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산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國立釜山科學館,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산관광6로 59에 있는 동부산관광단지(EBTC) 내에 있는 국립 과학관이다. 2015년 12월 11일에 개관하였다. 현재는 유료이다.[1] 계획과 조성2006년 부산시 과학관 유치에 관한 114만명의 서명운동이 계기가 되어 유치되었다.[2] 한국개발연구원이 2010년 시행한 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과 정책 일관성 분야에서 매우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에 따라 2010년 계획에서는 공사비 총 1496억원 중 국비 1069억원이 투입되어, 지하 1층, 지상 7층 규모로 계획돼 2013년 완공될 계획이었다.[3] 이후 계획이 축소 변경되어 미래창조과학부와 부산시청이 국비 852억원, 지방비 365억원으로 총 1천217억원을 투입하였다. 2013년 착공하였으며 부지 11만5500m2에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의 건물로 2015년 6월 준공하였다. 2015년 12월 1일 임시개관 후 2015년 12월 11일 정식 개관하였다. 건물 내부에는 3개의 상설전시관과 어린이관, 천체투영관, 야외전시장이 갖춰져있다.[4][2] 대한민국 동남권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 조선, 에너지, 방사선 의학 등의 주제로 하는 과학기술 체험관으로 조성되었다. 운영과 평가2015년 2월 16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과학관육성법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출연하는 특별법인인 '국립과학관법인'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또한 후원회 운영이나 기부금 모집을 할 수 있는 시민참여형 과학관으로 운영되고 있다.[5][6] 2019년 9월 5일 국립부산과학관은 UN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에 부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해, 호주 퀸스랜드 과학관에서 개최된 국제과학관학술회의 ‘2019 ASPAC 컨퍼런스’의 크리에이티브 어워즈에서 ‘애니멀피디아’ 프로젝트로 '과학 커뮤니케이션상'을 수상하였다.[7] 이 밖에도 부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 3년 연속으로 ‘교육메세나탑’을 수상하고, 대한민국 교육부로부터 ‘2020 대한민국 교육 기부 우수기관’에 선정되기도 하였다.[8] 같이 보기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