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복 2차로 고속도로왕복 2차로 고속도로(往復二車路高速道路, Two-lane Expressway)는 한 방향의 차로수가 하나로만 되어 있는 고속도로를 말한다. 개요일반적으로 왕복 2차로 고속도로는 건설비를 절약하거나 교통량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건설된 경우가 있다. 안전 확보나 교통량이 많아진 것 등의 이유로 왕복 4차로 이상으로 확장된 경우 기존의 왕복 2차로 구간은 왕복 4차로 이상 고속도로의 일방통행로(왕복 4차로로 설계된 왕복 2차로 고속도로를 왕복 4차로로 확장하거나 확장을 하기에는 선형에 문제가 없어 왕복 2차로 고속도로 옆에 확장을 한 경우) 또는 일반도로(고속도로의 선형개량 등으로 왕복 4차로로 신설된 구간이 있는 경우)로 전환된다.[1] 왕복 2차로 고속도로는 중앙분리대가 없고 제한 속도 또한 최고 60 km/h에서 최고 80 km/h까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왕복 2차로 고속도로의 출입구 중 일부는 나들목 형태로 되어 있지 않고 일반도로와 같이 평면교차로(삼거리나 사거리 등)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예:(구)남장수 나들목) 국가별 왕복 2차로 고속도로 목록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고속도로를 건설하기 시작하였을 때는 고속도로를 왕복 2차로로 건설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당시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된 대한뉴스의 보도 중에서 왕복 2차로 고속도로의 안전운전수칙과 관련된 내용도 있다.[2]
위 고속도로들은 최초 계획 당시 왕복 2차로로 계획되었으나 1992년 내려진 지침에 따라 계획을 변경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일본![]() 일본은 최근까지도 2차선 고속도로를 일부 건설하고 있다. 노폭은 대체로 한국의 2차로 고속도로와 비슷하지만, 중앙선에 봉이 항상 설치되어 있고, 선형도 매우 깔끔한 게 특징이다. 다만 제한속도는 대체로 70 km/h로 정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호주)![]() 오스트레일리아는 상대적으로 2차선 고속도로가 많은 편이다. 대표적인 노선으로는 다음과 같다.
미국미국은 각 주마다의 고속도로에 2차선 고속도로가 상당수 존재하고 있다. 아칸소주
캘리포니아주
커네티컷 주
독일독일은 아우토반의 본고장이라 할 만큼 고속도로의 품질이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일부 도로에 한해서 일부 2차선 구간이 존재한다.
영국일부 구간에 한해서 2차선 도로가 있다. 현재는 2개만 존재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일부 고속도로가 2차선이다.
각주
같이 보기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