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777sms777sms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위키백과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입니다.
--~~~~ )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RedMosQ (토론) 2009년 9월 11일 (금) 15:40 (KST) 항공기 정보제 사용자토론 문서에 의견을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777sms 님의 말씀처럼 항공기가 더 폭넓은 개념이니 {{비행기 정보}}와 {{항공기 정보}}를 합하여 {{항공기 정보}}로 하면 되겠네요. 이후 의견은 틀토론:항공기 정보에 남겨 주셨으면 합니다. Jjw (토론) 2009년 9월 17일 (목) 11:06 (KST) 메시에 - 접두어 넘겨주기제가 지금 봇을 이용해서 다 만들겠습니다. 편집 충돌이 나지 않게 주의해 주세요. --by Devunt at 2010년 1월 28일 (목) 11:08 (KST)
국립국어원 국어사전안녕하세요.국립국어원 국어사전의 내용을 토론:파나맥스에 그대로 올려주셨던데, 국립국어원의 저작권 정책은 위키백과의 저작권과는 호환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삭제해야하지 않을까요? --아들해 (토론) 2010년 2월 9일 (화) 17:54 (KST)
이라고 표준국어대사전의 저작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위키백과의 저작권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을 따르고요.(이 저작권은 영리적인 목적의 사용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국립국어원의 자료를 그대로 복사해서 가져올수는 없습니다. 만약 꼭 필요하다면 해당 내용을 링크를 걸어 인용하는 수준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까요? --아들해 (토론) 2010년 2월 9일 (화) 18:01 (KST)
파나맥스panamax/suezmax/aframax 등의 선박 크기에 대한 표기를 보면 "-막스"/"-막스급" 형태가 "-맥스"/"-맥스급" 형태보다 "월등히"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표기 규범을 상대적으로 잘 지키는 신문 기사만 살펴봐도요.) 국립국어원 사전에는 "파나맥스"만이 등록되어 있는건 알고 있습니다만.. -- ChongDae (토론) 2010년 2월 12일 (금) 18:40 (KST)
트로이아 전쟁아직 그리스어 표기법은 정착되지는 않았습니다만, 트로이아에서 벌어진 전쟁은 "트로이아 전쟁"으로 하는게 어떨까요? -- ChongDae (토론) 2010년 2월 12일 (금) 18:41 (KST)
남의 편집에 대해서 지적할실때내용을 좀더 분명하게 말씀해주셨으면 합니다. 서두에는 '양산 관련'이라고 하면서 마치 토막글 틀을 넣는것 자체에 문제가 있는마냥 쓰시더니, 본문에는 '토막글 쓰는 것 자체는 괜찮지만' 이라고 하시고, 지적하실때도 구체적인 예 없이 '내용을 보지도 않고' 라고 하시면 어떤 문서에서 어떤 부분의 편집이 틀린건지 알지 못합니다. 다른사람의 편집중에 틀렸다고 생각되는 한 두번의 사소한 문제같은건 그냥 되돌리시면서 이유 적어주시면 되겠고요. 토막글 틀이 기분나쁜것도 아닌데 '주의'라니 777님의 토론 방식에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많군요. 토론이 좀더 생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1 (토론) 2010년 3월 1일 (월) 17:12 (KST)
헬베티족"헬베티아"족이라는 표현은 처음 들어보는데 혹시 출처를 알려주실 수는 없을까요? 라틴어로는 "Helvetii"로 표기하거든요.--아들해 (토론) 2010년 3월 3일 (수) 21:58 (KST)
사과 드립니다지난번 제가 달아놓았던 토막글 틀 부터 시작해서 여러가지로 777sms님과의 갈등이 있어왔던 것 같습니다. 그동안의 저의 잘못에 대해서 불쾌하신 점이 있었다면 사과드리는바이며, 앞으로 저도 열린 마음으로 활동을 해나갈테니 부디 777sms님께서도 마음 푸시고 앞으로 협업해서 좋은 문서 만들어갔으면 좋겠습니다. --1 (토론) 2010년 3월 5일 (금) 22:00 (KST) 위치지도 틀현재의 이왕이면 문서 제목과 위치지도 틀 제목을 맞추는게 어떨까요? -- ChongDae (토론) 2010년 3월 20일 (토) 04:09 (KST)
한자한자는 lang/llang 대신에 {{한자}}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lang/llang은 "언어"를 구분하는 틀이지, 문자를 구분하는 틀이 아닙니다. -- ChongDae (토론) 2010년 4월 22일 (목) 14:12 (KST)
8000미터 봉우리원래 산 붙이는 게 맞지 않나요? 산의 공식 이름에는 뒤에 산 자를 붙이는 걸로 아는데요. -- 윤성현 論 · 기여 · F.A. 2010년 5월 3일 (월) 08:52 (KST)
사소한 편집 정말 감사드립니다제가 위키백과에 발들인지 얼마 되지가 않아서 띄어쓰기에 (즉,문법) 문제가 많았는데 사소한 부분도 꼼꼼하게 수정해주신점 정말 감사합니다. 777sms님께서 수정하신 부분들을 하나하나 비교해가며 저의 문제점을 배우고 있는 중입니다.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Mutrix (토론) 2010년 5월 25일 (화) 20:06 (KST)
팔정도 (물리학)에 대하여안녕하세요. 우선, 관리자로서 위키백과에 여러 공헌을 하신 점에 감사드립니다. 또한, 최근에 제가 수정하거나 생성한 여러 문서를 편집하여 주셔서 갑사합니다. 최근 위키백과에 올라온 팔정도 (물리학)/팔중도 (물리학) 문서에 대하여 여쭙고자 합니다. 저는 이 문서를 "팔정도"로 작성하였는데, 관리자님께서 "팔중도"로 옮기셨더군요. 이 점에 대해 의문이 있어 여쭙습니다. 입자물리학의 "eightfold way"는 머리 겔만이 불교의 팔정도(八正道) 혹은 팔성도(八聖道)를 따서 지은 말입니다. "팔정도" 및 "팔성도"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돼 있지만, "팔중도"는 수록돼 있지 않습니다. "팔중도"는 제가 아는 바 불교계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참고로, "eightfold way"는 대한물리학회 물리용어조정안에 수록돼 있지 않습니다.) 위키백과에서 이미 "팔정도"를 쓰고 있고, 인터넷 검색에도 "팔정도"가 가장 많이 나오므로, "팔정도"로 쓰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팔중도"(八重道)는 중국어와 광둥어 위키백과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어원을 무시하고 "eightfold"를 "8배"로 직역한 결과인 것 같습니다. 불교 용어인 "팔정도"는 "8가지의 바른 길"이므로, 불교적인 어원과 맞지 않습니다. 물론 팔정도는 8중항 [octet]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러나 영어 용어로는 "octet"과 "eightfold"는 어원상 관계가 없습니다. "octet"은 원래 이탈리아어 (ottetto)에서 8종의 악기로 연주하는 곡(팔중주)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관현악 사중주"와 같습니다. 이 의미로는 중(重) 자가 적절합니다. 그러나 "eightfold way"는 그런 어원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위키백과의 용어를 가능하면 어원에 맞게 통일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혹시 간과한 점이 있다면 죄송합니다. 저는 IP사용자로서 문서를 옮길 권한이 없으므로 이렇게나마 여쭙습니다. 감사합니다. 128.12.66.182 (토론) 2010년 5월 30일 (일) 00:31 (KST)
이고르 시코르스키 문서러시아어 Игорь가 '이고리'로 표기되는 만큼 문서 제목을 '이고리 시코르스키'로 하는 것이 옳기 않을까요? --BIGRULE (토론) 2010년 6월 16일 (수) 20:00 (KST)
사용자 문서 수정 바람
분류:조지아 (국가) 틀괄호가 필요한가요? -- ChongDae (토론) 2010년 8월 25일 (수) 12:23 (KST)
존 디펜베이커제가 만든 새글을 존재할 수 있도록 해줘서 감사합니다. 존 디펜베이커 총리의 인물정보도 추가하였으면 합니다. --Risk34 (토론)
매켄지 보얼, 로버트 보든, 리처드 베닛오늘 제가 위의 3명의 총리들의 문서를 완성하면서, 캐나다 총리들의 문서 완성을 드디어 마쳤습니다. 그럼 위 3명 총리들의 인물 정보를 부탁드립니다. 이제부터 문서를 완성하기 전에 정확함을 확인하고 가꾸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Risk34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저기..며칠 전 제 계정 변경했던 아이디로 누가 가입해서 사칭하여, 알찬 글 후보로 올린 사람은 제가 아님을 밝힙니다. 사용자:Vianney93을 참고하시고 오해없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 土屋光 : "츠치야 히카루" (Talk·Mail·Contribs) 2010년 11월 3일 (수) 22:45 (KST) 틀 추가에 감사를 표합니다.저 혼자 작업하기 힘들었는데 틀 추가에 힘써주셔서 작업이 훨씬 수월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Şilver ßullet (토론) 2010년 11월 20일 (토) 03:16 (KST)
글리코젠국어대사전의 경우도 글리코젠의 설명은 "=글리코겐"입니다. 글리코겐으로의 넘겨주기 아닌가요? -- ChongDae (토론) 2010년 12월 23일 (목) 14:22 (KST)
앞으로도...앞으로도 좋은 기여와 함께 한국인의 배움에 알찬 내용이 될 수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성탄절 잘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Risk34 (토론) 2010년 12월 24일 (금)
타즈만에 관해서 ...제가 타스만 지방이라고 해놨는데, 태즈먼 지방으로 옮기셨더군요. 아마도 태즈먼 해를 기준으로 그렇게 판단하신 것 같습니다. 일단 뉴질랜드를 벗어난 국제적인 지명, 즉 공용 지명인 경우는 미국식 영어 발음을 채용하는 것이 옳습니다. 따라서 태즈먼 해는 타스만 해라고 할 수 없는데, 뉴질랜드의 내륙의 경우는 타스만이 맞습니다. 타스만 빙하, 아벌 타스만 국립공원, 타스만 지방 등 내륙에 적용되는 모든 지명은 영국식 영어인 타스만으로 표기를 하는 것을 국립국어원에서도 권장합니다.(참고) 뉴질랜드는 미국식 영어가 아니라 영국식 영어를 쓰는 나라기 때문에, 현지어 발음을 기준으로 한다면, 타스만이라는 지명이 가장 옳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비록 아벌 타스만이라는 같은 이름에서 나왔지만, 태즈먼 해, 태즈먼 만은 맞는 표기이고, 타스만 빙하, 타스만 지방 등은 타스만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Asfreeas (토론) 2010년 12월 23일 (목) 23:51 (KST)
블렌하임 전투에 관해서 문의 드립니다다름이 아니라 블렌하임 전투를 모두 블레넘 전투로 바꾸셨더군요. 영어식 명칭으로는 맞는 말이지만 영어권에서만 표현하는 단어이고, 기타 언어에서는 그 지역명을 따라 블렌하임 전투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이나 유명 전투를 다룬 책들에서 보면 블레넘이 아닌 블렌하임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시고 오히려 블렌하임을 주(主)로 하시고 블레넘 전투로 넘겨주시면 안될까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초코벌레 (토론) 2010년 12월 26일 (일) 00:07 (KST)
인터위키한국어 쪽에 붙으면 몇 분 내에 영어 위키백과에도 붙습니다. 이런 단순 작업을 위한 위키백과:봇이 하나둘이 아니거든요. -- ChongDae (토론) 2011년 1월 30일 (일) 22:40 (KST)
한국 물리학회 용어에 관해저는 한국에서 물리 수학을 배운 건 고등학교 때 까지이고, 이후 6년간을 계속 일본 츠쿠바대학 등에서 물리학을 전공하면서, 순우리말 물리용어는 솔직히 저한테 있어서 또 하나의 외국어 수준입니다... 어제 보니까 제가 공형장 이론이라 하여 세웠던 위키를 등각장론 이라고 바꿔주셨는데, CFT를 한국에선 등각장론이라 부르는 모양입니다. 앞으로도 일본에서 제가 배워나간 내용을 토대로, 물리학 지식들을 중심으로 제 비망록 혹은 복습 겸을 해서 내용들을 추가해 나갈 예정인데요, 그런 물리학 용어는 어떻게 해야 알 수 있죠? 뭐 괜찮으시다면, 제가 그런걸 상관 없이 일본에서 배운 대로 일단 일본식 용어를 써서 글을 쓸테니, 여러분께서 알아서 고쳐주시는 걸 기대하게 해 주시는것도 감사합니다만....--PostEinstein (토론) 2011년 2월 10일 (목) 08:39 (KST)
반스타
반스타
핵실험국립국어원 국어대사전을 보면 "핵-무기", "핵^실험" 식으로 표제어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핵무기는 붙여써야 하지만, 핵 실험은 띄워쓰는게 맞는 표기고, 붙여쓰는 걸 허용한다는 뜻입니다. -- ChongDae (토론) 2011년 4월 8일 (금) 12:07 (KST)
1 공수 여단777sms님, 문서 이동을 하셨던데 일본쪽 말고도 1 공수 여단이란 이름이 중복되거나 대한민국의 1 특전 공수 여단처럼 유사한 이름의 부대가 더 있나요? --크렌베리 (토론) 2011년 4월 16일 (토) 21:33 (KST)
롤배커 권한을 드렸습니다.유용하게 사용하셨으면 좋겠네요 ^^; --더위먹은민츠 (토론) 2011년 5월 22일 (일) 14:32 (KST)
onlyinclude와 noinclude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틀:출생일과 나이 등의 noinclude를 onlyinclude로 되돌리신 것을 보고 왔습니다. onlyinclude와 noinclude는 동등하게 쓸 수 있습니다만 제가 noinclude를 쓴 것은 noinclude에 오작동하는 봇보다 onlyinclude에 오작동하는 봇을 많이 보았기 때문입니다. --Alphanis (토론) 2011년 5월 30일 (월) 13:11 (KST)
외부연결제가 새로 작성한 문서들에 외부연결을 추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레지나 킹, 신디 크로포드, 러셀 크로우의 문서들에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Risk34 (토론) 2011년 5월 30일 (월)
첨자 틀 정리띄어쓰기에 관해서는 제 토론 페이지에 썼듯 띄어쓰기를 하는 원칙을 지키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Sup}}와 {{Smallsup}} 간에 서로 옮기다보니 문서 역사가 꼬여버렸습니다. 틀:Sup/설명문서를 틀:위 첨자/설명문서로 옮겼어야 되는건데 이미 smallsup의 설명 문서가 그리로 갔거든요. 죄송하지만 틀:Sup/설명문서를 삭제 신청해도 되겠습니까? --Alphanis (토론) 2011년 6월 3일 (금) 03:10 (KST)
질문키틴 문서를 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키틴과 키틴질은 정확히는 서로 다른것인가요? 키틴질을 키틴으로 넘겨주기로 만들어보려다가 내용을 보니 다른듯 해서요. 수고 많으십니다. :) --비엠미니 D·C·M 2011년 8월 25일 (목) 00:16 (KST)
군사 반스타군사 분야에 대한 꾸준한 기여에 대해, 군사 반스타 하나 드립니다. ^^ -- Bonafide2004 (토론) 2011년 8월 29일 (월) 16:42 (KST) 부대 단위 Group의 번역은?일본 자위대쪽 말고 벨기에의 SFG가 특수작전군으로 번역된걸 보고 질문드려요. 현재 둥글 단(団)과 무리 군(群)이란 한자로 된 단위가 양쪽다 영어로는 Group으로 번역되네요, 그런데 군이란 단위에 대해 일어 위키백과를 찾아봤었는데 분류라던가 편제 구조는 현재 일본쪽에만 쓰이있는 단위로 판단됩니다. 왜 그렇게 판단했냐하면, 영어권(정확히는 미국)의 편제를 고스란히 딴서 창설된 대한민국의 부대의 경우, 아전공병단이나 항공단처럼 '단'으로 된 부대는 있지만, '군'(群)을 쓰는 부대는 보이지 않고, 야전군의 군은 군사 군(軍)이니 결국 무리 군(群)에 해당하는 영어권 부대 단위는 없다라고 보고 있습니다. 덧붙여 일어 위키백과에서 대한민국의 그 단 단위의 부대가 '군'으로 번역된 목록(대한민국 육군의 연대 목록의 일어판 목록)이 있고. 그걸 다시 직역하면 야전공병군, 항공군 등으로 바뀝니다. 그런 점에서 웹사이트에서 퍼져있는 일부 부대 명칭은 영어→일본어→한국어로 이런 2차 번역을 거친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과거에 해외문물을 수입할때 직수입한게 아니라 일본을 거쳐서 수입했던 사례가 있으니까요. 저의 빈약한 주장이긴 한데, 요약하자면 군(群)은 일본쪽의 고유 부대 단위로 생각되므로 일본쪽 부대를 제외한 타 국가의 Group계열 부대는 '단'으로 번역하는게 좋지 않나 생각됩니다. (둥글 단에 있는 군대와 관련된 해석이 무리 군에는 없습니다) --크렌베리 (토론) 2011년 10월 21일 (금) 01:43 (KST)
스포츠 자동차라는 표제어가 실제 한국어 사용자들이 쓰는 용어와는 거리가 있어 표제어를 스포츠카로 이동하는 토론을 제안할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벌써 옮겨 놓으셨네요. 감사합니다. --112.159.121.107 (토론) 2011년 11월 12일 (토) 15:46 (KST)
반스타 증정!
2012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北京 (토론·기여·메일) 2012년 1월 4일 (수) 16:33 (KST)
음악 그룹.제 생각은 다릅니다. 웨스트라이프는 애초에 영어권 국가에서 활동하는 음악 그룹이니 당연히 번역을 하는게 옳습니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 "가타카나"나 "히라가나"가 아닌, 영어로 활동(한국에서도 그렇구요.)합니다. 가타카나나 히라가나면 당연히 발음대로 번역을 해야하지만, 애초에 일본어권이나 한국어권에서 영어로 표기되는 경우니 영어 표제어로 하는게 맞습니다. 한국에서의 8eight, 2NE1이랑 같은 경우라 볼 수 있겠죠. 이 경우에도 에이트, 투애니원이라고 표제어를 하지는 않습니다. -- Tsuchiya Hikaru (Talk·Mail·Contribs) 2012년 1월 18일 (수) 00:57 (KST)
지적재산권을 지식재산권으로 변경하여 통일합시다지식재산 기본법에서 지식재산권으로 법률 용어가 통일되었다고 들었는데 지적재산권으로 문서 제목을 정하는 이유가 있나요?--Freebiekr (토론) 2012년 1월 18일 (수) 18:42 (KST)
{{스크린온라인 이름}}이 편집에 반론합니다. 'the British Film Institute's Screenonline'의 경우에는 인터넷 검색시에, '영국 필름 연구소'라는 명칭으로 지식백과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현재 표기에 맞춰 '영국 영화 연구소'로 변경 표기한 것이고요. --가람 (논의) 2012년 2월 16일 (목) 23:33 (KST)
컴퓨팅안녕하세요, 전산 문서를 컴퓨팅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777sms님께서 이동하시기 전에 통일성을 위해 제가 "문서 제목 (컴퓨팅)"을 모조리 "문서 제목 (전산)으로 이동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변경된 문서 제목에 맞추어 다시 이를 컴퓨팅으로 이동해야할 것 같은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ted (토론) 2012년 2월 17일 (금) 11:01 (KST)
{{틀:동아시아 전설의 생물}} 관련{{틀:동아시아 전설의 생물}}을 편집할 때 틀 문서에서 분류를 제거하셨으면, 그 틀에서 가리키는 각각의 문서에 분류를 추가해 주셨으면 합니다. 그냥 틀 문서에서 분류를 제거하고 각각의 문서에 분류를 추가하지 않으면, 각각의 문서에서는 분류가 제거되어 버리니, 꼭 조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Knight2000 (토론) 2012년 2월 22일 (수) 09:12 (KST)
틀 수정틀:블루리본상 작품상, 틀: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작품상 수정 감사합니다. 두 개 다 넣으면 하나 나오고 한 줄 띄고 나와서 답답했었는데 고쳐주셧네요 --Sangrila (토론) 2012년 3월 23일 (금) 16:54 (KST)
틀: 인물 에 대해..안녕하세요? [23]에서 삭제가 되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려봅니다.. [24] 특별한 화제 부분이 있는 교통 사고의 경우 특별한 화제가 아닌가요?--18호 (토론) 2012년 10월 24일 (수) 18:21 (KST)
일본의 음악 그룹 이름에 관해서...헬로! 프로젝트 그룹 또는 유닛 이름이 한글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표기되어 있는 이유를 답변으로 부탁드립니다.121.139.244.7 (토론) 2012년 11월 30일 (금) 22:28 (KST)
틀:천간지지과 겹치는 것 같은데 넘겨주기 처리하는게 어떨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A. W. ROLAND ː <RECENT> 2013년 4월 14일 (일) 17:41 (KST)
틀:둘러보기 상자 관련 질문왜 속성중에 |bodyclass = hlist 가 적용이 안될까요? 틀:둘러보기 상자 개편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만...--A. W. ROLAND ː <RECENT> 2013년 4월 14일 (일) 19:23 (KST)
둘러보기 틀에서 group1의 번역제목1이 아닌, 묶음1로 해 주세요. 같은 변수에 대해 여러 번역이 쓰이면 나중에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3년 4월 15일 (월) 10:50 (KST)
아 틀:북아프리카 전역의 바뀜 내역만 보았는데, 원래부터 제목1 등으로 묶여 있었군요. 이런 것에 대해도 추적용 분류를 추가해보겠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3년 4월 15일 (월) 12:43 (KST) 둘러보기 상자윗글,아랫글에는 listclass 사용은 제외하는게 맞지 않나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ChongDae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noincludenoinclude는 onlyinclude와 includeonly의 도입으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도태 대상이 된지 오래입니다. 끼워넣지 않을 부분을 지정하는 것보다 끼워넣을 부분만을 지정하는 게 훨씬 안전하니만큼, onlyinclude를 noinclude로 바꿀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IRTC1015 (talk) 2013년 4월 30일 (화) 17:15 (KST)
분명히 공식 사이트는 된다 명시되어 있는데, 이를 확인 안하시고 무작정 {{공식 팬카페}}를 삭신하신 것에 대해 굉장히 유감을 표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15년 8월 16일 (일) 20:19 (KST)
틀의 삭제 여부가 결정되기 전까지 되돌림은 지양 바랍니다. --양념파닭 (토론) 2015년 8월 21일 (금) 14:10 (KST)
위키백과토론:바깥 고리#팬 사이트 연결에 의거하여 해당 틀은 삭제하였습니다. 다른 의견이 있으시다면, 해당 토론 공간에 타당한 근거와 함께 의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ted (토론) 2015년 8월 22일 (토) 10:17 (KST) 정보상자 국기 아이콘백:아이콘을 입력하니 유용한 아이콘 모음으로 리디렉션 되더군요. 구체적으로 어떤 문서에 지침이 있나요? 그쪽에 이의를 제기하고자 합니다. --RhapsoDJ (토론) 2015년 8월 29일 (토) 12:46 (KST)
국기 삭제국기그림 아이콘 삭제를 서두르지 마세요! 아직 알찬 글이나 좋은 글의 인물정보 상자 등에도 국기가 많기 때문에 더 토론을 해야 할 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RhapsoDJ (토론) 2015년 11월 17일 (화) 19:51 (KST)
도와주셔서 고맙습니다안녕하세요, 777sms님. 틀 수가 많아서 시간은 많이 소요되었지만, 덕분에 이번 생몰년/생애 틀 작업이 상대적으로 빨리 끝날 수 있었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ted (토론) 2015년 11월 21일 (토) 22:16 (KST)
토론:더불어민주당에서 병합과 관련한 토론777sms님, 토론:더불어민주당에서 병합과 관련한 토론에서 아무래도 이쪽 분야에 관심이 많으신 사용자들의 의견이 더 필요한 것 같아서 찾아왔습니다. 병합에 관한 고견 부탁드립니다. --아드리앵 (토·기) 2015년 12월 30일 (수) 11:30 (KST) 국기 남용에 대한 오해안녕하세요. 사용자 kgw5360 입니다. 당신이 제가 반달질을 저질렀다고 생각하시는데, 오해가 있습니다. 봐보시면 Bic와 울프슨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에서 국기를 표시해둔것은 반달질이 아닙니다. 오히려 어느 나라 기업인지 잘 표시해둘려고 국기를 표시해둔것입니다. 국기를 많이 표기한것 아니라 겨우 하나밖에 표시를 안했는데, 이거 잘못생각해서 지우시고 오해로 만드신거 아닙니까? 잘못을 인정하세요.--Kgw5360 (토론) 2016년 1월 20일 (수) 11:46 (KST)
답변 감사 합니다. 777sms님의 말이 맞네요. 잘못 이해해서 죄송합니다. 앞으로는 기업, 영화 표에는 국기 아아콘을 안쓰도록 하겠습니다 --Kgw5360 (토론) 2016년 1월 31일 (일) 23:38 (KST) 인물 문서인물 문서에서는 llang 틀을 사용해 원어 표기의 '언어'를 직접 링크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또한 통용 표기를 허용하는 현 위키백과 편집 지침에 따라, 기존의 외래어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llang 틀에서 h부분으로 작게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많은 인물 문서에서 확인되는 부분이며, 특히 편집하신 앨런 릭먼과 데이비드 보위 문서는 표기법에 따른 표기와 통용 표기 중 표제어를 취사선택하는 내용의 토론이 최근까지 진행되었기에 각 의견이 모두 반영된 안의 편집이 필요합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2월 28일 (일) 03:10 (KST)
질문있습니다틀:군인 정보 에 보면 타 언어 위키는 훈장표시나 국가표시를 하는데 한국어 위키는 삭제 시킨거로 나오는데 그 이유 아시나요? 이유 아시면 설명 부탁드릴게요. 토론 출처도 부탁드려요. Yoyoma88 (토론) 2016년 7월 20일 (수) 09:39 (KST)
활발한 위키 활동을 하시는 님께 드리는 설문 요청 (15분 소요)안녕하세요. 777sms님 이렇게 토론에 글을 올려드려서 죄송합니다. 개인적으로 연락 드릴 방법이 없어 이 방법을 활용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위키피디어 등 위키 참여 방안을 가지고 연구를 하고 있는 카이스트 산업디자인 학과 박사과정 김대업이라고 합니다. 설문 내용은 나무 위키 / 위키 활동의 동기를 묻는 질문이고요 조사 내용은 평균 20분 정도 소요가 되며, 여기 누르시면 설문 연결 됩니다. https://ko.surveymonkey.com/r/T8TLR3M 문의사항은 제 공식 이메일 up42011@kaist.ac.kr 로 해주시면 됩니다. 설문 기간은 11월 4일 까지 입니다. 응답하신 내용은 박사학위연구 자료로만 쓰입니다. 보내주신 개인 식별정보는 사례금을 보내드릴 이메일만 수집하며, 이 이메일 정보도 타인에게 공개되지 않습니다. 연구가 종료되는 2017년 11월 30일 이후 비밀번호로 별도 보관되며, 수사기관등의 공개 요청이 있다 하더라도 **처리 하여 공개됩니다. 실명은 수집하지 않습니다. 설문조사 사례비로 문화상품권 5,000원을 보내드립니다. 기간 이후, 본 토론 내용은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불편 드려 죄송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되시면 살펴보시고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대업 드림. Up4201 (토론) 2017년 10월 30일 (월) 22:19 (KST) I need help I don't write KoreanHi @777sms: I would like to include the article on Andrea Benetti, a well-known Italian artist https://en.wikipedia.org/wiki/Andrea_Benetti_(artist) I have prepared the draft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9A%A9%EC%9E%90:BarbaraLuciano13/%EC%97%B0%EC%8A%B5%EC%9E%A5 in Korean with the automatic translator, but I need someone to correct the proof and insert the infobox at the beginning and the categories at the end. Can you help me please? Thank you very much, I await your reply, --BarbaraLuciano13 (토론) 2021년 6월 18일 (금) 06:38 (KST) 2021 위키데이터 온라인 2차 에디터톤777sms님 안녕하세요. 한국어 위키백과의 자매 프로젝트인 위키데이터를 보완하는 에디터톤에 참여하시고, 리워드를 받아가실 수 있습니다. 위키데이터는 언어에 상관없이 정보를 공유하고 싶은 사람들이 만든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위키데이터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그 나라 사람에게는 그 나라 언어로 바뀌어서 표시됩니다. 위키데이터 온라인 2차 에디터톤에서는 위키데이터 항목이 어떤 속성과 값을 갖는지 서술해 나가게 됩니다. 사람이라면 태어난 곳-서울, 직업-가수, 동물이라면 서식지-동아시아, 기대 수명-20년 등과 같이 대상을 설명할 수 있는 서술을 추가하고, 어디서 그 정보를 찾았는지 참고 문헌을 추가해 줍니다. 참가자 분들을 위해 기여에 따른 추첨과 순위에 따른 리워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1년 6월 29일 (화) 16:06 (KST) 삭제를 부탁드리는 문서이 문서 중에서 목록 중에 존재하는 문서가 1개만 있고 나머지는 다 없는 문서여서 이걸 쓸 이유가 없거든요? 그래서 말인데 죄송하지만 삭제 시켜주시면 합니다. 꼭은 아닌데 혹시 괜찮으신가요? 이청주 (토론) 2022년 4월 6일 (수) 18:58 (KST) 위키백과 도움말 동영상 제작 온보딩톤에 참여해보세요!![]() 위키백과를 처음으로 편집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어려운 장애물은 무엇일까요? 읽고 이해하기 어려운 텍스트 도움말입니다. 온보딩톤(Onboarding-thon)은 새 사용자들이 위키백과의 여러 기능을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따라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도움말을 제작하는 콘테스트입니다. 여러분의 목소리로 새로운 사용자들이 위키백과에 쉽게 뛰어오를 수 있도록 함께 손을 잡아주세요.
1박2일 동안 함께 모여 팀별 경연으로 진행합니다. 우승팀에는 50만원과 상패, 2·3위 팀에는 20만원의 상금과 상패를 리워드로 지급합니다. 아래의 링크로 참여해보세요!
이강철 (WMKR) (토론) 2022년 9월 16일 (금) 15:45 (KST) 도움말 동영상 제작 프로젝트 연기777sms님 안녕하세요. 10월 2~3일에 1박2일 온보딩톤 형태로 예정되었던 도움말 동영상 제작 프로젝트는 참가자 부족으로 연기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이번 프로젝트에 관심가져주셔서 감사드리며, 사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른 방식으로 준비된 도움말 동영상 제작 프로젝트로 다시 찾아뵙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2년 9월 20일 (화) 19:18 (KST) Invitation to Rejoin the Healthcare Translation Task Force![]() You have been a medical translators within Wikipedia. We have recently relaunched our efforts and invite you to join the new process. Let me know if you have questions. Best Doc James (talk · contribs · email) 12:34, 6 August 2023 (UTC) 삭제 토론 알림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