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운》은 1982년 1월 10일부터 1982년 12월 26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 작품이었다.
등장 인물
주연
조선 왕실
개화파
대신들
일본
청
기타
- 김인태 : 전봉준 역
- 박재주 : 베르뇌 신부 역
- 김길호 : 최제우 역
- 강계식 : 최시형 역
- 장건일 : 손병희 역
- 한혜숙 : 추선 역
- 남일우 : 최신남 역
- 사미자 : 박마르타 역
- 김병기 : 이주회 / 안동준 역
- 맹호림 : 우범선 / 홍봉주 역
- 임병기 : 남종삼 역
- 한혜경
- 유동근 : 숭례문 문지기 / 이경직 역
- 봉혜선 : 진령군 역
- 정운용 : 현석운 / 조병갑 역
- 선우용녀 : 나합 양씨 역
- 유종근 : 박유붕 역
- 최상일 : 홍종우 역
- 이문환 : 이만손 역
- 박해상 : 김좌근 집사 역
- 김윤형 : 심동신 역
- 서상익 : 김응원 역
- 장학수 : 천희연 역
- 황민 : 하정일 역
- 이병철 : 안필주 역
- 하대경 : 장순규 역
- 정종준 : 낭인 / 이인서 하인 역
- 정진 : 김선주 역
- 최창호 : 이영구 역
- 조명남 : 박영교 역
- 하미혜 : 덕수 이씨 부인(박영교 부인) 역
- 안병경 : 이상지 역
- 고광우 : 최진수 / 조인희 역
- 양일민 : 최기달(최진수 아버지) 역
- 지계순 : 경주 손씨 부인(최진수 어머니) 역
- 장칠군 : 이풍래 역
- 박상만 : 강진규 역
- 최동균 : 이용익 역
- 한정국 : 이일직 역
- 유순철 : 초야 선비 서상섭 / 사헌부 군관 황도균 역
- 곽경환 : 초야 선비 지통갑 역
- 이종만 : 이용숙 역
- 김동완 : 어의 역
- 김정환 : 김경천 역
- 이형준 : 최경석 역
- 김종결 : 최성학(최경석 아버지) 역
- 조양자 : 원주 원씨 부인(최경석 어머니) 역
- 서영진 : 최창석(최경석 맏형) 역
- 남윤정 : 경주 정씨 부인(최경석 맏형수) 역
- 안해숙 : 경주 최씨 부인(최경석 맏누나) 역
- 김종구 : 강남득(최경석 맏자형) 역
- 임성민 : 최산석(최경석 둘째 형) 역
- 김진오 : 이필희 / 황재현 역
- 유병한 : 김춘영 역
- 안광진 : 유복만 역
- 구우룡 : 정의길 역
- 이강수 : 강명준 역
- 최승철 : 이휘림 역
- 최란 : 삼월 역 (젊은 시절 장순천)
- 박현정 : 찬모 / 주모 역
- 김혜숙 : 아지(유홍기 부인) 역
- 장희진 : 주모 역
- 전병옥 : 남수민 역
- 홍영자 : 풍산 홍씨 부인(남수민 부인) 역
- 정인철 : 남가원(남수민 외아들) 역
- 홍유진 : 달성 서씨 부인(남수민 며느리) 역
- 전호진 : 남장흡(남수민 친손자) 역
- 김명곤 : 홍희돈(남수민 손아랫처남) 역
- 이제신 : 청주 이씨 부인(남수민 손아랫처남 부인) 역
- 곽정희 : 고성 남씨 부인(남수민 여동생) 역
- 장순국 : 조대석(남수민 매제) 역
- 김현주 : 함안 조씨(남수민 생질녀) 역
- 최재성 : 오낙창(남수민 생질서) 역
- 신수강 : 감고당 이씨 역
- 이한나 : 달성군부인 서씨 역
- 채수영 : 이규원 역
- 송종원 : 이혁주 / 변원규 역
- 이두섭 : 승지 / 백성 역
- 이종우 : 이인종 역
- 신소영
- 방숙례
- 김진란
- 김동수 : 민승호 집사 역
- 윤성국 : 민영익 집사 역
- 정일모 : 유종락(심곡서원 분향사) 역
- 선동혁 : 계익돈(심곡서원 봉제 집사) 역
- 이정훈 : 장광치(심곡서원 서생) 역
- 권오현 : 박홍부(심곡서원 서생) 역
- 전현 : 조독현(심곡서원 서생) 역
- 민태원
- 한경수
- 임영식
- 안성호
- 문창근
- 전영수
- 최우백
에피소드 목록
※ KBS 드라마클래식 업로드 기준
- 1회, 1982년 1월 10일 동창이 밝았느냐 밤이 길고나
- 2회, 1월 17일 동이 틀 무렵
- 3회, 1월 24일 이하전의 최후
- 4회, 1월 31일 철종 승하 그 뒤
- 5회, 2월 7일 고종의 등극
- 6회, 2월 14일 불어오는 바람아
- 7회, 2월 21일 속은 세에 따라
- 8회, 2월 28일 경복궁의 소용돌이
- 9회, 3월 7일 궁중은 봄인데
- 10회, 3월 14일 불타는 셔먼호
- 11회, 3월 21일 장죽은 꺾이고
- 12회, 3월 28일 한 많은 강화섬
- 13회, 4월 4일 근정전의 하늘
- 14회, 4월 11일 쇄국의 여울목
- 15회, 4월 18일 물결은 굽이치고
- 16회, 4월 25일 고목에 새싹은 싹트는데
- 17회, 5월 2일 신미양요
- 18회, 5월 9일 척화파문
- 19회, 5월 16일 새싹은 아직 어리고
- 20회, 5월 23일 바람인가 구름인가
- 21회, 5월 30일 10년 세월
- 22회, 6월 6일 고종의 친정
- 23회, 6월 13일 창덕궁에 훈풍이 감돌고
- 24회, 6월 20일 왜관에 먹구름이
- 25회, 6월 27일 운양호 사건
- 26회, 7월 4일 강화도조약
- 27회, 7월 11일 현해탄엔 먹구름이
- 28회, 7월 18일 수신사는 돌아오고
- 29회, 7월 25일 개항의 소용돌이
- 30회, 8월 1일 이동인의 발길
- 31회, 8월 8일 껍질이 깨지는 아픔
- 32회, 8월 15일 사의 조선책략
- 33회, 8월 22일 바람이 불어오는 곳
- 34회, 8월 29일 밀사의 최후
- 35회, 9월 5일 한미수교
- 36회, 9월 12일 길고 무더운 여름
- 37회, 9월 19일 아! 대원군 자비에 오르다
- 38회, 9월 26일 머나먼 창덕궁
- 39회, 10월 3일 멀어지는 고향산천
- 40회, 10월 10일 척화비 쓰러지다
- 41회, 10월 17일 청에서 부는 바람
- 42회, 10월 24일 서양 나들이
- 43회, 10월 31일 우정국의 낙성
- 44회, 11월 7일 갑신정변 그 뒤
- 45회, 11월 14일 천진조약의 음모
- 46회, 11월 21일 대원군 돌아오다
- 47회, 11월 28일 청일전쟁
- 48회, 12월 5일 개혁의 열풍
- 49회, 12월 12일 가는 사람 오는 사람
- 50회, 12월 19일 달리며 흔들리며
- 총괄편 1부, 12월 20일 불어오는 바람아[1]
- 총괄편 2부, 12월 21일 쇄국의 여울목[2]
- 총괄편 3부, 12월 22일 개항의 소용돌이[3]
- 총괄편 4부, 12월 23일 개혁의 열풍[4]
- 51회, 12월 26일 아! 대한제국
각주
- ↑ 목록에 없으니 별도 시청
- ↑ 목록에 없으니 별도 시청
- ↑ 목록에 없으니 별도 시청
- ↑ 목록에 없으니 별도 시청
같이 보기
KBS 대하드라마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대명(1981년 1월 5일~ 1981년 12월 28일)
|
풍운 (1982년 1월 10일 ~ 1982년 12월 26일)
|
개국(1983년 1월 2일 ~ 1983년 12월 18일)
|
KBS 대하 드라마 |
---|
1980년대 | |
---|
1990년대 | |
---|
2000년대 | |
---|
2010년대 | |
---|
2020년대 | |
---|
|
|
---|
1970년대 | |
---|
1980년대 | |
---|
1990년대 | |
---|
2000년대 | |
---|
2010년대 | |
---|
2020년대 | |
---|
|
|
---|
1970년대 | 드라마 |
- 수상작 없음 (1974)
- 수사반장 (1975)
- 집념 (1976)
- KBS 무대 - 한국 단편 문학 순례 시리즈 (1977)
- 부부 (1978)
- 6.25 (1979)
|
---|
|
---|
1980년대 | 드라마 | |
---|
교양 |
- 수상작 없음(1980 ~ 1984)
- 한국의 나비 (1985)
- 사람과 사람 (1986)
- 장애인 도심 정복 훈련 - 이제는 파란불이다 (1987)
- 천적의 세계 (1988)
- 한국의 자생 약초 (1989)
|
---|
|
---|
1990년대 | 드라마 | |
---|
예능 | |
---|
교양 |
- 평화, 멀지만 가야할 길 (1990)
- 러시아 동구의 문학과 예술 (1991)
- 백로와 소년 (1992)
- 잊혀진 전쟁, 종군위안부, 베트남전쟁 그후 17년, 그것이 알고 싶다 (1993)
- PD수첩, 독도 365일 (1994)
- 신인간시대 (1995)
- 한국의 파충류 (1996)
- 자연다큐멘터리 게 (1997)
- 일요스페셜 (1998)
|
---|
|
---|
2000년대 | |
---|
2010년대 | |
---|
2020년대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