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국가의 아시안 게임에서의 남자 축구 최고성적 (금메달-금색, 은메달-갈색, 동메달-회색, 기타-연보라)
아시안 게임 의 운동 종목으로서의 남자 축구 는 1951년 아시안 게임 때부터 시작되었고 여자 축구는 1990년 아시안 게임 때부터 시작되었다.
개요
1998년 아시안 게임 까지는 연령 제한이 없었기 때문에 FIFA 월드컵 이나 AFC 아시안컵 처럼 국가대표팀이 참가할 수 있었으나 2002년 아시안 게임 부터는 남성팀의 나이 제한이 올림픽 축구 와 마찬가지로 23세 이하로 정해졌다.
그러나 상당수의 출전팀이 곧이어 시작되는 올림픽 예선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21세 이하 선수를 주축으로 선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실정이며 나이 제한을 받지 않는 일명 '와일드카드'는 올림픽 축구와 마찬가지로 3명까지 선발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여자팀의 경우 U-23 대표팀이 없기 때문에 AFC 여자 아시안컵 이나 FIFA 여자 월드컵 , 올림픽 축구처럼 나이 제한없이 성인 국가대표팀이 참가한다.
그리고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과 AFC 아시안컵과는 달리 호주 는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OCA) 회원국이 아니므로 이 대회에는 참가가 아예 불가능하며 카자흐스탄 도 OCA의 회원국으로서 다른 종목에는 참가하지만 2002년부터 아시아 축구 연맹 을 탈퇴하고 유럽 축구 연맹 으로 편입함에 따라 축구 종목만큼은 참가하지 않는다.
남성
요약
1 공동 우승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은 준결승전 경기에서 심판을 폭행하여 아시아축구연맹 (AFC)로부터 자격정지 2년의 징계처분을 받았다. 사우디아라비아 가 이로 인해 3위 결정전에서 경기를 치르지 않고 자동(몰수승)으로 승리하였다.
메달 집계
팀
금
은
동
대한민국
6 (1970, 1978, 1986*, 2014*, 2018, 2022 )
3 (1954, 1958, 1962)
3 (1990, 2002*, 2010)
이란
4 (1974*, 1990, 1998, 2002)
2 (1951, 1966)
1 (2006)
인도
2 (1951*, 1962)
1 (1970)
미얀마
2 (1966, 1970)
1 (1954)
중화 타이베이 #
2 (1954, 1958)
일본
1 (2010)
3 (2002, 2018, 2022)
1 (195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1978)
2 (1990, 2014)
이라크
1 (1982)
1 (2006)
1 (2014)
우즈베키스탄
1 (1994)
1 (2022)
카타르
1 (2006*)
쿠웨이트
2 (1982, 1998)
2 (1986, 1994)
중화인민공화국
1 (1994)
2 (1978, 1998)
사우디아라비아
1 (1986)
1 (1982)
아랍에미리트
1 (2010)
1 (2018)
이스라엘
1 (1974)
말레이시아
2 (1962, 1974)
인도네시아
1 (1958)
* = 개최국
# = 차이니스 타이베이는 타이완(중화민국)으로 알려져 있다. 1979년 이후에 공식인정 받았다.
여성
요약
3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4 라운드 로빈 순위에 의해 결정
메달 집계
팀
금
은
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2002, 2006, 2014)
3 (1998, 2010, 2022)
2 (1990)
중화인민공화국
3 (1990*, 1994, 1998)
2 (2002, 2018)
2 (2006, 2022)
일본
3 (2010, 2018, 2022)
4 (1990, 1994*, 2006, 2014)
2 (1998, 2002)
대한민국
3 (2010, 2014*, 2018)
중화 타이베이
1 (1994)
* = 개최국
같이 보기
외부 링크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FIFA 비회원국 종합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