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양경찰청장 |
---|
 해양경찰청 로고
|
|
임기 | 2년 |
---|
초대 | 조성빈 |
---|
설치일 | 1996년 |
---|
해양경찰청장(海洋警察廳長)은 해양경찰청을 대표하는 직위로, 치안총감으로 보한다.[1]
임명
역할
-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 해양경찰청장은 해양에서의 경찰 및 오염방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역대 기관장
내무부 해양경찰대장
정부
|
대수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제1공화국
|
초대
|
이상열(李相烈)
|
경무관
|
1953년 12월 21일~1955년 2월 7일
|
|
해무청 해양경비대장
정부
|
대수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제1공화국
|
초대
|
이상열(李相烈)
|
경무관
|
1955년 2월 7일~1955년 6월 14일
|
|
2대
|
김옥경(金玉卿)
|
서기관
|
1955년 8월 4일~1956년 6월 7일
|
|
3대
|
최효용(崔孝鏞)
|
이사관
|
1956년 6월 28일~1957년 9월 12일
|
|
4대
|
김석응(金錫應)
|
1957년 9월 12일~1960년 5월 25일
|
|
제2공화국
|
5대
|
민흥기(閔興基)
|
1960년 5월 30일~1961년 6월 19일
|
|
6대
|
김순일(金淳一)
|
해군 대령
|
1961년 10월 30일~1962년 5월 1일
|
|
내무부 해양경찰대장
정부
|
대수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제2공화국
|
초대
|
김순일(金淳一)
|
해군 대령
|
1962년 5월 1일~1963년 12월 17일
|
|
제3공화국
|
2대
|
신광영(辛光永)
|
1963년 12월 17일~1964년 2월 2일
|
|
3대
|
신영철(申永撤)
|
치안부이사관
|
1964년 2월 3일~1966년 9월 30일
|
|
4대
|
신용관(申用寬)
|
치안감
|
1966년 10월 13일~1971년 6월 21일
|
|
5대
|
이종학(李宗鶴)
|
1971년 6월 21일~1973년 5월 19일
|
|
제4공화국
|
6대
|
하삼식(河三植)
|
경무관
|
1973년 5월 19일~1973년 12월 17일
|
|
7대
|
박용전(朴用銓)
|
치안감
|
1973년 12월 17일~1974년 7월 12일
|
|
8대
|
장일훈(張日勳)
|
1974년 7월 12일~1975년 5월 25일
|
|
9대
|
박병훈(朴秉勳)
|
1975년 6월 3일~1976년 7월 28일
|
|
10대
|
염보현(廉普鉉)
|
1976년 7월 28일~1979년 2월 29일
|
경찰청장 역임
|
11대
|
이광수(李光洙)
|
1979년 2월 20일~1980년 7월 8일
|
|
12대
|
안응모(安應模)
|
1980년 7월 23일~1981년 3월 9일
|
경찰청장 역임
|
제5공화국
|
13대
|
이균범(李鈞範)
|
1981년 3월 9일~1982년 1월 5일
|
|
14대
|
강민창(姜玟昌)
|
1982년 1월 5일~1983년 4월 8일
|
경찰청장 역임
|
15대
|
홍세기(洪世基)
|
1983년 4월 8일~1983년 12월 13일
|
|
16대
|
최영덕(崔永德)
|
1983년 12월 13일~1985년 1월 18일
|
|
17대
|
안규학(安圭鶴)
|
경무관
|
1985년 1월 18일~1985년 2월 28일
|
|
18대
|
조종석(趙鍾奭)
|
치안감
|
1985년 2월 28일~1986년 1월 17일
|
경찰청장 역임
|
19대
|
김상조(金相祚)
|
치안정감
|
1986년 1월 17일~1986년 10월 27일
|
|
20대
|
권복경(權福慶)
|
1986년 10월 27일~1987년 1월 22일
|
경찰청장 역임
|
21대
|
주병덕(朱炳德)
|
1987년 1월 22일~1988년 6월 1일
|
|
노태우 정부
|
22대
|
정용득(鄭龍得)
|
1988년 6월 1일~1990년 6월 26일
|
|
23대
|
허진원(許鎭遠)
|
1990년 6월 26일~1991년 7월 31일
|
|
경찰청 해양경찰청장
정부
|
대수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노태우 정부
|
초대
|
이강년(李康年)
|
치안정감
|
1991년 7월 31일~1993년 3월 3일
|
|
김영삼 정부
|
2대
|
최재삼(崔在三)
|
1993년 3월 15일~1993년 9월 22일
|
|
3대
|
박일용(朴一龍)
|
1993년 9월 23일~1994년 7월 18일
|
경찰청장 역임
|
4대
|
정진규(鄭鎭奎)
|
1994년 7월 19일~1994년 12월 26일
|
|
5대
|
유상식(兪相植)
|
1994년 12월 27일~1996년 8월 12일
|
|
해양경찰청장
정부
|
대수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김영삼 정부
|
초대
|
조성빈(曺聖彬)
|
치안정감
|
1996년 8월 12일~1998년 3월 1일
|
|
김대중 정부
|
2대
|
김대원(金大圓)
|
1998년 3월 1일~1999년 12월 1일
|
|
3대
|
김종우(金宗佑)
|
1999년 12월 3일~2000년 12월 6일
|
|
4대
|
이규식(李奎植)
|
2000년 12월 7일~2001년 11월 1일
|
|
5대
|
박봉태(朴奉泰)
|
2001년 11월 1일~2003년 3월 2일
|
|
노무현 정부
|
6대
|
서재관(徐載寬)
|
2003년 3월 3일~2004년 1월 7일
|
|
7대
|
이승재(李承栽)
|
치안총감
|
2004년 1월 7일~2006년 8월 9일
|
재임 중 차관급으로 격상
|
8대
|
권동옥(權東玉)
|
2006년 8월 9일~2008년 3월 5일
|
최초의 해양경찰관 출신[2]
|
이명박 정부
|
9대
|
강희락(姜熙洛)
|
2008년 3월 6일~2009년 3월 9일
|
경찰청장 역임
|
10대
|
이길범(李吉範)
|
2009년 3월 9일~2010년 9월 8일
|
|
11대
|
모강인(牟康仁)
|
2010년 9월 8일~2012년 5월 7일
|
|
12대
|
이강덕(李康德)
|
2012년 5월 7일~2013년 3월 18일
|
|
박근혜 정부
|
13대
|
김석균(金錫均)
|
2013년 3월 18일~2014년 11월 18일
|
|
해양경비안전본부장
정부
|
대수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박근혜 정부
|
14대
|
홍익태(弘益太)
|
치안총감
|
2014년 11월 19일~2017년 7월 25일
|
|
해양경찰청장
정부
|
대수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문재인 정부
|
15대
|
박경민(朴敬暋)
|
치안총감
|
2017년 7월 26일~2018년 6월 24일
|
|
16대
|
조현배(調現培)
|
2018년 6월 25일~2020년 3월 5일
|
|
17대
|
김홍희(金洪熙)
|
2020년 3월 5일~2021년 12월 3일
|
|
18대
|
정봉훈(丁奉勳)
|
2021년 12월 3일~2023년 1월 3일
|
|
윤석열 정부
|
19대
|
김종욱(金鍾旭)
|
2023년 1월 4일~2025년 1월 3일
|
|
-
|
오상권(吳相權)
|
치안정감
|
2025년 1월 3일~2025년 2월 9일
|
차장 겸 청장 직무대행
|
20대
|
김용진(金容珍)
|
치안총감
|
2025년 2월 10일~
|
|
같이 보기
각주
|
---|
원장 | | |
---|
장관 | |
---|
실장 | |
---|
위원장 | |
---|
처장 | |
---|
외청장 | |
---|
- 감사원장, 기획재정부 장관 및 교육부 장관은 부총리급 대우를 받는다.
- 국무총리비서실장,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처장 및 외청장은 차관급 대우를 받는다. 단, 검찰총장은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 그 외의 직책은 모두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