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멸의 이순신 》(不滅의 李舜臣)은 2004년 9월 4일 부터 2005년 8월 28일 까지 방송되었던 KBS 1TV 대하드라마 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방송 시간
제작진
연출: 이성주, 한준서, 김정규
극본: 윤선주, 박영숙, 윤영수, 장기창, 신민철, 예동우, 한규호
해설: 김종성
등장 인물
주요 인물
전라좌수영
전라우수영
경상좌수영
경상우수영
기타 무신
문신
왕실 인물
이순신의 가족
일본 인물
명나라 인물
여진, 몽고 인물
그 외
류수진 ㅡ 청향 에게 뺨 맞는 기생년
해전 회
시청률 추이
회차
방송 일자
전국 시청률(증감치)
제1회
2014년 9월 1일
3.8%
제2회
2014년 9월 2일
2.7%(-1.1)
제3회
2014년 9월 3일
3.8%(+1.1)
제4회
2014년 9월 4일
3%(+0.8)
제5회
2014년 9월 8일
3.2%(+0.2)
제6회
2014년 9월 9일
4.2%(+1.0)
제7회
2014년 9월 10일
3.4%(-0.8)
제8회
2014년 9월 11일
3.7%(+0.3)
제9회
2014년 9월 15일
3.2%(-0.5)
제10회
2014년 9월 16일
2.2%(-1.0)
제11회
2014년 9월 17일
3.1%(+0.9)
제12회
2014년 9월 18일
2.3%(-0.8)
제13회
2014년 9월 22일
3.3%(+1.0)
제14회
2014년 9월 23일
2.9%(-0.4)
제15회
2014년 9월 24일
3.2%(+0.3)
제16회
2014년 9월 25일
2.8%(-0.4)
제17회
2014년 9월 29일
3.3%(+0.5)
제18회
2014년 9월 30일
2.9%(-0.4)
제19회
2014년 10월 1일
4.2%(-1.3)
제20회
2014년 10월 6일
3.7%(-0.5)
제21회
2014년 10월 7일
3%(-0.7)
제22회
2014년 10월 8일
3.1%(+0.1)
제23회
2015년 10월 9일
미집계
제24회
2014년 10월 13일
3.1%
제25회
2014년 10월 14일
2.8%(-0.3)
제26회
2014년 10월 15일
2.9%(+0.1)
제27회
2014년 10월 16일
2.7%(-0.2)
제28회
2014년 10월 20일
4.2%(+1.5)
제29회
2014년 10월 21일
3.9%(-0.3)
제30회
2014년 10월 22일
2.8%(-1.1)
제31회
2014년 10월 23일
3.7%(-0.9)
제32회
2014년 10월 27일
3.1%(-0.6)
제33회
2014년 10월 28일
2.5%(-0.6)
이모저모
작품성 논란
소설 불멸(작가 김탁환)과 더불어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공동 원작소설인 칼의 노래 작가 김훈 은 불멸의 이순신을 아동드라마라고 비판하였다.[ 11] 이에 2005년 1월 10일 불멸의 이순신 연출 이성주는 "불멸의 이순신의 원작은 조선왕조실록과 난중일기"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순신을 다룬 소설 '불멸'(김탁환 저)과 '칼의 노래'(김훈 저)를 계약한 것은 가공의 인물 등 필요한 부분을 가져다 쓰기 위함이었으므로 소설대로 드라마가 가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하였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 , 난중일기 , 징비록 등 정사 기록을 무시하여 비판을 받았다.[ 12]
불멸의 이순신 16회 방송분이 이순신이 농가에 몰래 숨어들어 감자 를 훔쳐 먹는 장면이 방송되었다.[ 13]
일부 역사학자들과 덕수이씨 이종억 종친회장은 '드라마는 사실무근이다' , '이 드라마는 대국민 사기극이다'라며 비판했다.[ 14] [ 13]
탄금대 전투 에서 기병 이 포졸 로 묘사되어 비판받았다.
국궁 을 양궁 자세로 묘사해 비판받았다.[ 15]
경상북도 영천군 출신으로 임진왜란에서 활약한 김완 이 전라도 사투리 로 코믹 전담 캐릭터로 묘사되어 김완의 후손인 경주 김씨 문중으로부터 항의를 받았다.[ 16]
이운룡 은 백의종군이 된 이순신에게 '나으리'라고 부르는 부하들을 벌주고 이순신에게 쌀가마니를 나르게 하는 등 허드렛 일을 시키는 등에 역사적과는 다르게 백의종군 묘사로 논란이 일었다.[ 17]
사이쇼 죠타이 는 극중에서 '세이쇼 쇼타이'로 나왔는데 잘못된 이름이다.
불멸의 이순신 91회 방송분이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막사에서 크리넥스 화장지가 발견되었다.
외부 개입 논란
KBS 주말 대하드라마는 1999년 후삼국 시대부터 공민왕 시대까지 다루는 고려사 10년 시리즈를 계획했으나 정연주 KBS 사장 취임된 이후 고려 무신집권을 다룬 무인시대 방송 당시 고무줄 편성대 등으로 논란이 일어났다.[ 18] 무인시대 종영이후 당초 고려사 드라마는 전격 취소하고 정연주 사장의 '특명'으로 성웅 이순신 사극을 기획했고 심혈을 기울였다. 정 사장은 또 '내부적 필요'라고 보기엔 과할 정도로 '이순신 프로젝트'에 공을 들였으며, 특히 노무현 대통령이 관심을 보인다고 알려지며 자연스레 홍보가 됐다.
그 외
“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과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 받은 감동 가슴으로 기억하겠습니다.
”
라는 감사패를 제작하여 이순신 역 김명민 , 연출 이성주 감독 등 불멸의 이순신 제작진들에게 전달하기도 하였다.[ 19]
당초 이순신 역 배역에 배우 송일국 이 캐스팅된 상태였으나, 교체되었다.[ 20]
원균(최재성 분) 역에는 김상중 , 박상민 등이, 미진(김규리 분) 역에는 김태연 , 김보경 등이 거론되었으나 무산되었다.[ 21]
후속작으론 《서울 1945 》를 편성할 예정이었으나 제작비 탓인지 보류되었으며 대체 후속작으로 2001년 2TV에서 방영된 《명성황후 》를 재방송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시청자들의 반발과 내부적인 사정으로 편성이 보류[ 22] 되었으며 이 때문에 당초 기획된 100부작에서 4부 늘린 104부작으로 막을 내렸다.
수상 경력
각주
↑ `암흑시대' 고려사 복원 활발 연합뉴스 1999년 1월 29일
↑ (기자의 눈)이진영/KBS에서 밀려난 ‘고려史’ 동아일보 2004년 8월 20일
↑ 《불멸의 이순신`열광… `》 , 《joins》, 2005년 3월 2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이용
↑ 《불멸의 이순신, 독도 특수 타고 '껑충'》ytnstar, 2005년 3월 16일. YTN 홈페이지 보관됨 2007-08-22 - 웨이백 머신 이용
↑ 김가희 기자 (2005년 8월 29일). “' 불멸의 이순신' 시청률 31% 피날레~” . 스포츠한국 .
↑ “‘불멸의 이순신’ 최종회 시청율 31%” . 한겨레 . 2005년 8월 29일. 2015년 1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주간 시청률 분석) SBS '패션 70s', '...이순신'누르고 2위 2005년 8월 16일 스포츠조선
↑ 김정섭 기자 (2004년 11월 25일). “조민기 KBS 출연정지” . 경향신문.
↑ 서병기 대중문화전문기자 (2005년 4월 28일). “‘불멸의 이순신’ 조연출, “제작과정에서 유혹 떨치기 힘들었다”” . 헤럴드 경제.
↑ KBS1 "불멸의 이순신" 재탕편집 시청자 분노 2005년 4월 4일 세계일보
↑ 本報문화부 기자들, 김훈을 만나다 2004년 12월 19일 한국일보
↑ '불멸의 이순신' 아동극수준? "개의치 않는다" 2005년 1월 10일 스타뉴스
↑ 가 나 '임진왜란때 웬 감자'…'불멸의 이순신' 또 역사 왜곡 논란 , 2004년 11월 1일 일간스포츠
↑ "충무공이 원균을 형이라고 부르다니…" , 2004년 10월 25일 일간스포츠
↑ "불멸의 이순신, 활쏘기 고증 제대로 하라" 스타뉴스 2004년 10월 11일
↑ 김완장군 고증달라 후손들 항의 움직임 2005년 4월 2일 매일신문
↑ '불멸의 이순신' 백의종군 이순신 폄하논란 스타뉴스 2004년 12월 27일
↑ 권로미 기자 (2004년 3월 16일). “방영 시간 들쭉날쭉… `무인시대` 팬 화났다” . 헤럴드경제.
↑ 김태은 기자 (2006년 3월 14일). “' …이순신' 시청자들, 김명민 등 95명에 감사패” . 스타뉴스.
↑ 이동현 기자 (2004년 11월 22일). “송일국 7개월간의 '흥망성쇠' ” . 스포츠한국 . 2014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이동현 (2004년 11월 29일). “[채널포커스] '불멸의 이순신' 신뢰도 뚝” . 스포츠한국. 2017년 8월 2일에 확인함 .
↑ 남안우 (2005년 7월 24일). “‘불멸의 이순신’ 후속작에 ‘징기스칸’ 방송” . 마이데일리. 2015년 7월 21일에 확인함 .
외부 링크
리뷰
KBS 대하 드라마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