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삭제 토론

삭제 토론
삭제 토론
 2025년 7월 
새로 고침 / 보존 문서

삭제 토론

삭제 토론은 백과사전 항목으로 적당하지 않거나 필요 없다고 여겨지는 문서나 틀, 파일이 있을 때, 삭제 정책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는 곳입니다. 삭제 토론 회부는 누구든지 할 수 있습니다. 삭제 토론은 삭제 절차에 따라 진행됩니다.

새로운 삭제 토론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 시작할 수 있습니다.

  1. 삭제 토론을 발의하기 전에 먼저 다른 대안이 없는지 살펴주십시오. 정책에 명시된 대로 충분한 검토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2. 해당 문서의 상단에 {{풀기:삭제 토론}}이라고 적어 주세요. 이 때 나오는 안내문의 지시대로 삭제 토론 페이지를 만들면 됩니다. 여기서 삭제 토론의 발의자는 삭제 토론에 회부한 이유와 원하는 결과의 방향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만약 종결된 삭제 토론이 존재하고 있거나 토론에 부칠 항목이 두 개 이상 있는 경우는 {{풀기:삭제 토론|열고자 하는 삭제토론방 이름}}을 이용하면 됩니다. 모든 삭제 토론의 대상이 되는 문서에 틀을 빠뜨리지 말고 부착해 주세요.
  3. 해당 문서의 생성자 또는 주요 기여자(확인 도구)에게 {{삭제 토론 알림}} 틀 등을 이용하여 알려 주세요. (필수)

삭제 토론의 진행과 종결은 다음과 같습니다.

삭제 토론의 진행

  • 삭제 토론의 결론은 다수결로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삭제 토론 시작 후에 등록되거나 기여가 극히 적은 사용자 계정의 의견과 모든 IP 사용자의 의견은 유지/삭제 판단 시 그 비중을 낮게 둘 수 있습니다. 또한 다중 계정을 부정하게 이용하거나 토론 중에 차단된 사용자의 의견은 결정에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삭제 토론에 회부된 문서에 대하여 {{삭제}} 또는 {{유지}} 틀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삭제 토론의 중립성을 위해, 발의자는 삭제유지 등의 투표 틀을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 문서의 '질'이 낮거나 '양'이 적다는 의견은 삭제 사유로 인정되지 않으며, 기여자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보강 여부'에 따른 조건부 유지/삭제 의견도 성립할 수 없으며, 개정 의견은 유지 의견에 속합니다.
  • 다중 문서를 회부할 때에는 하나의 문서를 대표로 설정하고, 나머지 문서들을 나열해야 합니다.

삭제 토론의 종결

  • 삭제 토론은 발제 기준 최소 7일 동안 진행되어야 합니다.
  • 발제자가 삭제 토론을 철회하거나 빠른 유지, 빠른 삭제 기준을 만족할 때 관리자는 7일이 지나기 이전에 종결할 수 있습니다. 삭제 토론의 결과가 불보듯 뻔하면 관리자의 재량으로 종결할 수 있지만, 자주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 삭제 토론은 일반적으로 관리자가 종결할 수 있습니다. 다만, 등록된 사용자는 본인 권한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결론이라면 7일이 지난 시점에서 종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자가 아님을 명시해야 합니다. 단, 논란의 여지가 완전히 없을 경우에만 처리해야 하며, 잘못 종결되었다면 관리자에 의해 결정이 되돌려질 수 있습니다.
  • 관리자는 삭제 토론 발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삭제 토론을 총의 없이 기각할 수 있습니다.
  • 1개월 이상 진행 중인 장기 미완료 토론의 경우 해당 시점까지 진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삭제 혹은 유지로, 장기 인증된 사용자가 종결 가능합니다. 다만, 삭제로 종결 시 일반 사용자는 문서에 붙은 삭제 토론 틀을 삭제 신청 틀로 대체하고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에 삭제 요청을 해야 합니다. 토론 종결 후 삭제 요청을 하지 않거나, 관리자가 종결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판단할 경우 토론 종결이 되돌려질 수도 있습니다. 종결 선언을 한 장기 인증된 사용자 외에 다른 사용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종결 선언을 되돌리는 행위를 피해야 합니다.
  • 삭제 토론 종결 시 문서 토론에 틀:삭제 토론 역사를 부착할 수 있습니다.
장기 미완료 토론
1개월 이상 계속되고 있는 삭제 토론의 목록입니다. 다음 목록에 있는 토론에 대하여 삭제 혹은 유지로 종결하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복구에 대한 토론은 복구 토론을 확인해 주세요.

모바일 스킨 버그가 수정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니, 편집 버튼()을 직접 클릭하여 의견을 제시해 주세요.


기사에 언급된 인물은 실제로 해당 기사의 작성자 본인입니다! 이는 명백한 이해 충돌에 해당합니다. 게다가 대표로 소개된 인물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거의 알려지지 않은 사람입니다. 이 기사는 모든 기준을 위반하고 있습니다. 작성자는 다양한 위키백과 버전에서 자신에 대한 문서를 생성하려고 시도하고 있으나, 주목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합니다.--Osps7 (토론) 2025년 5월 4일 (일) 21:06 (KST)[답변]

유지 DUCKstudying (토론) 2025년 5월 11일 (일) 16:23 (KST)[답변]
유지 --Steve2025 (토론) 2025년 5월 24일 (토) 16:24 (KST)[답변]

잘못된 토론을 재발제합니다. 7일의 기준은 현재부터입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5월 5일 (월) 14:35 (KST)[답변]

유지 arwiki의 문서는 2014년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었으며, 이것을 최근 본인이 타 위키를 돌아다니며 번역하여 양산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듬어야 하겠지만 문서의 서술에 큰 문제가 있지 않으며 저명성은 몇몆 출처에서 입증되었다고 보입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5월 5일 (월) 15:10 (KST)[답변]
삭제 Hi 기나ㅏㄴ! You must know that the author's article has been banned globally by stewards and the article has been deleted on many Wikimedia projects and has been checked on English Wikipedia and French Wikipedia for abusing accounts to obstruct deletion. Regards Badak Jawa (토론) 2025년 5월 11일 (일) 22:42 (KST)[답변]
@기나ㅏㄴ You can see the global blocking log here and the Wikimedia project that removed the article here so I ask you to reconsider your decision Badak Jawa (토론) 2025년 5월 11일 (일) 22:48 (KST)[답변]
확인 감사합니다. 전 글로벌 상황을 계속 주시하고 있어왔습니다. 조금 더 상황을 지켜보겠습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5월 11일 (일) 23:45 (KST)[답변]
@기나ㅏㄴ Thank you for responding to my message. May I ask? How many days will it take for the discussion to delete the Korean Wikipedia article? Will you delete the article immediately after the discussion is over? Badak Jawa (토론) 2025년 5월 11일 (일) 23:49 (KST)[답변]
@Badak Jawa 여러분은 같은 문서에 대해 여러 위키백과 프로젝트에서 타깃을 잡고 반복적으로 투표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여러 언어(영어, 스페인어, 한국어, 아제르바이잔어 등)로 투표하는 것을 봤는데, 위키백과에서는 이런 게 일반적인 일인가요? 45.147.66.134 (토론) 2025년 5월 16일 (금) 12:38 (KST)[답변]
@Badak Jawa 여러분은 같은 문서에 대해 여러 위키백과 프로젝트에서 타깃을 잡고 반복적으로 투표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여러 언어(영어, 스페인어, 한국어, 아제르바이잔어 등)로 투표하는 것을 봤는데, 위키백과에서는 이런 게 일반적인 일인가요? 45.147.66.134 (토론) 2025년 5월 16일 (금) 12:38 (KST)[답변]
@기나ㅏㄴ If so, can you cross out the IP response? Badak Jawa (토론) 2025년 5월 16일 (금) 01:58 (KST)[답변]
위 아이피와 다중계정을 취소선 처리합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5월 16일 (금) 02:02 (KST)[답변]
의견 고려해야 할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용자는 다중계정을 사용하여 전역 차단되기 이전 이 문서를 생성하였으며(즉, 이전까지는 차단 회피가 아니며), 관련 다중계정이 이후 개입하였으나 문서 생성 자체에는 어떠한 문제도 없었습니다.
  2. 한국에서 저명하지 않다는 것이 삭제의 이유가 될 수 없습니다. 문서 생성자는 적절한 출처를 제시하였습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5월 16일 (금) 02:12 (KST)[답변]

삭제 아랍어 위키는 이해당사자가 생성한 것이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아랍어 위키가 생성된 후에 이해당사자가 영어판 위키와 한국어판 위키를 생성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광고 목적으로 생성한 것으로 보여지므로 영어판과 한국어판은 삭제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Choihyegyung (토론) 2025년 6월 11일 (수) 10:22 (KST)[답변]

영어판은 유지로 의견이 이미 모인 바 있긴 합니다. 그쪽 사정이긴 해요.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6월 15일 (일) 00:24 (KST)[답변]
@기나ㅏㄴ
삭제 알림이 여전히 기사 상단에 표시됩니다. 기사를 삭제할지, 유지할지 결정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나요?
~2025-115629 (토론) 2025년 7월 2일 (수) 19:05 (KST)[답변]

같은 맥락에서 분류:현재의 군주도 회부합니다. 과잉화된 분류라고 생각됩니다. 영어판 및 다른 언어판에서도 동일 이유로 삭제되었습니다. 참고로 이 분류는 제가 2011년에 생성한 것입니다. en:List of current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아직 한국어판 미생성), 현재의 군주 목록 목록 문서도 있으며, 현재 및 과거 역임한 사람들을 분류화할 이유가 없습니다. 분류:현재 국방부 장관, 분류:현재 최고경영자 등 이런식으로 생성될 여지도 있으며, 분류:과거 국가 지도자와 같이 과잉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5월 7일 (수) 15:44 (KST)[답변]

삭제 DUCKstudying (토론) 2025년 5월 11일 (일) 16:26 (KST)[답변]
삭제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5월 27일 (화) 15:34 (KST)[답변]
삭제 Sqncjs (토론) 2025년 5월 27일 (화) 15:39 (KST)[답변]
삭제Nt 2025년 5월 28일 (수) 16:59 (KST)[답변]
삭제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5년 5월 31일 (토) 21:55 (KST)[답변]
유지 현재 각 나라의 군주와 최고 지도자가 누구인지 한 번에 알 수 있는 분류라고 생각합니다. 분류를 삭제하면 다른 언어판과 같이 문서로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Choihyegyung (토론) 2025년 6월 13일 (금) 18:56 (KST)[답변]
유지 다시 생각해보니 Choihyegyung 말이 좀 더 제 생각과 일치하는 것 같네요 DUCKstudying (토론) 2025년 6월 13일 (금) 23:01 (KST)[답변]
삭제 per nom. 일반문서의 생성은 분류의 삭제와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6월 14일 (토) 18:52 (KST)[답변]
삭제 --Aspere (토론) 2025년 6월 30일 (월) 01:09 (KST)[답변]
삭제 --RhapsoDJ (토론) 2025년 7월 6일 (일) 23:44 (KST)[답변]
현재 각 나라의 군주와 최고 지도자가 누구인지 한 번에 알 수 있어서 유용하지 않나? DUCKstudying (토론) 2025년 7월 8일 (화) 18:59 (KST)[답변]

2024년 6월부터 10월까지 기초자치단체인 금정구의 구청장을 직무대리했던 인물입니다. 해당 문서의 내용으로 살펴보았을 때 특이할 경력은 금정구 부구청장과 금정구청장 직무대리 정도인 것으로 보이며 이외에는 시청의 공무원의 경력을 가진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직책들은 선출직이 아니며 직무대리 역시 광역단체장의 직무대리를 한 인물의 문서가 존재하였던 것은 전례가 있어보이지만 기초단체장의 직무대리를 한 경우에는 향후 정치권으로 나아간 인물이 아닌 이상 위키백과에서 독립된 문서로 존재하는 경우를 찾아보기 어려운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에 해당 문서는 현재 기준으로 위키백과에 등재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삭제 토론을 엽니다.

--Sqncjs (토론) 2025년 5월 31일 (토) 10:06 (KST)[답변]

반대 기업인, 공무원 직제상. 사소한 직함도 등제함. 김종철 (1970년)도 정치인이 아님에도 당적만 갖고 있어 등제된 케이스임.JoSpenser (토론) 2025년 5월 31일 (토) 10:39 (KST)[답변]
싸가지없는 태도로 구니 정상적인유저들이 다 떠나지 JoSpenser (토론) 2025년 5월 31일 (토) 11:03 (KST)[답변]
차단회피자의 서술 제거 Sqncjs (토론) 2025년 5월 31일 (토) 11:28 (KST)[답변]
삭제 발제자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현재 적힌 내용 본문도 크게 의미 있는 서술이라 보여지지는 않네요. — Nt 2025년 6월 3일 (화) 14:03 (KST)[답변]
백:문서 등재 기준 (인물)#공무원에는 차관급 이상이면 등재가능하다고 합니다. 서울특별시의 구청장은 1급 공무원이구요. 그런데 구청장 직무대리라.. 애매하네요. ― 사도바울 (💬ℹ️) 2025년 6월 3일 (화) 20:16 (KST)[답변]
구청장은 선출직이기 때문에 정치인 등재기준에 포함된다고도 생각합니다. 다만 구청장의 직무대리의 경우에는 선출직도 아니고 직무대리 이전이후로 서술할 특이사항도 없어서 이에 미달하는 자리라고 판단했습니다.(나중에 정치에 입문한다면 그땐 또 모르겠지만요.) Sqncjs (토론) 2025년 6월 7일 (토) 14:12 (KST)[답변]
부구청장은 2-3급이라고 하네요. 그렇다면 삭제가 좋습니다. ― 사도바울 (💬ℹ️) 2025년 6월 7일 (토) 20:56 (KST)[답변]

반박 의견

삭제 주장의 핵심은 ‘기초단체장 직무대리는 선출직이 아니며, 직급이 낮아 등재 기준에 미달한다’는 점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본 문서의 존치는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1. 실질적 권한 행사와 언론 보도

2024년 6월부터 약 4개월간 금정구청장 직무대리를 수행한 해당 인물은, 구청장이 입원함에 따라 금정구의 행정과 정책 집행을 실질적으로 총괄하였습니다. 다수의 언론 보도(CBS노컷뉴스, 뉴스1 등)에서 공식적으로 ‘부구청장 체제로 전환하였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이는 직무대리가 단순 명칭 이상의 행정 책임과 권한을 수행했음을 보여줍니다.

- CBS노컷뉴스: "금정구, 부구청장 체제로 전환" (2024-06-26)

 https://v.daum.net/v/20240626100601359  

- 뉴스1: "금정구청장 뇌출혈로 입원…부구청장 체제 가동" (2024-06-25)

 https://news.nate.com/view/20240625n28132

2. 위키백과 등재 기준과 형평성 문제

광역자치단체장 직무대리자의 문서가 등재된 전례가 있음에도, 기초단체장 직무대리를 이유로 문서 삭제를 주장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납니다. 위키백과는 직책의 명칭이나 직급만으로 판단하지 않으며, 인물의 사회적 주목도와 실질적 공적 역할을 고려합니다.

3. 선출직 여부에 대한 오해

직무대리는 선출직이 아니라는 점만으로 등재 불가 사유가 될 수 없습니다. 실질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대표 역할을 수행하며, 공식 업무와 대외 활동에 나선 점은 ‘공적 활동으로 인한 주목’에 부합합니다.

따라서 본 문서는 현재 기준과 백:인물 등재 기준에 부합하며, 존치되어야 한다고 판단합니다. — 이 의견은 Tjr1835님이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5년 7월 15일 (화) 19:10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답변]

1. 제시해주신 기사를 보면 단순 임명 및 권한대행 체제 전환 등과 같은 내용을 빼면 다른 주목할 만한 일은 없었습니다. 만약 이 문서가 존치된다면 어떤 내용으로 문서를 구성해나갈지가 의문인 사항입니다.
2.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의 직무대리는 공무원의 급수도 다르고 그 파급력, 저명성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원래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광역자치단체의 부단체장은 문서 등재 기준 상 등재 가능 문서로 현재도 여러 문서들이 존재합니다. 광역단체장 유고시 부단체장이 승계를 하여 원래 있는 문서에 한 줄을 추가하는 것과 기초단체장 유고시 부단체장이 승계를 하여 문서를 만드는 것은 다른 문제로 보입니다.
3. 백:문서 등재 기준 (인물)#공무원으로 답변을 대신하겠습니다. Sqncjs (토론) 2025년 7월 14일 (월) 10:31 (KST)[답변]
삭제 유지하나 삭제하나 Sqncjs 이새끼가 마음대로 편집할게 눈에 뻔히 보임 일반 공무원이니 굳이 등제될 이유도 없음. ~2025-18878-4 (토론) 2025년 7월 14일 (월) 15:26 (KST)[답변]

2024년 9월에 문서 등재 기준에 부합하는지 입증이 요구된 이후, 해당 문서에 별다른 개선 사항이 없어 보여 삭제 토론을 엽니다. 문서 내용상 직업이 고등학생, 드론 조종사인 것으로 보여, 네이버 뉴스 기사 검색 기준으로 "정우선 드론"[2], "정우성 고등학생"[3], "정우성 제물포고"[4] 등의 키워드로 검색해봤으나 해당 인물과 관련된 보도로 보이는 기사는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문서 본문에 기재된 주요 내용(생일, 출생지, 학력, 자격증, 기부 활동, 봉사 활동) 등의 대다수 내용은 네이버 인물 정보만을 근거로 했고, 그 외 해당 내용을 증빙하는 기사나 보도, 백과사전 등의 출처는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유일한 근거인 네이버 인물 정보[5]는 해당 인물 본인이 작성한 내용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백과사전 항목에 등재할 수 있는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와 문서 내용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의 여부에 의문이 들어, 다른 사용자 분들의 의견을 묻고자 합니다. -- Min's (토론) 2025년 6월 2일 (월) 11:34 (KST)[답변]

백:아님#광고, 백:자서전 참조하시면 바로 삭제 가능할 듯 합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6월 2일 (월) 15:41 (KST)[답변]
빠른 삭제Nt 2025년 6월 3일 (화) 00:26 (KST)[답변]
삭제 G11이나 A7 적용하기 어려울 수도 있어 이 토론을 일단 닫지 않습니다. --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6월 5일 (목) 15:35 (KST)[답변]
삭제 DUCKstudying (토론) 2025년 6월 7일 (토) 13:46 (KST)[답변]

문서 자체도 토막글이고, 이건 청와대나 대통령 집무실, 윤석열 정부 등에서 나누어서 다루어도 될 것 같습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6월 5일 (목) 14:22 (KST)[답변]

솔직히 문서 자체의 확장성이나 저명성은 높다고 봅니다만, 단독 문서로 등재될만큼 문서 양이 충분할 지에 대해서는 이야기를 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6월 5일 (목) 14:26 (KST)[답변]
삭제 말씀대로 다른 곳에 작성되면 될 것 같습니다. 별도 문서로 존재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6월 5일 (목) 15:36 (KST)[답변]
삭제 DUCKstudying (토론) 2025년 6월 7일 (토) 13:45 (KST)[답변]
그런가? DUCKstudying (토론) 2025년 6월 21일 (토) 12:56 (KST)[답변]
유지 윤석열 정부의 대표 정책 중 하나로서 그 자체로 단독성과 확장성을 충분히 확보합니다. 청와대, 윤석열 정부 문서와는 성격이 다르며 병합 시 오히려 기존 문서의 내용이 장황해질 우려가 있습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6월 16일 (월) 13:34 (KST)[답변]
유지 이 토론을 보면서 유지 틀을 달고 싶었는데 밥풀떼기님께서 이유를 잘 설명해주셨다고 생각합니다. — Nt 2025년 6월 17일 (화) 12:58 (KST)[답변]
유지 추진 과정, 각계 반응, 이후 등을 서술하면 독립 문서로 유지되어도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Sqncjs (토론) 2025년 6월 17일 (화) 14:58 (KST)[답변]
유지 --RhapsoDJ (토론) 2025년 7월 6일 (일) 23:44 (KST)[답변]

Hashflu님의 발제: 한국에 국한되어있고 독자 연구적인 내용이 많습니다. --Hashflu (토론) 2025년 6월 9일 (월) 16:59 (KST)[답변]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에 병합 대한민국 외교 정책의 한 시각인 것은 사실이므로 관련 문서로 내용과 출처를 병합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6월 16일 (월) 13:43 (KST)[답변]

네거티브 공세를 위한 장으로, 현재 차단된 사용자가 만들었으며, 문재인 대통령 하위 문단에 서술할 가치가 있는 지도 의문입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6월 7일 (토) 10:13 (KST)[답변]

내용의 대부분 사실이 맞지만 표현이 편파적이고 논리에 맞지 않거나 중립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정부 측 해명이나 반론이 충분히 병기되지 않아 균형이 부족해 보입니다. 제가 고쳐보겠습니다.DUCKstudying (토론) 2025년 6월 7일 (토) 15:44 (KST)[답변]
어불성설입니다. 대통령으로서 비판 받는 점이 있으니 문서가 기재된 것을 네거티브 공세?--Choihyegyung (토론) 2025년 6월 10일 (화) 22:29 (KST)[답변]
이미 다른 대통령들의 비판 문서는 모두 삭제되고 이것만 남았습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6월 12일 (목) 15:19 (KST)[답변]
윤석열에 대한 논란 아직 있는데요 211.169.65.46 (토론) 2025년 6월 13일 (금) 08:18 (KST)[답변]
이명박도 문서 그대로 있습니다만.--Choihyegyung (토론) 2025년 6월 13일 (금) 19:11 (KST)[답변]
모두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똑같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6월 14일 (토) 14:20 (KST)[답변]
그리고 2022년부터 중립성에 대한 이의가 있었는데 3년 동안 고치지 않다가 이제 와서 유지하자고 성토를 하시면, 당연히 삭제 발제자의 입장에서는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6월 14일 (토) 14:22 (KST)[답변]
위키백과:생존_인물의_전기#논란이_되는_내용의_출처가_없거나_부실하면_삭제하세요 문단의 '관리자들은 출처가 없거나 부정적인 투로 서술되어 있으며, 되돌릴 중립적인 버전이 없는 전기를 논의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에 해당하는 것 같습니다. DUCKstudying (토론) 2025년 6월 14일 (토) 17:50 (KST)[답변]
대통령으로서 비판 받는 점이 있는 점은 사실이나 논리에 맞지 않거나 중립적이지 않거나 사실 중심을 서술을 하지 않아서 조금 문제가 있는 문서라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문서를 유지하되 타당성과 중립성, 사실성을 더 지키는 방향으로 문서를 고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DUCKstudying (토론) 2025년 6월 13일 (금) 23:03 (KST)[답변]
삭제 손보더라도 삭제 후 총의를 통한 재생성이 맞겠습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6월 14일 (토) 00:25 (KST)[답변]
그러면 일단은 삭제 또는 초안으로 만들고 문서로 등록할 정도로 고쳐지면 그때 문서로 올립시다 DUCKstudying (토론) 2025년 6월 14일 (토) 12:57 (KST)[답변]
삭제 일단 제목부터가 중립적이기 힘들고, 마찬가지로 앞에서 언급된 ~~논란 같은 문서들도 삭제해야한다고 봅니다. 영어 위키백과에서 도널드 트럼프와 관련된 문서들 중 제목에 ‘도널드 트럼프에 대한 논란’, ‘도널드 트럼프에 대한 비판’, 같은 문서는 없습니다. (en:Template:First presidency of Donald Trump 참고) Hashflu (토론) 2025년 6월 15일 (일) 22:11 (KST)[답변]
문재인에 대한 평가로 이동 정치인에 대한 '평가'로서의 문서 성격을 전환, 수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문서의 성격만으로 방대한 내용과 출처들을 단번에 삭제하는 것은 무리한 조처라고 생각합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6월 16일 (월) 13:37 (KST)[답변]

유지 의견은 이미 냈습니다.--Choihyegyung (토론) 2025년 6월 14일 (토) 00:36 (KST)[답변]

위키백과:삭제 토론/문재인에 대한 비판 (대통령 취임 전)도 복구해야 한다고 보며, 거기에 의견을 낸 다른 사용자의 말을 그대로 인용합니다. 비중립적인 내용을 개정할 생각을 해야지, 문서 존재 자체가 비중립적이라고 싸잡아서 통째로 삭제하려는 시도는 바람직하지 못 합니다. 병합 문제도, 단 두 문단만 남기고 다 삭제된 상황입니다. 지어내지 않은 방대한 양의 문서를 한번에 날린다는 것이 말이 안 됩니다.--Choihyegyung (토론) 2025년 6월 16일 (월) 23:05 (KST)[답변]

해당 발언 등 과격한 발언으로 인해 그 발언을 하신 사용자가 차단되었음을 고려할 때, 굳이 그걸 인용하셨어야 했냐는 생각이 듭니다. 비판은 존중하지만 원색적인 비난은 존중하지 않습니다. --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6월 17일 (화) 11:26 (KST)[답변]
"싸잡아서"라는 표현이 과격하고 원색적인 비난인가요?--Choihyegyung (토론) 2025년 6월 17일 (화) 13:54 (KST)[답변]
해당 사용자가 타 사용자들에게 공격적인 성향을 보였고, 이에 따라 차단되었습니다. 사용자님이 굳이 그 논란이 있는 표현을 강조점을 사용하면서까지 쓰신 것은, 그 사용자의 언행과 다를 바 없기에 주의를 드리는 겁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6월 18일 (수) 07:35 (KST)[답변]
얌나야님이군요. 동원하시는 선생님들 모아서 신고했을 때 저 분은 '1년 이상 잠수 유저'라 제외시켰어요. 근데 요새 다른 계정으로 보이는 것 같긴 합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6월 17일 (화) 17:24 (KST)[답변]
아니 완전히 삭제 시키겠다는 게 아니라 초안으로 돌려서 수정한 다음 다시 일반 문서로 올리겠다는 거예요. Choihyegyung님도 이 문서가 문제 있다는 것에 동의하시잖아요. DUCKstudying (토론) 2025년 6월 21일 (토) 12:59 (KST)[답변]
이런 문제가 있는 문서를 사람들이 읽으면 잘못된 정보나 생각을 가질 수도 있으니까요. 게다가 위키백과의 신뢰성도 떨어지구요. DUCKstudying (토론) 2025년 6월 21일 (토) 13:00 (KST)[답변]
@DUCKstudying: 이미 다수의 사용자 분들이 논란 문서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지 않습니까. 애당초 생존 인물의 논란 자체는 여러 지침에 위배될 소지가 높고 이미 이전부터 정리를 해오고 있었습니다. 재등재에 반대합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6월 26일 (목) 09:03 (KST)[답변]
삭제 문재인은 정치인이므로 이 문서에 기재된 내용들은 문재인의 사생활이 아니지만, 위키백과는 프로파간다를 퍼트리는 곳이 아닙니다. 논란이나 비판 문서는 해당 문제제기에 대한 사회의 논평 수준이 깊어서 학문적인 가치를 주거나, 논란으로 인해 해당 인물의 정치 인생에 결정적인 영향이 생긴 경우에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위키백과는 특정국에 속하는 것이 아니므로, 영토를 포기하거나 양보하는 행보 따위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면 단순히 북한이나 외국의 편을 들었다고 '비판'해야 하는 일로 단정해서 서술할 수 없습니다.
문재인은 많은 권력을 가진 정치인이었으므로 생존인물의 인격권 차원에서 해당 인물에게 비판받지 않을 권리가 있는 건 아니지만, 위키백과가 그 사람에 대한 일방적인 비판만을 전시하는 공간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보통 이런 정치인에 대한 비판들은 한국의 정치 현실에선 정적에 대한 신변잡기식 문제제기나 내 이권을 뺐지 말라는 식의 수준 낮은 문제제기만 제기됩니다. 문제를 제기한 측도 문제가 없다고 해명하는 측도 충분한 논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언론이 객관적인 분석을 내놓는 일도 적기 때문에 이러한 문서를 존치할 실익이 없습니다.
네거티브 공세를 위해 만들어진 문서를 지우는 것에서 끝나면 안됩니다. 이 문서를 삭제하면 다른 프로파간다성 문서들은 찾기 어려워집니다. 청와대 특별감찰반 비위 의혹, 신재민 폭로 사건, 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 소득주도성장론, 문재인_정부#문재인_케어, 코리아 패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산 석탄 대한민국 반입 사건 등 다른 프로파간다성 비중립적 서술이 남아있는 문서들이 남게 되는 만큼, 이들 문서들도 문제가 되는 서술이 남아있지 않게 손을 봐야 합니다. Xygniture (토론) 2025년 6월 26일 (목) 10:36 (KST)[답변]
기여 내역과 말투를 보아하니, 유니폴리나 메일짱 같네요. 둘 중 누군지는 다른 분들이 더 잘 알 것 같습니다. ~2025-91901 (토론) 2025년 6월 28일 (토) 14:53 (KST)[답변]

다음 문서들도 위키백과:삭제 절차#다중 문서 회부에 따라 다중회부합니다.

천시장이라는 이름이 아닌 천 씨 성을 가진 시장을 모아 놓은 동명이인 문서입니다. 특히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한국인이나 한국계의 천씨 시장이 아닌 중화권 인물들의 한국어 발음/외국인 명칭이 천씨인 인물을 모아놓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과도한 동명이인 문서라고 판단해 삭제 토론을 발제합니다. 해당 문서를 생성한 당사자는 과거에도 임의사임가수와 같이 이와 비슷한 동명이인 문서를 생성하였으며 삭제토론을 통해 해당 문서들을 삭제했음을 알립니다. Sqncjs (토론) 2025년 6월 16일 (월) 11:20 (KST)[답변]

의견 이상궁 문서의 경우 애초에 단독 문서로 넘어가는 링크가 걸려 있지 않음에도 생성된 것이 동음이의 문서의 취지에 어긋나는 것 같습니다. 다른 문서들의 경우 검색의 편의를 돕는다는 취지는 이해되어 다른 분들의 의견을 지켜보겠습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6월 16일 (월) 13:41 (KST)[답변]
삭제 과도한 동명이인 문서라고 생각합니다. — Nt 2025년 6월 17일 (화) 12:45 (KST)[답변]
국가원수만 유지 동명이인이 없을 경우 넘겨줄 수 있느냐는 기준을 제안합니다. 국가원수는 유지하거나 성씨로 넘겨주면 됩니다. Daysol (토론) 2025년 7월 10일 (목) 00:10 (KST)[답변]

문서가 너무 나무위키처럼 쓰여 있고 아직 정보가 너무 없습니다 --Hashflu (토론) 2025년 6월 19일 (목) 23:47 (KST)[답변]

범죄도시에 넘겨주기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7월 1일 (화) 00:49 (KST)[답변]
삭제 촬영 다 끝나고 개봉일자 확정되고 생성해도 된다고 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5년 7월 15일 (화) 19:09 (KST)[답변]

--2001:2D8:E7A0:CA4B:C93B:CCB4:E72:BE39 (토론) 2025년 6월 2일 (월) 23:11 (KST) 사실관계가 명확하지 않음. 실제 인물이 아닌것으로 추정[답변]

추다민이란 인물에 대한 자료가 부족함. 211.197.12.222 (토론) 2025년 6월 3일 (화) 22:29 (KST)[답변]
저도 동감합니다. 연결된 링크에도 출연진 정보에 본 인물에 대한 내용이 안나와있는것을 보아 출연 사실이 맞는지 알수 없는것 같습니다. ~2025-94240 (토론) 2025년 6월 29일 (일) 20:19 (KST)[답변]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