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도지사

황해도지사(黃海道知事)는 이북5도 가운데 하나인 황해도의 행정사무를 관장하는 단체장이자 차관급 고위공무원이다. 이북5도는 대한민국의 실효 지배 구역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광역자치단체장과 달리 대한민국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지 않으며, 대통령이 임명 권한을 갖는다. 행정자치부 산하 이북5도위원회가 해당 사무를 관할한다.[1]

역대 도지사

일제강점기

호적 이름 한자 표기 재임 기간 비고
조선인 조희문 趙羲聞 1910년 10월 1일 - 1918년 9월 23일 황해도 장관
조선인 신응희 申應熙 1918년 9월 23일 - 1921년 2월 12일 장관, 1919년 8월부터 황해도지사
조선인 박중양 朴重陽 1921년 2월 12일 - 1923년 2월 24일
내지인 이이오 도지로 飯尾 藤次郎 1923년 2월 24일 - 1924년 12월 1일
내지인 야나베 에이자부로 矢鍋 永三郎 1924년 12월 1일 - 1925년 8월 11일
내지인 이마무라 다케시 今村 武志 1925년 8월 11일 - 1928년 3월 29일
조선인 박상준 朴相駿 1928년 3월 29일 - 1929년 11월 28일
조선인 한규복 韓圭復 1929년 11월 28일 - 1933년 4월 7일
조선인 정교원 鄭僑源 1933년 4월 7일 - 1937년 2월 20일
조선인 강필성 姜弼成 1937년 2월 20일 - 1939년 12월 21일
조선인 가네무라 야스오 金村 泰男 1939년 12월 28일 - 1942년 1월 24일 김병태(金秉泰)에서 개명
조선인 야마키 후미노리 山木 文憲 1942년 1월 24일 - 1942년 10월 23일 송문헌(宋文憲)에서 개명
내지인 우스이 주헤이 碓井 忠平 1942년 10월 23일 - 1944년 8월 17일
내지인 미네 고로 美根 五郎 1944년 8월 17일 - 1944년 12월 21일
내지인 야기 노부오 八木 信雄 1944년 12월 21일 - 1945년 5월 2일
내지인 쓰쓰이 다케오 筒井 竹雄 1945년 5월 2일 - 1945년 8월 15일 광복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선출방식 대수 이름 임기 비고
관선 # 쓰쓰이 다케오 (筒井竹雄) 1945년 8월 16일 ~ 1945년 9월 2일 조선총독부 최후의 황해도지사, 미군정
# 한규복 (韓圭復) 1945년 9월 2일 ~ 1946년 미군정 통치하에 임명
# 최창덕 (崔昌德) 1946년 ~ 1949년 2월 광복 이후 임시 서리
초대 이운 (李雲) 1949년 2월 15일 ~ 1959년 1950년까지 재직, 1951년경 납북 됨
2대 함석훈 1959년 ~ 1962년
3대 김선양 1962년 ~ 1979년
4대 정봉중 1979년 ~ 1983년
5대 원용구 1983년 ~ 1990년
6대 방준필 1990년 ~ 1995년
7대 이광노 1995년 ~ 1998년
8대 김기덕 1998년 ~ 2000년
9대 정용근 2000년 ~ 2003년
10대 고순호 2003년 ~ 2003년
11대 설봉희 2006년 ~ 2008년
12대 민봉기 2008년 ~ 2011년
13대 박연용 2011년 ~ 2014년
14대 한상순 2014년 ~ 2018년
15대 박성재 2018년 ~ 2021년
16대 김기찬 2021년 ~ 2023년
17대 기덕영 2023년 9월 1일 ~

각주

  1. 대한민국 국회 (2015년 8월 19일). “이북5도에 관한 법률”.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5년 8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