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 카메룬 개최기간 2022년 1월 19일 ~ 2월 6일 참가팀 24개 경기장 6개 (5개 도시) 우승 세네갈 (1번째 우승) 준우승 이집트 3위 카메룬 4위 부르키나파소 경기 수 52경기 득점 수 100골 (경기당 1.92골) 최다 득점 뱅상 아부바카르 (8골)최우수 선수 사디오 마네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은 2022년 1월 9일부터 2월 6일까지 카메룬 에서 개최하는 33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다.
개최국 선정
아프리카 축구 연맹 집행위원회는 2014년 1월 24일에 열린 회의에서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종 후보 국가를 발표했다. 최종 후보 국가로 선정된 국가는 다음과 같다.
다음은 유치 신청을 했으나 나중에 최종 후보 3개국에 들지 못한 나라들이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 집행위원회는 2014년 9월 20일에 열린 회의에서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을 카메룬으로,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을 코트디부아르로,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을 기니로 각각 선정했다.
개최국 변경
카메룬은 원래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으로 내정되어 있었으나 2018년 11월 30일에 대회 개최 준비 부족으로 인하여 아프리카 축구 연맹으로부터 개최권을 박탈당했다. 하지만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카메룬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카메룬을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으로 새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코트디부아르는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대신 개최하게 되었다.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원래 2021년 6월부터 7월까지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2020년 1월 15일에 대회 개최 시기와 관련된 불리한 기후 조건을 고려하여 2021년 1월 9일부터 2월 6일까지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예선
본선 진출국
팀
예선 결과
과거 본선 기록
카메룬
개최국 / F조 1위
19회 (1970, 1972 , 1982, 1984 , 1986, 1988 , 1990, 1992, 1996, 1998, 2000 , 2002 , 2004, 2006, 2008, 2010, 2015, 2017 , 2019)
말리
A조 1위
11회 (1972, 1994, 2002 , 2004, 2008, 2010, 2012, 2013, 2015, 2017, 2019)
기니
A조 2위
12회 (1970, 1974, 1976, 1980, 1994, 1998, 2004, 2006, 2008, 2012, 2015, 2019)
부르키나파소
B조 1위
11회 (1978, 1996, 1998 , 2000, 2002, 2004, 2010, 2012, 2013, 2015, 2017)
말라위
B조 2위
2회 (1984, 2010)
가나
C조 1위
22회 (1963 , 1965 , 1968, 1970, 1978 , 1980, 1982 , 1984, 1992, 1994, 1996, 1998, 2000 , 2002, 2006, 2008 , 2010, 2012, 2013, 2015, 2017, 2019)
수단
C조 2위
8회 (1957 , 1959, 1963, 1970 , 1972, 1976, 2008, 2012)
감비아
D조 1위
첫 출전
가봉
D조 2위
7회 (1994, 1996, 2000, 2010, 2012 , 2015, 2017 )
모로코
E조 1위
17회 (1972, 1976 , 1978, 1980, 1986, 1988 , 1992,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2, 2013, 2017, 2019)
모리타니
E조 2위
1회 (2019)
카보베르데
F조 2위
2회 (2013, 2015)
이집트
G조 1위
24회 (1957 , 1959 , 1962, 1963, 1970, 1974 , 1976, 1980, 1984, 1986 ,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 2000, 2002, 2004, 2006 , 2008 , 2010 , 2017, 2019 )
코모로
G조 2위
첫 출전
알제리
H조 1위
18회 (196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2010, 2013, 2015, 2017, 2019 )
짐바브웨
H조 2위
4회 (2004, 2006, 2017, 2019)
세네갈
I조 1위
15회 (1965, 1968, 1986, 1990, 1992 , 1994, 2000, 2002, 2004, 2006, 2008, 2012, 2015, 2017, 2019)
기니비사우
I조 2위
2회 (2017, 2019)
튀니지
J조 1위
19회 (1962, 1963, 1965 , 1978, 1982, 1994 , 1996, 1998, 2000, 2002, 2004 , 2006, 2008, 2010, 2012, 2013, 2015, 2017, 2019)
적도 기니
J조 2위
2회 (2012 , 2015 )
코트디부아르
K조 1위
23회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 1986, 1988, 1990, 1992 ,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2013, 2015 , 2017, 2019)
에티오피아
K조 2위
10회 (1957, 1959, 1962 , 1963, 1965, 1968 , 1970, 1976 , 1982, 2013)
나이지리아
L조 1위
18회 (1963, 1976, 1978, 1980 , 1982, 1984, 1988, 1990, 1992, 1994 , 2000 , 2002, 2004, 2006, 2008, 2010, 2013 , 2019)
시에라리온
L조 2위
2회 (1994, 1996)
굵은 글씨 는 우승한 대회를, 이탤릭체 는 개최한 대회를 의미한다.
시드 배정
선수 명단
조별 리그
A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카메룬
3
2
1
0
7
3
+4
7
부르키나파소
3
1
1
1
3
3
0
4
카보베르데
3
1
1
1
2
2
0
4
에티오피아
3
0
1
2
2
6
-4
1
2022년 1월 9일 (2022-01-09 ) 17:00
2022년 1월 9일 (2022-01-09 ) 20:00
2022년 1월 13일 (2022-01-13 ) 17:00
2022년 1월 13일 (2022-01-13 ) 20:00
2022년 1월 17일 (2022-01-17 ) 17:00
2022년 1월 17일 (2022-01-17 ) 17:00
B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세네갈
3
1
2
0
1
0
+1
5
기니
3
1
1
1
2
2
0
4
말라위
3
1
1
1
2
2
0
4
짐바브웨
3
1
0
2
3
4
-1
3
2022년 1월 10일 (2022-01-10 ) 14:00
2022년 1월 10일 (2022-01-10 ) 17:00
2022년 1월 14일 (2022-01-14 ) 14:00
2022년 1월 14일 (2022-01-14 ) 17:00
2022년 1월 18일 (2022-01-18 ) 17:00
2022년 1월 18일 (2022-01-18 ) 17:00
C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모로코
3
2
1
0
5
2
+3
7
가봉
3
1
2
0
4
3
+1
5
코모로
3
1
0
2
3
5
-2
3
가나
3
0
1
2
3
5
-2
1
2022년 1월 10일 (2022-01-10 ) 17:00
2022년 1월 10일 (2022-01-10 ) 20:00
2022년 1월 14일 (2022-01-14 ) 17:00
2022년 1월 14일 (2022-01-14 ) 20:00
2022년 1월 18일 (2022-01-18 ) 20:00
2022년 1월 18일 (2022-01-18 ) 20:00
D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나이지리아
3
3
0
0
6
1
+5
9
이집트
3
2
0
1
2
1
+1
6
수단
3
0
1
2
1
4
-3
1
기니비사우
3
0
1
2
0
3
-3
1
2022년 1월 11일 (2022-01-11 ) 17:00
2022년 1월 11일 (2022-01-11 ) 20:00
2022년 1월 15일 (2022-01-15 ) 17:00
2022년 1월 15일 (2022-01-15 ) 20:00
2022년 1월 19일 (2022-01-19 ) 20:00
2022년 1월 19일 (2022-01-19 ) 20:00
E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코트디부아르
3
2
1
0
6
3
+3
7
적도 기니
3
2
0
1
2
1
+1
6
시에라리온
3
0
2
1
2
3
-1
2
알제리
3
0
1
2
1
4
-3
1
2022년 1월 11일 (2022-01-11 ) 14:00
2022년 1월 12일 (2022-01-12 ) 20:00
2022년 1월 16일 (2022-01-16 ) 17:00
2022년 1월 16일 (2022-01-16 ) 20:00
2022년 1월 20일 (2022-01-20 ) 17:00
2022년 1월 20일 (2022-01-20 ) 17:00
F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말리
3
2
1
0
4
1
+3
7
감비아
3
2
1
0
3
1
+2
7
튀니지
3
1
0
2
4
2
+2
3
모리타니
3
0
0
3
0
7
-7
0
2022년 1월 12일 (2022-01-12 ) 14:00
2022년 1월 12일 (2022-01-12 ) 17:00
2022년 1월 16일 (2022-01-16 ) 14:00
2022년 1월 16일 (2022-01-16 ) 17:00
2022년 1월 20일 (2022-01-20 ) 20:00
2022년 1월 20일 (2022-01-20 ) 20:00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결과
A
카보베르데
3
1
1
1
2
2
0
4
16강전 진출
B
말라위
3
1
1
1
2
2
0
4
F
튀니지
3
1
0
2
4
2
+2
3
C
코모로
3
1
0
2
3
5
-2
3
E
시에라리온
3
0
2
1
2
3
-1
2
조별 리그 탈락
D
수단
3
0
1
2
1
4
-3
1
결선 토너먼트
16강전
2022년 1월 23일 (2022-01-23 ) 17:00
2022년 1월 23일 (2022-01-23 ) 20:00
2022년 1월 24일 (2022-01-24 ) 17:00
2022년 1월 24일 (2022-01-24 ) 20:00
2022년 1월 25일 (2022-01-25 ) 17:00
2022년 1월 25일 (2022-01-25 ) 20:00
2022년 1월 26일 (2022-01-26 ) 17:00
2022년 1월 26일 (2022-01-26 ) 20:00
8강전
2022년 1월 29일 (2022-01-29 ) 17:00
관중: 36,259명
심판: 파시피크 은다비하웨니마나
2022년 1월 29일 (2022-01-29 ) 20:00
심판: 조슈아 본도
2022년 1월 30일 (2022-01-30 ) 16:00
2022년 1월 30일 (2022-01-30 ) 20:00
심판: 빅터 고메스
준결승전
2022년 2월 2일 (2022-02-02 ) 20:00
2022년 2월 3일 (2022-02-03 ) 20:00
3위 결정전
2022년 2월 5일 (2022-02-05 ) 20:00
결승전
2022년 2월 6일 (2022-02-06 ) 20:00
수상
본선 예선 결승전 선수 명단 1957년과 1959년 대회에는 예선이 없었고 1959년과 1976년 대회에는 우승국이 로빈 라운드 형식으로 정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