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을 제안하시거나 찬성하시는 분들께서 번역이 충분히 잘 되었는지, 직역이 어색해서 의역할 것은 없는지, 한국어 위키백과의 실정에 잘 맞는지 검토를 해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번역 지침의 경우는 이 작업이 필수적입니다. --hun99 (토론) 2012년 11월 29일 (목) 00:51 (KST)답변
COI가 쓰이는 문맥에 맞는 우리말은 “이해관계의 충돌”보다는 “이해관계”가 맞는 것 같습니다. 본문에도 “이해관계의 충돌에 의한 편집”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충돌은 문서를 편집하지 않습니다. “이해관계에 의한”편집이 더 자연스럽고, 좀 더 자연스러운 말은 “이해관계가 있는 문서의 편집”일 것입니다. --10k (토론) 2014년 3월 11일 (화) 09:00 (KST)답변
이 정책을 도입하는것에는 찬성을 하는데 현재 문서 구성을 보면 영어판과 비교해서 일단 목차순서가 다르고, 어떤 파트는 영문파트를 알수없고 어떤 파트는 한글 문서에 빠져있고, 어떤것은 위치한 문단이 다릅니다. 구성이 다를수도 있지만 현재 목차구성이나 차이의 의도를 알수가 없는데 뭔가 설명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제안) 지금은 번역문제와 정책문제가 혼재되어 있어서 번역도 정책토론도 다 어렵습니다. 앞으로는 번역문서와 정책문서를 분리해서 관리하는 것이 어떨까요. 그래서 번역문서는 원본문서와의 일치화를 목적으로 하고 꾸준히 과감한 편집을 허용하고, 정책문서에서는 필요할때 필요한 부분만 인용해서 정책도입 토론만 하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일단 백:사랑방 (정책)#(제안) 정책문서와 번역문서의 구분으로 토론 개설해 놓겠습니다. 그리고 정책도입절차를 좀 더 일반화 하고자 하는 토론도 개설되어 있습니다(백:사랑방 (정책)#정책·지침 수정 방법 일반론)
(이 문서 관련) 일단 목차를 영문문서에 준하게 1.COI관련 정의 - 2.COI 분쟁을 회피할수 있는 방법(#이해관계의 충돌을 가질 수 있는 편집자들, #이해관계의 충돌 편집을 피하는 방법) - 3.COI 분쟁을 회피하지 못했을 경우 대처방법(#이해관계의 충돌을 다루는 방법) 의 순서로 구성하는것이 직감적이지 않을까요. 이렇게 큰 틀을 잡고 나서 영문문서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가감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개별적인 토론을 하는것이 좋겠습니다. --라이딩(RidingW) (토론) 2014년 3월 18일 (화) 03:49 (KST)답변
찬성하나 문제점이 있습니다. "분류:편집 요청"이 없고, "이해관계의 충돌 알림판"도 없으며, "그런 것은 위키백과의 괴롭힘 금지 조항에 의해서 금지되어 있습니다. "와 같이 존재하지 않는 조항을 기반으로 서술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만 고치면 지침으로 해도 되겠습니다.--콩가루 (토론) 2014년 9월 27일 (토) 23:49 (KST)답변
위키미디어 재단의 이용 약관은 모든 편집자가 "대가로 받거나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모든 기여에 대해 자신의 고용주, 클라이언트 및 소속"을 공개하도록 요구합니다.[1]
공표하지 않은 대가성 편집
당신은 금전적 이익을 취하기 위한 목적과 기여에 대해 당신이 보상을 받거나 받을 것을 기대하는 모든 종류의 고용주, 고객과의 제휴 관계에 있어 이를 밝혀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당신은 다음에 해당하는 한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이를 공표해야 합니다.
사용자 문서에 해당 사실을 공표하거나,
대가성 편집을 한 문서의 토론 문서에 해당 사실을 공표하거나,
대가성 편집의 편집 요약에 해당 사실을 공표하여야 합니다.
또한, 모종의 보상을 대가로 위키피디아에서 광고 편집 서비스를 통해 게시물을 작성하면, 귀하가 이 서비스에 사용하거나 사용할 모든 위키백과의 계정을 또 다른 제3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공개된 게시물에 공개해야 합니다.
준거하는 법률 및 재단, 공동체의 정책과 지침, 예를 들어 이해관계의 충돌을 다루는 정책에 따라서, 대가성 편집이 제한되거나 더 많은 정보를 공개해야 할 수 있습니다.
각 위키미디어 프로제트는 별도의 대가성 편집 공표 정책을 가질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에서 별도의 대가성 편집 공표 정책을 수립한 경우, 해당 프로젝트에서 기여할 때 이 이용 약관의 제한 사항을 준수하는 대신 해당 프로젝트의 정책을 준수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대가성 편집 정책은 해당 정책에 해당 프로젝트의 공동체에 의해 승인되고 대체 대가성 편집 공표 정책 문서에 등록되어야 효력을 갖습니다.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커뮤니티는 이 절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유료 기여 공개 정책을 채택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대체 공개 정책을 채택하면 특정 프로젝트에 기여할 때 이 절(제목 "공개하지 않은 유료 기여")의 요구 사항 대신 해당 정책을 준수할 수 있습니다.
위 약관에 따라 자신의 사용자 문서나 편집 요약 등에 자신이 돈 받고 기여하고 있음을 알리지 않은 경우 차단될 수 있습니다. 또한 관리자 및 사무관 권한은 유료 기여 활용이 금지됩니다. 만약 공표되지 않은 유료 기여를 발견하셨다면 위키백과:사랑방에 알려주시거나 info-ko@wikimedia.org로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편집자는 위키백과에 대한 모든 유료 기여에 대해 자신의 고용주, 클라이언트 및 소속을 공개해야 합니다.
고용주: 사용자에게 위키백과에 기여하도록 직접 또는 중개자를 통해 대가를 지불하는 사람 또는 조직. 여기에는 고용주가 사용자를 직원으로 고용했거나, 프리랜서 계약에 따라 사용자를 참여시켰거나, 계약 없이 사용자에게 대가를 지급하거나, 다른 조직에 의한 사용자의 고용을 통해 사용자에게 대가를 지급하는 경우가 포함됩니다.
클라이언트: 편집이 이루어지는 대상인 사람 또는 조직; 클라이언트는 종종 문서의 주제.
소속: 유료 편집에 텍스트, 이미지 또는 기타 미디어를 제공하는 사람이나 사업체를 포함하여 관련될 수 있는 기타 연결. 유료 편집자가 계약자로 일하는 경우 "소속"에는 거래에 관련된 모든 중개인(예: Fiverr, 업워크 등)이 포함.
기여: 토론 문서 및 샌드박스 기여를 포함하여 위키백과에 추가되거나 삭제된 모든 텍스트 또는 파일, 그리고 유료 편집자의 요청에 따라 다른 사람이 문서에 추가하거나 삭제한 자료.
지불 또는 대가: 돈, 상품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대가를 받는 상주 위키백과인은 자신에게 대가를 지불하는 조직(GLAM 또는 이와 유사한 조직)을 공개해야 합니다.[2]
더불어 "또한 관리자 및 사무관 권한은 유료 기여 활용이 금지됩니다"는 어떤 근거로 삽입된 것인지 알 수 있을까요? 이것도 어눌한 어투가 기계번역 느낌으로 보아 영위백 거 그대로 기계번역/LLM으로 복사해온 게 아닌가 의심되긴 하는데…말이죠. — regards, Revi2025년 7월 31일 (목) 19:1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