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

2027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
개최기간2025년 3월 25일 ~ 2026년 3월 31일
« 2023
2031 »

2027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은 2027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기 위해 개최국과 2차 예선을 거쳐 자동 진출한 총 18개 팀을 제외한 나머지 6팀을 가리기 위한 최종 예선으로 2025년 3월 25일부터 2026년 3월 31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6개조 4팀씩 나누어서 각 조 1위팀만 추가로 2027년 아시안컵 본선에 합류한다.

참가국

1차 예선 각 패자들 중 최고 성적 3팀

2차 예선 각 조 3·4위팀

시드 배정

2024년 11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시드가 배정되었으며 조 추첨은 2024년 12월 9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

1번 포트 2번 포트 3번 포트 4번 포트
  1. 시리아 시리아 (95위)
  2. 태국 태국 (97위)
  3.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104위)
  4. 레바논 레바논 (112위)
  5. 베트남 베트남 (116위)
  6. 인도 인도 (127위)
  1.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132위)
  2.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143위)
  3. 필리핀 필리핀 (149위)
  4.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155위)
  5. 홍콩 홍콩 (156위)
  6. 예멘 예멘 (158위)
  1. 싱가포르 싱가포르 (161위)
  2. 몰디브 몰디브 (162위)
  3.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165위)
  4. 미얀마 미얀마 (167위)
  5. 네팔 네팔 (175위)
  6. 부탄 부탄 (182위)
  1. 브루나이 브루나이 (184위)
  2.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185위)
  3. 라오스 라오스 (186위)
  4. 동티모르 동티모르 (196위)
  5. 파키스탄 파키스탄 (198위)
  6. 스리랑카 스리랑카 (200위)

경기 일정

각 경기 일정들은 다음과 같다.[2][3]

경기일 날짜 경기 대진
경기일 1 2025년 3월 25일 1 v 4, 3 v 2
경기일 2 2022년 6월 10일 4 v 3, 2 v 1
경기일 3 2025년 10월 9일 4 v 2, 1 v 3
경기일 4 2025년 10월 14일 2 v 4, 3 v 1
경기일 5 2025년 11월 18일 4 v 1, 2 v 3
경기일 6 2026년 3월 31일 1 v 2, 3 v 4

경기 결과

A조

순위 경기 승점 통과 필리핀 타지키스탄 동티모르 몰디브
1 필리핀 필리핀 1 1 0 0 4 1 +3 3 2027년 AFC 아시안컵 10 Jun 14 Oct 4-1
2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1 1 0 0 1 0 +1 3 31 Mar '26 1-0 9 Oct
3 동티모르 동티모르 1 0 0 1 0 1 −1 0 9 Oct 18 Nov 10 Jun
4 몰디브 몰디브 1 0 0 1 1 4 −3 0 18 Nov 14 Oct 31 Mar '26
2025년 3월 25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AFC
타지키스탄 1 - 0 동티모르
바흐닷 하노노프 3분에 득점 3′
파미르 경기장, 두샨베
관중: 8520
심판: 이란 세예드바히드 카제미
필리핀 4 - 1 몰디브
제퍼슨 타비나스 6분에 득점 6′
비외른 마틴 크리스텐슨 19분에 득점 19′
랜디 슈타이더 77분에 득점 77′
산드로 레예스 90+2분에 득점 90+2′
62분에 득점 62′ 알리 파시르
뉴 클라크 시티 경기장, 카파스
관중: 3334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대니얼 엘더

동티모르 v 몰디브
(중립경기장)
심판:
필리핀 v 타지키스탄
리잘 기념경기장, 마닐라
심판:

동티모르 v 필리핀
(중립경기장)
심판:
타지키스탄 v 몰디브
파미르 경기장, 두샨베
심판:

필리핀 v 동티모르
리잘 기념경기장, 마닐라
심판:
몰디브 v 타지키스탄
국립축구경기장, 말레
심판:

동티모르 v 타지키스탄
(중립경기장)
심판:
몰디브 v 필리핀
국립축구경기장, 말레
심판:

타지키스탄 v 필리핀
파미르 경기장, 두샨베
심판:
몰디브 v 동티모르
국립축구경기장, 말레
심판:

B조

순위 경기 승점 통과 레바논 부탄 예멘 브루나이
1 레바논 레바논 1 1 0 0 5 0 +5 3 2027년 AFC 아시안컵 9 Oct 31 Mar '26 5-0
2 부탄 부탄 1 0 1 0 0 0 0 1[a] 14 Oct 0-0 31 Mar '26
3 예멘 예멘 1 0 1 0 0 0 0 1[a] 10 Jun 18 Nov 14 Oct
4 브루나이 브루나이 1 0 0 1 0 5 −5 0 18 Nov 10 Jun 9 Oct
2025년 3월 26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AFC
비고:
  1. 벌점: 부탄: −1, 예멘: −2
부탄 0 - 0 예멘
창리미탕 경기장, 팀푸
관중: 4700
심판: 인도네시아 토리크 알카티리
레바논 5 - 0 브루나이
말렉 파흐로 5분, 28분에 득점 5′28′
사미 메레그 21분에 득점 21′
후세인 샤크룬 33분에 득점 33′
모하메드 하이다르 90분에 득점 90′
사우디 빈 압둘라흐만 경기장, 알와크라, 카타르 카타르[4]
관중: 282
심판: 인도 베니카테시 라마찬드란

브루나이 v 부탄
심판:
예멘 v 레바논
심판:

브루나이 v 예멘
심판:
레바논 v 부탄
심판:

예멘 v 브루나이
심판:
부탄 v 레바논
심판:

브루나이 v 레바논
심판:
예멘 v 부탄
심판:

레바논 v 예멘
심판:
부탄 v 브루나이
심판:

C조

순위 경기 승점 통과 인도 홍콩 방글라데시 싱가포르
1 인도 인도 1 0 1 0 0 0 0 1[a] 2027년 AFC 아시안컵 31 Mar '26 0-0 9 Oct
2 홍콩 홍콩 1 0 1 0 0 0 0 1[a] 10 Jun 14 Oct 18 Nov
3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1 0 1 0 0 0 0 1[a] 18 Nov 9 Oct 10 Jun
4 싱가포르 싱가포르 1 0 1 0 0 0 0 1[a] 14 Oct 0-0 31 Mar '26
2025년 3월 25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AFC
비고:
  1. 벌점: 인도: 0, 홍콩: −1, 방글라데시: −2, 싱가포르: −2
싱가포르 0 - 0 홍콩
싱가포르 국립경기장, 싱가포르
관중: 8064
심판: 대한민국 채상협
인도 0 - 0 방글라데시
자와할랄 네루 경기장, 실롱
관중: 14,952
심판: 레바논 후세인 아보 예히아

방글라데시 v 싱가포르
심판:
홍콩 v 인도
심판:

방글라데시 v 홍콩
심판:
인도 v 싱가포르
심판:

홍콩 v 방글라데시
심판:
싱가포르 v 인도
심판:

방글라데시 v 인도
심판:
홍콩 v 싱가포르
심판:

인도 v 홍콩
심판:
싱가포르 v 방글라데시
심판:

D조

순위 경기 승점 통과 투르크메니스탄 태국 중화 타이베이 스리랑카
1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1 1 0 0 2 1 +1 3 2027년 AFC 아시안컵 10 Jun 18 Nov 14 Oct
2 태국 태국 1 1 0 0 1 0 +1 3 31 Mar '26 9 Oct 1-0
3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1 0 0 1 1 2 −1 0 1-2 14 Oct 31 Mar '26
4 스리랑카 스리랑카 1 0 0 1 0 1 −1 0 9 Oct 18 Nov 10 Jun
2025년 3월 25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AFC
중화 타이베이 1 - 2 투르크메니스탄
앙쥬 쿠아메 63분에 득점 63′ 48분에 득점 48′ 엘만 타가예프
83분에 득점 83′ 야즈글르치 구르바노프
관중: 1897
심판: 카타르 압둘하디 알-루아일레
태국 1 - 0 스리랑카
파트릭 구스타브손 43분에 득점 43′
관중: 17,207
심판: 중국 장레이

스리랑카 v 중화 타이베이
심판:
투르크메니스탄 v 태국
심판:

스리랑카 v 투르크메니스탄
심판:
태국 v 중화 타이베이
심판:

투르크메니스탄 v 스리랑카
심판:
중화 타이베이 v 태국
심판:

스리랑카 v 태국
심판:
투르크메니스탄 v 중화 타이베이
심판:

태국 v 투르크메니스탄
심판:
중화 타이베이 v 스리랑카
심판:

E조

순위 경기 승점 통과 시리아 미얀마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1 시리아 시리아 1 1 0 0 2 0 +2 3 2027년 AFC 아시안컵 9 Oct 31 Mar '26 2-0
2 미얀마 미얀마 1 1 0 0 2 1 +1 3 14 Oct 2-1 31 Mar '26
3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1 0 0 1 1 2 −1 0 10 Jun 18 Nov 14 Oct
4 파키스탄 파키스탄 1 0 0 1 0 2 −2 0 18 Nov 10 Jun 9 Oct
2025년 3월 26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AFC
미얀마 2 - 1 아프가니스탄
탄파잉 28분에 득점 28′
마웅마웅르윈 75분에 득점 75′
14분에 득점 14′ 오미드 포팔자이
투운나 경기장, 양곤
관중: 6500
심판: 오만 야햐 알 발루시
시리아 2 - 0 파키스탄
아흐마드 파카 23분에 득점 23′
오마르 알 소마 56분에 득점 56′
압둘라 빈 잘라위 왕자 경기장, 호푸프,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6]
관중: 1217
심판: 태국 시와꼰 뿌=우돔

파키스탄 v 미얀마
심판:
아프가니스탄 v 시리아
심판:

파키스탄 v 아프가니스탄
심판:
시리아 v 미얀마
심판:

아프가니스탄 v 파키스탄
심판:
미얀마 v 시리아
심판:

파키스탄 v 시리아
심판:
아프가니스탄 v 미얀마
심판:

시리아 v 아프가니스탄
심판:
미얀마 v 파키스탄
심판:

F조

순위 경기 승점 통과 베트남 말레이시아 네팔 라오스
1 베트남 베트남 1 1 0 0 5 0 +5 3 2027년 AFC 아시안컵 31 Mar '26 9 Oct 5-0
2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1 1 0 0 2 0 +2 3 10 Jun 2-0 14 Oct
3 네팔 네팔 1 0 0 1 0 2 −2 0 14 Oct 25 Mar 31 Mar '26
4 라오스 라오스 1 0 0 1 0 5 −5 0 18 Nov 10 Jun 9 Oct
2025년 3월 25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AFC
베트남 5 - 0 라오스
처우응옥꽝 11분에 득점 11′
응우옌반비 44분, 50분에 득점 44′50′
응우옌하이롱 63분에 득점 63′
응우옌꽝하이 84분에 득점 84′
고더우 경기장, 투저우못
관중: 11,068
심판: 아랍에미리트 야햐 알 물라
말레이시아 2 - 0 네팔
헥터 헤벨 29분에 득점 29′
라베르 코빈-옹 71분에 득점 71′
술탄 이브라힘 경기장, 이스칸타르 푸테리(조호르바루)
관중: 7895
심판: 일본 가사하라 히로키

라오스 v 네팔
심판:
말레이시아 v 베트남
심판:

라오스 v 말레이시아
심판:
베트남 v 네팔
심판:

말레이시아 v 라오스
심판:
네팔 v 베트남
심판:

라오스 v 베트남
심판:
네팔 v 말레이시아
심판:

베트남 v 말레이시아
심판:
네팔 v 라오스
심판:

같이 보기

각주

  1. 2027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을 앞두고 FIFA로부터 징계 제재를 받으면서 아시안컵 3차 예선 출전이 불가능해질 위기를 맞자 결국 파키스탄 축구 연맹이 헌법 변경을 승인하기로 함에 따라 2025년 3월 2일 징계가 극적으로 해제되었다.
  2. “AFC Competitions Calendar (Jul 2024 - Jun 2025)” (PDF). AFC. 
  3. “AFC Competitions Calendar (Jul 2025 - Jun 2026)” (PDF). AFC. 
  4. 레바논은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때문에 모든 홈 경기를 중립 홈경기로 치룰 것이다.
  5. 예멘은 예멘 내전 때문에 모든 홈 경기를 중립 지대에서 중립 홈경기로 치른다.
  6. 시리아는 지속적 시리아 내전 때문에 모든 홈 경기를 중립지역에서 치른다.
  7. 아프가니스탄의 경우 탈레반의 아프간 점령 등으로 국내 사정과 치안이 매우 불안정하고 아프간 축구협회가 카타르로 망명 중인 상황에서 아프간계 해외파 선수들로만으로는 대표팀을 운영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모든 홈 경기를 중립지대에서 치른다.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