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영어 : 2015 Africa Cup of Nations )은 2015년 1월 17일 부터 2월 8일 까지 적도 기니 에서 개최된 대회인 30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다.[ 1]
이 대회는 당초 모로코 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14년 10월 모로코가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 에 따른 우려로 아프리카 축구 연맹 에 대회 개최 연기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11월 2일 집행위원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에 대해 한 차례 논의를 거쳤다.[ 2]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이 대회의 개최를 2016년으로 연기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며 11월 8일까지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 에 2015년 개최 의사를 전달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이 이에 응하지 않아 11월 11일에 이사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에 대해 다시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에 이 대회의 개최권을 박탈함과 동시에 출전 정지 징계를 내렸음을 통보하는 한편 모로코를 대신하여 이 대회를 개최할 국가를 선정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그리고 11월 14일, 적도 기니 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개최를 희망했던 국가
여기에서 모로코가 개최 국가로 결정되었으나 모로코가 에볼라 유행을 이유로 개최를 연기하기를 원하자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모로코의 개최권을 박탈하고 다른 국가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대체 개최국으로 거론되었던 국가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몇 개 회원국을 선정하여 모로코를 대신하여 이 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사전에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 5개국은 개최 불가 의사를 전달하였다.
다음 1개국은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
다음 3개국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서 협상되었던 국가이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적도 기니에서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개최 도시와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예선
본선 진출 팀
팀
예선 결과
본선 진출 결정일
과거 본선 기록
적도 기니
개최국
2014년 11월 14일
101 1회 (2012)
남아프리카 공화국
A조 1위
2014년 11월 15일
109 8회 (1996 ,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3)
알제리
B조 1위
2014년 10월 15일
115 15회 (196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2010, 2013)
가봉
C조 1위
2014년 11월 15일
105 5회 (1994, 1996, 2000, 2010, 2012)
카메룬
D조 1위
2014년 11월 15일
116 16회 (1970, 1972, 1982, 1984 , 1986, 1988 , 1990, 1992, 1996, 1998, 2000 , 2002 , 2004, 2006, 2008, 2010)
가나
E조 1위
2014년 11월 19일
119 19회 (1963 , 1965 , 1968, 1970, 1987 , 1980, 1982 , 1984,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2013)
카보베르데
F조 1위
2014년 10월 15일
101 1회 (2013)
튀니지
G조 1위
2014년 11월 14일
116 16회 (1962, 1963, 1965, 1978, 198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 2006, 2008, 2010, 2012, 2013)
콩고 공화국
A조 2위
2014년 11월 19일
106 6회 (1968, 1972 , 1974, 1978, 1992, 2000)
말리
B조 2위
2014년 11월 19일
108 8회 (1972, 1994, 2002, 2004, 2008, 2010, 2012, 2013)
부르키나파소
C조 2위
2014년 11월 15일
109 9회 (1978, 1996, 1998, 2000, 2002, 2004, 2010, 2012, 2013)
코트디부아르
D조 2위
2014년 11월 19일
120 20회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2013)
기니
E조 2위
2014년 11월 19일
110 10회 (1970, 1974, 1976, 1980, 1994, 1998, 2004, 2006, 2008, 2012)
잠비아
F조 2위
2014년 11월 15일
116 16회 (1974, 1978, 1982, 1986,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 2013)
세네갈
G조 2위
2014년 11월 15일
112 12회 (1965, 1968, 1986, 1990, 1992, 1994, 2000, 2002, 2004, 2006, 2008, 2012)
콩고 민주 공화국
D조 3위
2014년 11월 19일
116 16회 (1965, 1968 , 1970, 1972, 1974 , 1976, 1988,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13)
시드 배정
이번 시드 배정은 2013년 대회 와는 다르게 지난 3개 대회의 전적, 2012년 예선 (0.5배의 가중치), 2013년 예선 , 2015년 예선 (2배의 가중치),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의 점수를 합산하여 시드를 배정했다.[ 3] 그 결과, 15년 만에 본선에 진출한 콩고 공화국 은 최하위 시드를 배정받았다.
이 기준에 근거한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추첨은 2014년 12월 3일 , 적도 기니 말라보 에서 열렸다.
조 추첨 결과
선수 명단
조별 리그
A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콩고 공화국
3
2
1
0
4
2
+2
7
적도 기니
3
1
2
0
3
1
+2
5
가봉
3
1
0
2
2
3
-1
3
부르키나파소
3
0
1
2
1
4
-3
1
B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튀니지
3
1
2
0
4
3
+1
5
콩고 민주 공화국
3
0
3
0
2
2
0
3
카보베르데
3
0
3
0
1
1
0
3
잠비아
3
0
2
1
2
3
-1
2
C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가나
3
2
0
1
4
3
+1
6
알제리
3
2
0
1
5
2
+3
6
세네갈
3
1
1
1
3
4
-1
4
남아프리카 공화국
3
0
1
2
3
6
-3
1
가나와 알제리는 승점이 동률을 이루어 승자승 원칙 에 따른 동률 팀간 전적에 따라 가나가 1위, 알제리가 2위가 되었다. (가나 1 – 0 알제리)
D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코트디부아르
3
1
2
0
3
2
+1
5
기니
3
0
3
0
3
3
0
3
말리
3
0
3
0
3
3
0
3
카메룬
3
0
2
1
2
3
-1
2
기니와 말리는 승점을 비롯하여 상대 전적에 따른 골 득실, 상대 전적에 따른 득점, 전체 골 득실, 전체 득점이 모두 동률을 이루어 추첨으로 8강 진출이 결정된다. 추첨 결과, 기니가 8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결선 토너먼트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
우승국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코트디부아르 2번째 우승
수상
올스타 팀
최종 순위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순위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코트디부아르
6
3
3
0
9
4
+5
12
2
가나
6
4
1
1
10
3
+7
13
3
콩고 민주 공화국
6
1
4
1
7
7
0
7
4
적도 기니
6
2
3
1
5
5
0
9
5
콩고 공화국
4
2
1
1
6
6
0
7
6
알제리
4
2
0
2
6
5
+1
6
7
튀니지
4
1
2
1
5
5
0
5
8
기니
4
0
3
1
3
6
-3
3
9
세네갈
3
1
1
1
3
4
+1
4
10
말리
3
0
3
0
3
3
0
3
11
카보베르데
3
0
3
0
1
1
0
3
12
가봉
3
1
0
2
2
3
-1
3
13
카메룬
3
0
2
1
2
3
-1
2
13
잠비아
3
0
2
1
2
3
-1
2
15
남아프리카 공화국
3
0
1
2
3
6
-3
1
16
부르키나파소
3
0
1
2
1
4
-3
1
우승에서 4위까지는 준결승, 3, 4위전 및 결승전 결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8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9위에서 최하 16위까지이다.
토너먼트 에서 승부차기 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 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
득점 선수
3골
2골
1골
자책골
각주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FIFA 비회원국 종합 대회
본선 예선 결승전 선수 명단 1957년과 1959년 대회에는 예선이 없었고 1959년과 1976년 대회에는 우승국이 로빈 라운드 형식으로 정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