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 토론
복구 토론은 위키백과에서 삭제되었던 항목 중 삭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는 문서나 틀, 파일이 있을 때, 과거에 있었던 삭제 근거가 합당한지, 또 현재 복구할 만한 합당한 근거가 있는지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는 곳입니다. 복구 토론은 누구든지 열 수 있습니다.
새로운 복구 토론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아래의 새로운 복구 토론을 클릭한 다음 주제와 내용을 입력합니다. 발제 이유와 원하는 결과의 방향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신 후 변경사항 게시를 클릭합니다.
- 복구 토론이 열린 것을 확인한 관리자는 문서를 복구한 후 초안 이름공간으로 이동하고, 완전 보호한 후 일반 이름공간의 내용을 모두 지우고 {{복구 토론}} 틀을 삽입합니다. 이 때 사생활 침해, 저작권 침해 등 문서의 상태가 심각한 경우 즉시 기각될 수 있습니다.
- 과거 삭제에 참여했던 사용자에게 복구 토론이 개설되었다는 것을 알려주세요. (권고사항)
복구 토론의 진행과 종결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복구 토론의 진행
- 기록보호자의 기록 보호를 통해 삭제된 문서의 복구 토론은 이곳에서 받지 않습니다. 기록보호자 요청을 통해 별도로 문의하세요.
- 복구 토론의 결론은 다수결로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복구 토론 시작 후에 등록되거나 기여가 극히 적은 사용자 계정의 의견과 모든 IP 사용자의 의견은 복구/삭제 판단 시 그 비중을 낮게 둘 수 있습니다. 또한 다중 계정을 부정하게 이용하거나 토론 중에 차단된 사용자의 의견은 결정에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복구 토론에 회부된 문서에 대하여 복구에 찬성할 경우 {{복구}}를, 복구에 반대할 경우 {{반대}}를 사용해주세요. 단, 복구 토론의 중립성을 위해, 발의자는
복구나
반대 등의 투표 틀을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 다중 문서를 회부할 때에는 하나의 문서를 대표로 설정하고, 나머지 문서들을 나열해야 합니다.
- 복구 토론의 종결
- 복구 토론은 일반적으로 관리자에 의해 종결되어야 합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복구 토론은 7일 이상 진행됩니다.
- 복구 근거가 없는 경우, 해당 발제가 의심할 여지 없이 문서 훼손 또는 방해의 목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명백한 발제 오류, 또는 발제자가 발제 당시 이미 제한 상태이거나 차단된 상태여서 편집이 불허된 경우에는 빠르게 종결할 수 있습니다.
- 삭제 제안이나 기한 만료 삭제일 때, 발제자의 의견이 타당하고 삭제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하면 관리자는 빠르게 복구하고 종결할 수 있습니다.
- 문서 복구가 아닌 삭제에 대해서 토론하려면 삭제 토론을 참조해주세요.
- 여기는 문서 복구를 요청하는 곳이 아닙니다. 문서 복구 요청글은 문서 관리 요청에 남겨주십시오.
장기 미완료 토론
|
장기간 계속되고 있는 복구 토론의 목록입니다.
- 2020년 4분기
- 2021년 4분기
- 2022년 1분기
- 2022년 2분기
|
|
|
새로운 복구 토론
성폭력 2차 가해와 사회운동으로 압도적으로 유명한 분입니다. 2001:2D8:E66A:F3ED:0:0:889:B45 (토론) 2025년 1월 1일 (수) 06:00 (KST)[답변]
삭제 --커뷰 (토론) 2025년 2월 16일 (일) 22:04 (KST)[답변]
무한도전의 개별 특집에 대한 문서화를 구상중에 있습니다. 이전에 삭제되었던 에피소드 목록 문서의 복원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 복구를 요청드립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2월 16일 (일) 22:59 (KST)[답변]
- @밥풀떼기:
- 목록이 다음과 같이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이들을 같이 복구해야할까요?
1.1 연도별 에피소드 목록
1.2 가요 특집
1.2.1 가요제
1.2.2 나름가수다
1.2.3 박명수의 어떤가요
1.2.4 토토가
1.2.5 하나마나송
1.2.6 콘서트
1.3 스포츠 특집
1.3.1 2007년: 쉘 위 댄스 (댄스 스포츠)
1.3.2 2008년: 에어로빅
1.3.3 2009년: 봅슬레이
1.3.4 2010년: WM7 (프로레슬링)
1.3.5 2011년: 조정
1.4 달력 프로젝트
1.5 무한상사
1.6 무한도展
1.7 선택2014
1.8 식스맨
1.9 릴레이툰
- 목차를 긁어온 것입니다. 1.1에는 상단 링크들이 리스트업 되어있고, 1.4부터는 문단이 단순히 {{본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ginaan(˵⚈ε⚈˵)★ 2025년 2월 18일 (화) 00:40 (KST)[답변]
- 저는 이 에피소드 목록을 삭제되기 전에 여러 번 봤었고, 삭제된 이후에는 사랑방에서 봤었습니다. 목록 지침 위반은 아니지만, 연도별로 분할해야 할 필요성은 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일반 사용자의 사용자 토론 보존처럼 연도 하위 문서가 어떤 기준 없이 생성된 감도 조금 있습니다. 2005년 4월에서 익년 4월로 범위를 정해 놓은 건 개편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무한도전 개편 때문에 그랬다고 보기도 좀 어려운 것 같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2월 18일 (화) 01:28 (KST)[답변]
- 일단 기존 삭제 문서 내에서 쓸만한 내용이 있는지를 파악하려는 것이 복구 요청의 목적이기 때문에 초안 이름공간에 복구를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연도 세분화 문제의 경우에도 복구 후에 판단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닥터 후의 에피소드 목록 (2005년~현재)처럼 통합할 수 있는 부분들은 통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2월 18일 (화) 02:27 (KST)[답변]
- 복토용 초안 보고 바로 CCCV 하는 경우가 많고, 그렇게 재생성이 되면 역사가 꼬이기 때문에 일반 이름공간의 문서는 생성을 막아 두고 복구 토론에서 결론이 나면 판 복구를 하겠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2월 18일 (화) 07:49 (KST)[답변]
- 초안 링크 생성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2월 18일 (화) 07:55 (KST)[답변]
- 무한도전의 에피소드 목록 (2005년 4월 ~ 2006년 4월) 이 링크는 무한도전의 에피소드 목록 (2005년 4월~2006년 4월) 여기에 문서가 있네요. --Jeebeen (토론) 2025년 2월 18일 (화) 08:06 (KST)[답변]
- 복구 감사합니다. 내용을 확인한 결과 다음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선에서 일반 이름공간으로 복구를 하여도 괜찮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 일반 표를 {{에피소드 목록}}으로 대체, 제작진과 시청률, 해당 회차의 내용을 요약하는 란을 추가.
- 게스트 출연 정보는 삭제 후 내용 요약란에 언급
- 비고란은 삭제 후 에피소드 목록에 앞선 평문 정보로 언급
- 기타 필요한 부분에 있어 2차 출처 추가
- 연도별 구분은 현재로서는 필요해 보입니다. 무한도전이란 프로그램 자체가 시즌제로 운영되지 않았고, 한 특집당 한 회차로 끊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부로 나뉘거나,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특집이 많은 점을 고려하면 목록 나누기의 기준을 연도와 날짜로 진행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앞서 언급되었던 2005년 4월~2006년 4월은 강력추천 토요일의 코너이던 시절, 2006년 5월 이후는 단독 프로그램화된 시절에 해당되므로 이러한 구분짓기에 대한 이견은 없습니다. 실제로 MBC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무한도전 1화를 2006년 5월 6일 방영분 '미셸 위 특집'으로 분류해 놓았습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2월 18일 (화) 21:06 (KST)[답변]
- 문서 크기가 너무 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적절히 나눌 필요도 있고 연도로 나누는 것이 브라우징하기에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지만, 만약 아니라면 1) 2005년 4월 ~ 2006년 4월 2) 2006년 5월 ~ 2010년 3) 2011년 ~ 2014년 4) 2015년 ~ 2018년 정도로 나누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독립 이전 문서는 테스트용으로 특수:고유링크/38770924와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2월 24일 (월) 23:54 (KST)[답변]
- 말씀하신대로 여러 연도를 묶으면 너무 내용이 길어져서 어쩔 수 없는 면이 존재합니다. 1년 방영분만 52회차니까요. 문서화되지 못하는 에피소드의 내용 설명까지 감안하면 1년씩 구분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무도 자체가 달력 특집처럼 1년씩 끊어서 기획하는 성향도 있었고요.
- 그리고 링크 주신 거 보니 완벽하네요! 이런 완성도로 정리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출처 찾으시기 어려우셨을텐데 고생 많으셨습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5년 2월 25일 (화) 15:48 (KST)[답변]
- 연도별 정리보다 합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나 차치하고, 복구에 동의합니다. 그리고 Namoroka님, 애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사도바울 (💬✍ℹ️) 2025년 4월 16일 (수) 01:57 (KST)[답변]
기존 내용은 부족했을 수 있지만 보완하여 충분히 등재 가능한 문서로 만들 수 있습니다. Mmnjjj (토론) 2025년 5월 7일 (수) 18:44 (KST)[답변]
- [복구]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충분하며, 저명성 기준을 충족한다고 판단됩니다. Kimckid2 (토론) 2025년 5월 7일 (수) 18:54 (KST)[답변]
위키백과에서 나치 그룹이나 일본 자위대 같은 그룹에 대해서도 서술하는데 리박스쿨에 대해서 서술하지 못하게 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리박스쿨 페이지가 사라졌습니다. Iopzxz (토론) 2025년 6월 7일 (토) 19:46 (KST)[답변]
- 초안:리박스쿨으로 이동되었습니다. 등재기준을 만족한다고 생각해서 복구되는 편이 좋겠습니다만, 위키백과:확인 가능 보시면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인용해 그 사실을 확인 가능해야 합니다."라고 합니다. 또 첫 문단이 적절히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다른 문서들과 통일성이 있어야 합니다 백:편집 지침 참고하세요.
- 편집 양상을 보니 백:중립성을 잘 숙지하시고 편집하시는 편이 좋겠습니다. 위키백과는 정책과 지침 바깥의 편집을 계속 허용하는 곳은 아닙니다. 백:차단과 같은 정책도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 사도바울 (💬✍ℹ️) 2025년 6월 7일 (토) 20:51 (KST)[답변]
민주주의 대한민국에서 군부 독재 체계의 꿈을 꾸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정치적 수단을 동원한 그 당을 부정적 의미를 부여해 부르는 말로 이것은 Fascism Nazi 와 동일 선상에 두고 다뤄야 할 페이지라 생각합니다. 민주주의를 파괴하기 위해 그들이 행한 행동은 Nazi 와 동일하며 이것은 역사에 기록되어야 할 중요한 안건입니다. Iopzxz (토론) 2025년 6월 7일 (토) 19:51 (KST)[답변]
- "G10 - 대상에 대한 비난, 위협, 협박, 공격만을 목적으로 한 문서"라고 설명되어있습니다. G10은 위키백과:빠른 삭제 기준 참고해주세요. ― 사도바울 (💬✍ℹ️) 2025년 6월 7일 (토) 20:52 (KST)[답변]
윤 어게인
지지자들의 구호라서 문서 필요합니다
화성인 릴도지
40만넘는 유튜버인데 내용도 많고 문서 필요할거같습니다
- 문서명: DS뮤지컬컴퍼니
- 삭제 사유:
- 복구 사유: 제가 생성했던 문서입니다. 저의 편집이 무의미하다고 삭제가 요청되었었습니다. 저의 편집 의도는 요괴워치는 일본 원작 기반 뮤지컬이고 해외 뮤지컬도 라이선스 계열이라 라이선스로 바꾸었는데, 무의미하다는 편집이라고 삭제당했습니다. 저의 편집은 그런 의도가 없으며, 무의미한 편집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쫑이백과 (토론) 2025년 6월 17일 (화) 14:51 (KST)[답변]
2018 PP29, 2022 GV6의 발견자이자 28969 영민정안 이름의 근원이라 리다이렉트된거라 장난이 아닙니다. ~2025-133767 (토론) 2025년 7월 5일 (토) 21:04 (KST)[답변]
~2025-133767 (토론) 2025년 7월 5일 (토) 21:04 (KST)[답변]
백:G4 오적용으로 삭제된 문제를 복구하는 것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고자 합니다.
이전에 위키백과:삭제 토론/이동호 (1992년)을 통해 삭제된 문서 버전은 '이재명의 아들'이라는 내용과 학력만 포함되어 있었고, 문서 내용과 무관한 이유로 삭제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제가 새로 작성한 문서에는 이동호 본인의 생애와 논란 외에도 제3자의 논란거리 및 이재명 문서에 통합하기 어려운 내용이 추가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문서는 더 이상 백:G4의 적용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합니다.
이 문서는 단순히 이재명이라는 인물에 종속되는 것을 넘어, 그 자체로 독립적인 의미 있는 정보와 논란을 포함하고 있으며, 생성될 경우 여러 정치인 문서에서 링크로 연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허나 이동호는 일시적 유명인의 속성이 강하여 등재 기준을 만족한다고 단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이에 문서 관리 요청 대신 복구 토론에 회부하여 공동체의 의견을 구합니다.
문서 복구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Daysol (토론) 2025년 7월 10일 (목) 00:29 (KST)[답변]
- 해당 인물이 위키백과에 등재될 정도로 보편적인 저명성을 충족하는가를 살펴본다면 어떤 사회적으로 저명한 직업을 가지고 있거나 한 분야를 넘어 다른 분야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인지도를 보여주는 인물이라기보다는 단순히 이재명의 장남으로만 저명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입니다. 그리고 그가 사회적으로 저명도를 가지게 된 계기를 살펴본다면 2025년 대선 토론 당시 이준석이 그의 행실을 지적한 것이 있는데, 일반적인 저명보다는 부정적인 저명에 더 가까운 것으로 보입니다. 위키백과는 일반적으로 어떤 인물의 논란이나 사건 사고를 나무위키처럼 문단으로 나눠 작성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는데, 현재는 해당 인물이 문서에 백:중립을 충족하는 서술보다는 중립 정책을 충족하지 않는 서술이 더욱 많아질 것으로 생각되어 문서 복구에 회의적이긴 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7월 10일 (목) 04:1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