:30 UTC+9
2016년 5월 24일 (2016-05-24 ) 19:30 UTC+8
2016년 5월 18일 (2016-05-18 ) 19:30 UTC+9
2016년 5월 25일 (2016-05-25 ) 19:30 UTC+9
2016년 5월 18일 (2016-05-18 ) 19:30 UTC+8
2016년 5월 25일 (2016-05-25 ) 20:00 UTC+10
8강전
서아시아
2016년 8월 23일 (2016-08-23 ) 19:30 UTC+4
2016년 9월 14일 (2016-09-14 ) 20:45 UTC+4
2016년 8월 24일 (2016-08-24 ) 19:00 UTC+3
2차전
2016년 9월 13일 (2016-09-13 ) 19:00 UTC+5
동아시아
2016년 8월 23일 (2016-08-23 ) 19:30 UTC+8
2016년 9월 13일 (2016-09-13 ) 19:00 UTC+9
2016년 8월 24일 (2016-08-24 ) 19:30 UTC+9
2016년 9월 14일 (2016-09-14 ) 19:30 UTC+8
준결승전
서아시아
2016년 9월 27일 (2016-09-27 ) 18:50 UTC+4
2016년 10월 18일 (2016-10-18 ) 18:15 UTC+3
동아시아
2016년 9월 28일 (2016-09-28 ) 19:00 UTC+9
2016년 10월 19일 (2016-10-19 ) 19:30 UTC+9
결승전
AFC 챔피언스리그 2016 결승전 은 AFC 챔피언스리그 2016 의 우승팀을 가리기 위한 경기로 2016년 11월 19일과 26일 각각 전주 와 알아인 에서 열렸다. 전북 현대 모터스 가 1, 2차전 합계스코어 3 – 2으로 알아인 을 꺾고 두 번째 우승을 거머쥐었다. 이 승리로 전북 현대 모터스는 FIFA 클럽 월드컵 2016 에 아시아 챔피언 자격으로 출전하게 되었다.
진출 팀
배경
전북과 알아인은 12년 전인 AFC 챔피언스리그 2004 8강에서 맞붙었던 적이 있다. 이때 1차전 1 – 0, 2차전 4 – 1로 전북이 모두 승리를 챙겼으며 당시 맞대결에 참가했던 선수들은 모두 은퇴, 이적하여 이번 맞대결에서 찾아볼 수 없다.
전북은 2006년, 알아인은 2003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팀으로 양팀 모두 우승 후 각각 2011년, 2005년에 준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양팀 모두 우승을 한 지 10년이 넘었기 때문에 우승 트로피에 대한 열망이 강하다.
전북은 조별예선에서 중국의 장쑤 쑤닝 , 일본의 FC 도쿄 , 베트남의 빈즈엉 FC 와 경쟁하여 1위를 차지하며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토너먼트에 진출한 전북은 16강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멜버른 빅토리 , 8강에서 중국의 상하이 상강 , 4강에서 대한민국의 FC 서울 을 차례로 격파하며 5년만에 결승에 안착했다. 특히 전북은 8강 2차전에서 5 – 0, 4강 1차전에서 4 – 1 등의 엄청난 스코어를 내며 결승에 오르기까지 26득점의 막강한 화력을 뽑냈다.
알아인은 조별예선에서 카타르의 엘자이시 SC 에 이어 2위로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이후 알아인은 이란의 조브 아한 FC , 우즈베키스탄의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를 꺾고 4강에서 엘자이시를 다시 만났다. 조별예선에서 이미 맞붙었던 엘자이시를 상대로 알아인은 합계스코어 5 – 3을 만들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까지의 경기
리뷰
1차전
1차전은 전북 현대의 홈구장인 전주월드컵경기장 에서 치러졌다. 전북의 최강희 감독은 오른쪽 풀백인 최철순 을 수비형 미드필더로 내세워 알아인의 에이스인 오마르 압둘라흐만 을 막도록 하는 시프트를 사용했다. 이를 예상한 즐라트코 달리치 감독은 최전방으로 배치해 최철순을 따돌리려 했으나 이마저도 예상한 최강희 감독이 최철순과 김형일의 위치를 바꾸게 하여 오마르를 봉쇄했다. 비록 선제골 장면에서 오마르에게 어시스트를 허용했지만 전반적으로 오마르를 잘 막아냈다. 전반전을 0-0으로 마쳤으나 후반 시작 17분 만에 알아인이 선제골을 넣었다. 하지만 선제골 허용 7분만에 레오나르도 가 벼락같은 중거리 강슛으로 동점골을 만들었다. 그리고 8분 뒤 알아인 수비수들이 김신욱 에게 향하던 이동국 의 크로스를 막으려다 페널티 박스 내에서 파울을 범했고 또다시 레오나르도가 페널티 골을 성공시키며 2-1 역전승을 만들었다. 3만 6천명이 넘는 관중이 모인 가운데 전북의 서포터즈인 매드 그린 보이즈 는 카드세션 등 다양한 퍼포먼스를 준비했고 서포터즈만이 아닌 일반 관중도 응원가를 부르며 응원하는 장관이 만들어졌다.
2차전
2차전은 알아인의 홈구장인 하자 빈 자예드 경기장 에서 치러졌다. 알아인은 전북과 약속한 연습 경기장을 유소년 축구 대회를 핑계로 내주지 않았고 결국 전북은 전지훈련을 했던 아부다비 로 이동해서 훈련을 진행했다. 경기 시작 2분만에 전북의 윙어 로페즈 가 부상으로 한교원 과 교체되었다. 초반부터 악조건에서 경기를 시작한 전북은 30분 코너킥 상황에서 교체투입된 한교원 이 선제골을 득점하며 합계 스코어 3-1을 만들었다. 하지만 알아인은 4분만에 이명주 의 동점골로 쫓아갔고 계속해서 맹공을 퍼부었다. 경기중 오마르가 최철순의 발을 고의로 밟는 등 악의적인 몸싸움이 빈번했다. 알아인은 계속해서 비매너 플레이를 보였고 전반 막판에 한교원 이 그라운드에 쓰러졌으나 경기를 계속 진행했다. 이로 인해 벤치에서 말싸움이 벌어졌으며 전북의 박충균 코치와 알아인의 즐라트코 달리치 감독이 퇴장당했다. 하지만 퇴장당한 달리치 감독이 관중석에서 계속 선수들에게 지시를 내리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 후반에 최강희 감독은 경기 전 구상했던 빌드업이 잘 되지 않자 포스트 플레이를 노리고 이동국과 김신욱을 교체했다. 후반전은 치열한 공방 속에서 득점 없이 흘러갔고 후반이 얼마 안남은 상황에서도 최강희 감독은 미드필더인 김보경 을 빼고 공격수 에두 를 투입하는 초강수를 두었다. 추가시간 5분이 주어졌으나 전북은 공격을 잘 막아냈고 끝까지 과격했던 두 팀의 경기는 1 – 1로 종료되었다. 1 – 1 무승부로 합계스코어는 3 – 2가 되었으며 전북 현대 모터스가 10년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김형일 은 부상당한 팔과 어깨에 통증을 느끼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일본 주심의 편파 판정이 이어졌으나 10년전 신인으로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경험했던 주장 권순태 가 알아인의 슈팅을 모두 막아버리는 대활약을 펼쳤다.
경기
1차전
AFC 맨 오브 더 매치:
레오나르도 (전북 현대 모터스)
2차전
AFC 맨 오브 더 매치:
최철순 (전북 현대 모터스)
우승
득점 선수
같이 보기
각주
↑ “AFC Calendar of Competitions 2016 - 2018” (PDF) . AFC.
↑ 가 나 다 라 마 바 2016년 3월 16일 AFC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양국 간의 정치적 분쟁 을 고려하여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축구 클럽 간의 모든 경기를 중립 지대에서 열기로 결정하였다.
↑ 광저우 헝다는 AFC 챔피언스리그 규정 위반에 대한 징계에 따라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렀다.
↑ 알나스르는 엘자이시와의 원정 경기(원래는 알나스르의 3 – 0 승리로 기록되었음)에서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0 – 3 몰수패를 당했다. 문제의 부적격 선수인 완데를레이(Wanderley)는 가짜 인도네시아 여권을 소지하고 있던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