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출 방식
|
|
대수
|
이름
|
임기
|
정당
|
도정구호
|
도정방침
|
관선
|
|
초대
|
이남규(李南圭)
|
1948년 10월 18일~1950년 4월 30일
|
|
|
|
|
2대
|
박철수(朴哲洙)
|
1950년 5월 1일~1951년 12월 16일
|
|
|
|
|
3대
|
이을식(李乙植)
|
1951년 12월 17일~1953년 11월 22일
|
|
|
|
|
4대
|
추규영(秋圭映)
|
1953년 11월 23일~1955년 2월 24일
|
|
|
|
|
5대
|
민병기(閔丙祺)
|
1955년 2월 25일~1956년 9월 23일
|
|
|
|
|
6대
|
이기세(李埼世)
|
1956년 9월 24일~1959년 5월 12일
|
|
|
|
|
7대
|
황성수(黃聖秀)
|
1959년 5월 13일~1959년 8월 10일
|
|
|
|
|
8대
|
이하영(李夏榮)
|
1959년 8월 11일~1960년 5월 1일
|
|
|
|
|
권한대행
|
신구영(申求永)
|
1960년 5월 2일~1960년 5월 12일
|
|
|
|
|
9대
|
민영남(閔泳南)
|
1960년 5월 12일~1960년 10월 6일
|
|
|
|
|
10대
|
최의남(崔義南)
|
1960년 10월 7일~1960년 12월 30일
|
|
|
|
민선
|
|
11대
|
민영남(閔泳南)
|
1960년 12월 31일~1961년 5월 23일
|
신민당
|
|
|
관선
|
|
12대
|
송호림(宋虎林)
|
1961년 5월 24일~1963년 7월 22일
|
|
|
|
|
13대
|
김용관(金容寬)
|
1963년 7월 23일~1963년 12월 18일
|
|
|
행정의 합리화, 교육의 생활화, 산업의 과학화, 건설의 항구화, 사회의 명랑화
|
|
14대
|
신용우(申庸雨)
|
1963년 12월 19일~1966년 1월 28일
|
|
1·2·3 운동의 달성 (1)1만정보 농토확장 (2)2천만불 수출달성 (3)300일 노동전개
|
인화 단결, 질서 확립, 직책 완수
|
|
15대
|
김보현(金甫炫)
|
1966년 1월 29일~1969년 10월 21일
|
|
새희망 새건설 새전남
|
근면과 협조, 증산과 개발
|
|
16대
|
김재식(金在植)
|
1969년 10월 25일~1973년 9월 25일
|
|
근면협동으로 알찬전남건설
|
새마을운동의 생활화, 식량증산의 극대화
|
|
17대
|
허련(許鍊)
|
1973년 9월 26일~1975년 11월 12일
|
|
총화약진
|
생산확대, 복지개발, 치산치수
|
|
18대
|
고건(高建)
|
1975년 11월 13일~1979년 1월 9일
|
|
새마을 새전남
|
깨끗하게 봉사한다, 새마을로 소득배가 한다, 지역특성을 개발한다, 서민생활을 보호한다, 도민총화로 향토를 지킨다
|
|
19대
|
장형태(張炯泰)
|
1979년 1월 10일~1980년 5월 27일
|
|
새의지로 새전남을
|
- 관철, 실리, 자숙 - 신뢰로 총화구현, 의지로 소득증대, 창의로 지역개발, 질서로 명랑사회
|
|
20대
|
김종호(金宗鎬)
|
1980년 5월 28일~1982년 1월 4일
|
|
400만의 화합 약진 새전남
|
- 열성, 책임 - 화합으로 사회안정, 의욕으로 지역개발, 근면으로 소득증대, 자율로 안녕질서
|
|
21대
|
김창식(金昶植)
|
1982년 1월 5일~1984년 10월 9일
|
|
400만의 대화합 앞서가는 새전남
|
도민단합과 신뢰풍토조성, 알찬증산과 소득증대, 복지증진과 균형개발, 행정쇄신과 의식개혁
|
|
22대
|
전석홍(全錫洪)
|
1984년 10월 10일~1988년 2월 25일
|
|
400만의 대화합 풍요로운 선진전남
|
화합안정의 정착, 봉사행정의구현, 지역발전의 촉진, 문화예술의 진흥
|
|
직무대리
|
이병내(李炳奈)
|
1988년 2월 25일~1988년 2월 28일
|
|
|
|
|
23대
|
문창수(文昌洙)
|
1988년 2월 29일~1988년 10월 3일
|
|
새시대 새전남 우리의 힘으로
|
인화도정을 이룩한다, 도민의 살림을 늘려간다, 지역을 고루 늘려간다, 남도문예를 꽃피운다
|
|
24대
|
송언종(宋彦鐘)
|
1988년 10월 4일~1990년 6월 20일
|
|
살기좋은 새전남 건설
|
민주행정의실천, 자치역량의 배양, 소득수준의 향상, 지역개발의 촉진, 지역개발의 촉진, 남도문예의 진흥
|
|
25대
|
최인기(崔仁基)
|
1990년 6월 21일~1991년 2월 18일
|
|
300만의 애향자조 살기좋은 새전남
|
농공의 진흥과 조화, 새도민 기풍의 진작, 민의 행정의 구현, 조직 역량의 극대화
|
|
26대
|
백형조(白亨祚)
|
1991년 2월 19일~1992년 4월 20일
|
|
300만의 애향자조 살기좋은 새전남
|
지역 안정의 정착, 새 자치사의 구현, 풍요 전남의 창조, 경민 봉사의 실천
|
|
27대
|
이효계(李孝桂)
|
1992년 4월 21일~1993년 3월 3일
|
|
300만이 한마음 희망에 찬 새전남
|
믿음 있는 도정, 희망에 찬 도민, 정성으로 봉사
|
|
28대
|
이균범(李鈞範)
|
1993년 3월 4일~1993년 12월 27일
|
|
300만이 한마음 희망에 찬 새전남
|
깨끗한 도정, 건강한 사회, 잘사는 지역
|
|
29대
|
구용상(具龍相)
|
1993년 12월 28일~1994년 9월 23일
|
|
대화합 큰 전진
|
화합하는 도민, 앞서가는 도정, 자립하는 농어촌, 활력있는 전남개발
|
|
30대
|
조규하(曺圭河)
|
1994년 9월 24일~1995년 6월 30일
|
|
|
전남 이미지 한차원 높이기, 전남 경제 한아름 키우기
|
민선
|
|
31대
|
허경만(許京萬)
|
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
|
민주당(1995) 새정치국민회의(1995~1999) 새천년민주당(2000~2002)
|
기회와 희망의 전남건설
|
긍지높은 도민, 신뢰받는 행정, 균형있는 개발, 살기좋은 전남
|
|
32대
|
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
새롭게 도약하는 전남
|
도정 개혁의 실천, 지역 경제의 진흥, 균형 개발의 향상, 도민 복지의 향상
|
|
33대
|
박태영(朴泰榮)
|
2002년 7월 1일~2004년 4월 29일
|
새천년민주당(2002~2004) 무소속(2004)
|
소득 창출로 잘사는 전남실현
|
농어촌 경제의 활성화, 투자 유치로 일자리 창출, 문화관광 산업진흥, 복지전남의 구현
|
|
권한대행[3]
|
송광운(宋光運)
|
2004년 4월 30일~2004년 6월 5일
|
|
|
|
|
34대
|
박준영(朴晙瑩)
|
2004년 6월 6일~2014년 6월 30일
|
새천년민주당(2004~2005) 민주당(2005~2007)
중도통합민주당(2007) 민주당(2007~2008) 통합민주당(2008) 민주당(2008~2011) 민주통합당(2011~2013) 민주당(2013~2014) 새정치민주연합(2014)
|
미래를 여는 풍요로운 전남
|
지역경제 활성화, 농어촌 소득증대, 문화관광 진흥, 도민복지 향상
|
|
35대
|
권역별 균형발전, 사회간접자본 확충, 미래산업 육성, 도민복지 증진
|
|
36대
|
희망주는 일자리 창출, 살고싶은 농어촌 건설, 앞서가는 미래산업 육성, 찾고싶은 관광문화 진흥, 찾아가는 도민복지 실현
|
|
37대
|
이낙연(李洛淵)
|
2014년 7월 1일~2017년 5월 12일
|
새정치민주연합(2014~2015) 더불어민주당(2015~2017)
|
생명의 땅, 청년이 돌아오는 전남
|
활기 있는 지역경제, 소득 높은 농축어업, 매력 있는 문화관광, 온정 있는 도민복지, 소통하는 창의도정
|
|
권한대행[4]
|
김갑섭(金甲燮)
|
2017년 5월 13일~2017년 9월 11일
|
|
|
|
|
권한대행[5]
|
이재영(李在榮)
|
2017년 9월 12일~2018년 6월 30일
|
|
|
|
|
38대
|
김영록(金瑛錄)
|
2018년 7월 1일~
|
더불어민주당
|
내 삶이 바뀌는 전남 행복시대
|
활력있는 일자리 경제, 오감만족 문화관광, 살고싶은 농산어촌, 감동주는 맞춤복지, 소통하는 혁신도정
|
|
39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