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개소문 》(淵蓋蘇文)은 2006년 7월 8일 부터 2007년 6월 17일 까지 방영된 총 100부작의 대하사극이자 SBS 주말극장 으로 단재 신채호 의 조선상고사 를 근거로 하였다. DSP 미디어 에서 제작하였고 총 제작비 400억 원이 투입되었는데,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의 제작비이다. 고구려 후기 막리지의 난 부터 고구려의 멸망까지 연개소문 의 생애를 다루었다.
제작진
등장 인물
※ 드라마 상의 인물 설정으로, 실제 역사적 기록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주인공
연개소문 집안
고구려
백제
신라
최성준 : 진지왕 역 - 진흥왕의 차남이자 동륜태자의 동생으로 태종무열왕 의 할아버지이며, 태자 시절 칭호는 금륜이다.
차두옥 : 진평왕 역 - 신라 제 26대 국왕으로 진흥왕의 태자였던 동륜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만호부인 이다.
이현정 : 선덕여왕 역 - 신라 제 27대 국왕으로 진평왕 과 마야부인의 딸이다.
박주아 : 만호부인 역 - 진평왕의 생모. 후에 숙흘종과 혼인하여 만명부인을 낳은 김유신의 외조모이다.
김병세 : 태종무열왕 역 - 진흥왕의 차남인 진지왕 의 손자이며, 신라 제 29대 국왕이다.
최설화 : 고타소 역 - 태종무열왕의 장녀로 첫번째 부인인 보라궁주의 소생이다.[ 2]
백승현 : 문무왕 역 - 태종무열왕의 장남으로 두번째 부인인 문명왕후의 소생이다.
김혁 : 김인문 역 - 태종무열왕의 차남이자 문명왕후의 소생으로 문무왕의 남동생이다.
박상규 : 김서현 역 - 김유신의 아버지. 금관가야의 마지막 국왕인 김구형 의 손자이며, 관산성 전투 당시 백제 성왕을 직접 참수한 명장 김무력의 아들이다. 신라의 성골이었던 만명부인과 함께 야반도주하여 만호부인의 노여움을 샀지만 진평왕의 배려로 만노군(現 충청북도 진천군 )의 태수가 된다.
김선덕 : 만명부인 역 - 김유신의 어머니. 숙흘종과 만호부인의 딸이며, 진평왕의 이부동생이다.[ 3]
윤승원 →이종수 : 김유신 역 (아역 이다윗 ) - 김서현의 장남, 태종무열왕의 큰처남.
김기복 →이켠 : 김흠순 역 (아역 여진구 ) - 김서현의 차남, 태종무열왕의 작은처남.
조병기 : 김삼광 역 - 김유신의 장남.
임성언 → 엄수진 : 보희 역 (아역 하승리 ) - 김서현의 장녀이자 김유신의 첫째 누이동생.
전혜상 → 이매리 : 문희 역 (아역 배나연 ) - 김서현의 차녀, 김유신의 둘째 누이동생, 태종무열왕의 두번째 부인이자 문무왕의 생모.
서갑숙 : 미실 역
이원용 : 원광 역
김정학 : 알천 역
김형일 : 김용춘 역 - 진지왕의 아들이자, 태종무열왕의 아버지이다.
이영재 : 비담 역
김종국 : 온군해 역
박시연 : 천관녀 역 - 미실의 수양딸이다.
오영수 : 난승 역
이정길 : 마두 역
수(11회 ~ 54회)
당(55회 ~ 100회)
일본
말갈
설연타
돌궐
기타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
수상 및 후보
연도
시상식
부문
수상자
결과
2006
SBS 연기대상
최우수 연기상
김갑수
수상
10대 스타상
공로상
이호연 (DSP엔터테인먼트)
촬영지
참고 사항
출연진 중 유동근 과 윤승원 은 고교[ 6] -대학 동창이다.
이환경 작가는 2003년 야인시대 이후 3년 만에 SBS로 돌아왔다.
잘려진 머리를 던지는 장면을 내보내어 잔혹성 논란이 일었다.[ 7]
3회 방영분에서 삼국지 시리즈 10편의 배경음악을 삽입해 비난을 샀다.[ 8]
크고 작은 사고와 허술한 방송장면으로 시청자들로부터 원성을 샀다[ 9] . 특히 판자를 세워놓고 건물이라 하여 '합판소문'이라는 비아냥을 당하게 되었으며 3천궁녀 씬도 매우 조잡하게 촬영되어 우스갯감이 되었다.
당초 연개소문에 앞서 월화드라마 101번째 프로포즈 를 후속 편성할 예정이었으나 주말극장 하늘이시여 가 여러 차례의 연장 방영을 결정하여 월화 드라마로 변경되자 연개소문을 대타로 올렸다가 하늘이시여 후속작으로 결정했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SBS 주말극장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하늘이시여 (2005년 9월 10일 ~ 2006년 7월 2일)
연개소문 (2006년 7월 8일 ~ 2007년 6월 17일)
황금신부 (2007년 6월 23일 ~ 2008년 2월 3일)
SBS 주말 드라마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