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은 2011년 7월 22일 부터 7월 24일 까지 열린 일본 프로 야구 의 올스타전 경기이다.
개요
2008년부터 계속된 마쓰다 의 특별 협찬을 받아 ‘마쓰다 올스타 게임 2011 ’(マツダオールスターゲーム2011 )라는 이름으로 개최됐다.
선수 연금 제도의 재원 확보[ 1] 등 일본 야구 기구 (NPB)의 수익 강화를 목적으로 2001년 이후 10년 만이 되는 3경기로 개최하게 됐다.[ 2]
NPB에서는 ‘일본 체육 협회 ·일본 올림픽 위원회 창립 100주년 기념 사업’으로 하고 있다.
일정
나고야 돔 (18시 29분[ 3] 에 시작, 센트럴 리그가 홈팀으로 취급)
QVC 마린필드 (14시 04분에 시작, 퍼시픽 리그가 홈팀으로 취급)
일본제지 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12시 37분에 시작, 퍼시픽 리그가 홈팀으로 취급)
1차전, 2차전은 홈 1루측, 3차전은 홈 3루측[ 4]
2차전과 3차전은 낮 경기로 열린다. 낮 경기로 개최된 사례는 2007년 2차전 (풀스타 미야기=현: 라쿠텐 세이메이 파크 미야기·14시 시작) 이래
개최지 변경 관련
당초에 1차전은 나고야 돔, 2차전은 도쿄 돔 (이상 2경기는 센트럴 리그가 홈팀으로 취급), 3차전은 QVC 마린필드(퍼시픽 리그가 홈팀으로 취급)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과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로부터 부흥을 일으키는 차원에서 도쿄 돔에서의 개최를 변경해 미야기현 고등학교 야구 연맹 등 각 관계 기관과 협상을 벌여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미야기 대회가 예정돼 있던 센다이 에서 개최키로 결정했다.
이러한 이동 스케줄 관계상 QVC 마린필드에서의 경기는 2차전으로 앞당겼고 3차전 개최 구장을 센다이·클리넥스 스타디움으로 변경하는 조치를 취했다. 2차전과 3차전은 중계 방송국의 사정으로 낮 경기로 진행됐기 때문에 1차전 종료 후 심야에 일부 선수를 제외한 주부 국제공항 에서 하네다 공항 까지 전세기편으로 이동하게 됐다. 또한 우천으로 취소될 경우 리그전이 7월 25일부터 재개되기 때문에 순연(예비일)을 설정하지 않고 해당 구장의 경기는 취소하기로 돼있었지만 3경기 모두 예정대로 진행하게 됐다.
특별 행사
참석자 : 오치아이 히로미쓰 , 미나가와 무쓰오 (오치아이는 센트럴 리그 감독으로서 지휘를 하기 위해 유니폼 차림으로 표창을 받았고 미나가와는 고인이기 때문에 유족이 대리 참석)
출장 선수
범례
굵은 글씨 : 팬 투표에 의한 출장
※ : 선수간 투표에 의한 출장
◇ : ‘마쓰다 스카이 액티브 테크놀로지 플러스 원 드림’ 투표에 의한 출장
▲ : 출장 사퇴 선수 발생에 의한 보충 선수
그 외에는 감독 추천에 의한 출장
숫자는 출장 횟수를 뜻하며 괄호 안에 있는 숫자는 상기 횟수 가운데 부상 때문에 출전하지 못한 횟수.
↑ 오른쪽 어깨근좌상으로 출전을 포기했으며 대체할 선수로는 마스이를 선출했다.
더욱이 사퇴한 선수는 부상 여부에 상관 없이 야구 협약 86조에 의해 올스타전 종료 후 후반기 시작 시점부터 10경기 동안 선수 등록이 불가능하다.
올스타전 경기 결과
1차전
스코어
출장 선수
퍼시픽
타순 수비 선수
1 (유) 가와사키 무네노리
2 (二) 혼다 유이치
3 (지) 이나바 아쓰노리
4 (一) 고쿠보 히로키
5 (三) 마쓰다 노부히로
6 (좌) 나카타 쇼
7 (중) 이토이 요시오
8 (우) 사카구치 도모타카
9 (포) 긴지로
(투) 데라하라 하야토
센트럴
타순 수비 선수
1 (좌) M. 머턴
2 (중) 아오키 노리치카
3 (一) 하타케야마 가즈히로
4 (三) 무라타 슈이치
5 (지) W. 발렌틴
6 (우) 조노 히사요시
7 (二) 이바타 히로카즈
8 (포) 아이카와 료지
9 (유) 아라키 마사히로
(투) 이와세 히토키
수상 선수
MVP
5회말, 다케다 마사루 로부터 승리 타점이 되는 역전 3점 홈런을 날렸다.
감투 선수상
3이닝을 던져 무실점 호투.
2안타 1홈런 3타점을 기록.
2차전
스코어
팀
1
2
3
4
5
6
7
8
9
R
H
E
센트럴
0
0
0
0
1
1
0
0
1
3
12
0
퍼시픽
2
0
0
1
0
0
1
0
X
4
8
1
승리 투수 : 가라카와 유키 (지바 롯데) 패전 투수 : 다테야마 쇼헤이 (야쿠르트) 세이브 : 다케다 히사시 (닛폰햄)홈런 : 센트럴 –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5회 1점) 퍼시픽 – 나카무라 다케야 (세이부·1회 2점, 4회 1점)
출장 선수
센트럴
타순 수비 선수
1 (유) 사카모토 하야토
2 (중) 아오키 노리치카
3 (좌) M. 머턴
4 (포) 아베 신노스케
5 (지) 무라타 슈이치
6 (一) 하타케야마 가즈히로
7 (우) 조노 히사요시
8 (三) 미야모토 신야
9 (二) 히라노 게이이치
(투) 다테야마 쇼헤이
퍼시픽
타순 수비 선수
1 (유) 나카지마 히로유키
2 (二) 이구치 다다히토
3 (一) 고쿠보 히로키
4 (三) 나카무라 다케야
5 (지) 야마사키 다케시
6 (좌) 나카타 쇼
7 (중) 이토이 요시오
8 (우) 사카구치 도모타카
9 (포) 사토자키 도모야
(투) 가라카와 유키
수상 선수
MVP
2연타석 홈런으로 3타점을 기록했다.
감투 선수상
3안타 1홈런을 기록했다.
3차전
스코어
팀
1
2
3
4
5
6
7
8
9
R
H
E
센트럴
0
0
0
0
0
0
0
0
0
0
10
1
퍼시픽
2
0
1
1
0
1
0
0
X
5
11
0
승리 투수 :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패전 투수 : 요시노리 (야쿠르트)홈런 : 퍼시픽 – 이나바 아쓰노리(닛폰햄·1회 2점), T-오카다 (오릭스·4회 1점)
출장 선수
센트럴
타순 수비 선수
1 (중) 아오키 노리치카
2 (三) 미야모토 신야
3 (지) M. 머턴
4 (좌) 하타케야마 가즈히로
5 (一) 구리하라 겐타
6 (우) W. 발렌틴
7 (유) 사카모토 하야토
8 (포) 이시하라 요시유키
9 (二) 와타나베 나오토
(투) 요시노리
퍼시픽
타순 수비 선수
1 (유) 가와사키 무네노리
2 (二) 혼다 유이치
3 (一) 이나바 아쓰노리
4 (지) 야마사키 다케시
5 (三) 마쓰다 노부히로
6 (우) T-오카다
7 (좌) 나카타 쇼
8 (중) 이토이 요시오
9 (포) 시마 모토히로
(투) 다나카 마사히로
수상 선수
MVP
1회에 요시노리로부터 승리 타점이 되는 선제 2점 홈런을 기록했다.
감투 선수상
2타석 연속 안타를 기록했다.
1홈런을 포함한 3안타 맹타를 기록했다.
SKYACTIV TECHNOLOGY상(3경기를 통해서 가장 팬들의 인상에 남은 선수)
2경기에 등판하여 1차전에선 1과 1/3이닝, 3차전에선 1이닝 무실점의 호투를 보여줬다.
각주
↑ “球宴試合増も…年金財源確保策として検討” . 《스포츠 닛폰》. 2010년 10월 22일. 2011년 7월 6일에 확인함 .
↑ “球宴は1増の3試合実施へ…NPBの収益増目的” . 《스포츠 닛폰》. 교도 통신. 2011년 1월 20일. 2011년 7월 6일에 확인함 .
↑ 당초에는 18시 05분에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경기 시작 전 행사가 길어지는 바람에 24분 늦춰서 시작됐다.
↑ 일본제지 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에서는 홈팀이 3루측을 사용하고, 원정팀은 1루측을 사용한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