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축구 국가대표팀(라오어: ທິມຊາດ ບານເຕະ ແຫ່ງຊາດ ລາວ; 프랑스어: Équipe du Laos de football)은 라오스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라오스 축구 연맹에서 관리하고 있다. 아시아 축구 최약체로 평가되는 팀들 중 하나로 1961년 12월 12일 미얀마 양곤에서 열린 베트남과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경기 데뷔전을 치렀으며 현재 라오스 신국립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제 대회 경력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서 1무 1패로 캄보디아, 스리랑카, 마카오와 동률을 이뤘음에도 다득점과 득실차에서 앞서면서 탈락 10팀 중 3위로 사상 첫 아시안컵 최종 예선 진출을 이뤄냈다.
아세안 챔피언십에는 13번 출전하였지만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물론 1996년 대회와 2004년 대회에서 1승씩 거두긴 했지만 그나마도 그 상대는 같은 최약체팀인 캄보디아였으며 현재까지 이 두 대회를 제외한 나머지 대회에서는 단 1승도 거두지 못하면서 최약체팀다운 면모를 보이고 있다.
역대 아시안 게임에는 U-23 대표팀까지 포함해 2번 출전하였지만 1998년 대회에서 이란을 상대로 1골만 넣었을 뿐 무려 20골을 얻어맞으면서 2번의 대회에서 통산 5전 전패로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마지막 대회인 2014년 대회에 유일하게 출전하여 투르크메니스탄과 필리핀에게 2연패를 당했고 아프가니스탄과의 최종전에서 비기면서 1무 2패·B조 꼴찌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 탈락팀 자격으로 참가한 2016년 초대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면서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역대 최고 성적을 남겼고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한 것은 물론 11골로 팀 득점 부문에서도 1위에 올랐으며 2023년에 AFC 솔리대리티컵이 폐지되면서 통산 성적에서 1위를 영구히 지키게 되었다.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 (예선)
AFF 스즈키컵 기록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96년 |
조별리그 |
7위 |
4 |
1 |
1 |
2 |
5 |
10 |
4
|
1998년 |
조별리그 |
7위 |
3 |
0 |
1 |
2 |
2 |
8 |
1
|
2000년 |
조별리그 |
9위 |
4 |
0 |
0 |
4 |
0 |
16 |
0
|
2002년 |
조별리그 |
8위 |
3 |
0 |
1 |
2 |
3 |
8 |
1
|
2004년 |
조별리그 |
8위 |
4 |
1 |
0 |
3 |
4 |
16 |
3
|
2007년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1 |
23 |
0
|
2008년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0 |
13 |
0
|
2010년 |
조별리그 |
8위 |
3 |
0 |
1 |
2 |
3 |
13 |
1
|
2012년 |
조별리그 |
7위 |
3 |
0 |
1 |
2 |
6 |
10 |
1
|
2014년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2 |
12 |
0
|
2016년 |
예선 탈락
|
아세안 2018년 |
조별리그 |
10위 |
4 |
0 |
0 |
4 |
3 |
12 |
0
|
합계 |
|
|
33 |
2 |
5 |
30 |
29 |
141 |
11
|
AFC 솔리대리티컵 기록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2016년 |
4강 |
3위 |
5 |
3 |
1 |
1 |
11 |
9 |
10
|
합계 |
|
|
5 |
3 |
1 |
1 |
11 |
9 |
10
|
주요 선수
- 분파찬 분콩
- 수카포네 봉치엔캄
- 아난타자 시퐁판
- 초니 웬파세르트
- 마이클 방
- 찬타비사이 쿤툼포네
- 푸트다비 폼마사네
- 푸타봉 상빌라이
역대 감독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