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철도 노선에 대해서는
영동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영동고속도로 (嶺東高速道路, 고속국도 제50호선 )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를 기점으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를 종점으로 동서를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이다.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12
1991년 ~ 1997년
1997년 ~ 2001년
노선명
신갈안산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2호선)
기점
경기도 용인시
종점
경기도 안산시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4
1983년 ~ 1997년
1997년 ~ 2001년
노선명
영동고속도로 (고속국도 제4호선)
기점
경기도 용인시
종점
강원도 강릉시
1971년 수도권과 강원도 를 잇는 고속도로로 개통하였으며, 1990년 대 말까지는 강원도 지역 구간은 제한 속도 80km/h로, 대관령 고개 구간은 40km/h로 운영하였는데, 험준한 산악 지역인 대관령 을 경유하여 기존 도로를 개량하여 고속도로 로 지정하여 운영하였다. 현재는 전 구간 4~8차로, 일부 구간 10차로로 개량되었으나, 주말 이나 명절 , 휴가철에는 교통 체증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2011년 11월 11일 에 경기도 광주시 에서 강원도 원주시 를 연결하는 광주원주고속도로 가 착공 되어, 2016년 11월 11일 에 개통하였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을 대비하기 위하여 2016년 3월 15일 에 여주 분기점 에서 강릉 분기점 까지의 시설 개량 공사가 착공 되어 2017년 12월 22일에 완공되었다.[ 1]
역사
왕복 2차로 시절
왕복 4차로 시절
1991년 11월 29일 : 안산 분기점 ~ 신갈 분기점 23.2km 구간 왕복 4차로 개통[ 34] [ 35]
1991년 12월 6일 : 신갈 분기점 ~ 만종 분기점 77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36]
1991년 12월 31일: 혼합 교통 구간 개량을 위해 강원도 명주군 성산면 구산리 ~ 강릉시 홍제동 5.14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37]
1992년 3월 31일: 신갈 분기점 ~ 만종 분기점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용인군 기흥읍 신갈리 ~ 강원도 원주군 호저면 만종리 76.97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38]
1992년 4월 29일: 신갈 ~ 반월고속도로 명칭을 신갈 ~ 안산고속도로(신갈 ~ 안산선) 로 변경[ 39]
1993년 2월 27일: 대관령 구간 오르막 차로 설치 공사로 인해 강원도 명주군 성산면 어흘리 1.84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40]
1993년 4월 3일: 둔내 요금소 차선 확장 공사로 인해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우용리 140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41]
1993년 5월 26일: 가남휴게소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여주군 가남면 본두리 560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42]
1994년 4월 28일: 1994년 12월까지 대관령 구간 오르막 차로 설치 공사로 인해 강원도 명주군 성산면 어흘리 837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43]
1994년 5월 2일: 홍제 교차로 개량을 위해 강원도 강릉시 홍제동 760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44]
1994년 7월 7일 : 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 27.6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공사[ 45]
1994년 10월 17일: 1997년 12월까지 만종 분기점 ~ 새말 나들목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강원도 원주군 호저면 만종리 ~ 횡성군 우천면 우항리 19.16km 구간을 19.01km로 도로 구역 변경[ 46]
1994년 10월 21일 : 만종 분기점 ~ 새말 나들목 18.7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1994년 12월 12일 : 신갈 분기점 ~ 만종 분기점 77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완료[ 47]
1994년 12월 14일: 만종 분기점 개통
1994년 12월 15일: 신갈 ~ 원주 구간 4차로 확장 개통으로 인해 통행료 20% 할인 폐지[ 48]
1995년 4월 1일: 1996년 12월까지 용인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로 인해 경기도 용인군 용인읍 유방리 240m 구간을 400m로 도로 구역 변경[ 49]
1995년 4월 8일: 1995년 12월까지 대관령 구간 오르막 차로 설치 공사로 인해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16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50]
1995년 4월 26일: 1995년 12월까지 횡계 나들목 개량 공사로 인해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횡계리 440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51]
1995년 9월 21일: 1999년 12월까지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현천리 ~ 삽교리 10.3km 구간을 10.26km로,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진조리 ~ 용평면 속사리 21.14km 구간을 20.1km로,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 ~ 도암면 유천리 6.4km 구간을 6.3km로 도로 구역 변경[ 52]
1995년 11월 24일 : 새말 나들목 ~ 월정 요금소 59.2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및 이설 공사[ 53]
1995년 12월 28일 : 안산 분기점 개통
1996년 3월 7일: 1999년 12월까지 새말 ~ 둔내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법주리 ~ 둔내면 현천리 14.62km 구간을 15.85km로 도로 구역 변경[ 54]
1996년 3월 16일: 1996년 12월까지 용인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로 인해 경기도 용인군 용인읍 유방리 214m 구간을 300m로 도로 구역 변경[ 55]
1996년 4월 23일: 1999년 12월까지 둔내 ~ 진부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삽교리 ~ 봉평면 진조리 6.8km 구간을 4.6km로,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속사리 ~ 진부면 하진부리 5.9km 구간을 2.93km로 도로 구역 변경[ 56]
1996년 7월 1일: 기점을 '경기도 용인군 기흥읍'에서 '경기도 용인시 기흥읍'으로 변경, 종점을 '강원도 강릉시 홍제동'에서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으로 단축, 신갈 ~ 안산고속도로의 기점을 '경기도 용인군 기흥읍'에서 '경기도 용인시 기흥읍'으로 변경[ 57]
1996년 7월 30일 : 구 월정 요금소 ~ 횡계 나들목 10.1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및 이설 공사
1996년 12월 7일: 2001년 12월까지 월정 요금소 ~ 횡계 나들목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유촌리 ~ 횡계리 10.3km 구간을 10.1km로 도로 구역 변경[ 58] , 1999년 12월까지 덕평휴게소 건설 공사로 인해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각평리 ~ 호법면 단천리 1.7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59]
1996년 12월 17일 : 둔대 분기점 개통
1996년 12월 27일 : 횡계 나들목 ~ 강릉 분기점 26.5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및 이설 공사[ 60]
1997년 3월 20일: 2001년 12월까지 횡계 나들목 ~ 강릉 분기점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횡계리 ~ 강릉시 홍제동 25.4km 구간을 29.9km로 도로 구역 변경[ 61]
1997년 6월 25일: 2001년 12월까지 안산 분기점 ~ 신갈 분기점 왕복 6차로 확장 공사 및 부곡화물터미널 나들목 진출입로 설치를 위해 경기도 용인시 기흥읍 신갈리 ~ 안산시 장하동 23.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영동고속도로 신갈 분기점 ~ 마성 나들목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용인시 기흥읍 신갈리 ~ 구성면 보정리 4.98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62]
1997년 10월 2일: 1999년 12월까지 장평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로 인해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장평리 790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63]
1997년 11월 18일: 1999년 12월까지 면온 나들목 건설 공사로 인해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면온리 1.1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64]
1997년 12월 20일 : 만종 분기점 ~ 새말 나들목 18.7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완료[ 65]
1998년 2월 26일: 용평휴게소 (상행) 확장 공사로 인해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이목정리 230m 구간을 260m로 도로 구역 변경[ 66]
1998년 6월 8일: 1999년 8월까지 월정 요금소 설치 공사로 인해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 도암면 유천리 370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67]
1998년 7월 4일: 1999년 8월까지 속사 나들목 진출입 램프 개량 공사로 인해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속사리 630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68]
1998년 9월 21일: 2001년 12월까지 안산 분기점 선형 변경을 위해 경기도 용인시 기흥읍 신갈리 ~ 안산시 장하동 23.2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69]
1998년 12월 23일: 동군포 나들목 개통[ 70]
1999년 4월 17일: 2003년까지 호법 ~ 가남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안평리 ~ 여주군 가남면 본두리 15.041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71]
1999년 7월 15일 : 새말 나들목 ~ 월정 요금소 59.2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 72] [ 73] [ 74] , 확장 개통으로 요금 수납 방식이 개방식에서 폐쇄식으로 변경되어 새말 , 둔내 , 면온 , 장평 , 속사 , 진부 나들목에 요금소를 설치하고 통행료 징수 개시, 기존 새말 요금소 , 둔내 요금소 폐쇄, 월정 요금소 신설[ 75]
1999년 10월 1일: 신갈 분기점 ~ 마성 나들목 (마성터널 ) 4.98km 구간 확장 개통[ 76]
1999년 9월 24일 : 태풍 영향으로 면온 나들목 ~ 둔내 터널 강릉 쪽 입구 상행선 구간 (구 영동 고속 도로 길음 ~ 둔내령 영동1호 터널 평창 쪽 구간 지반 침하 붕괴 사고 발생 72시간 동안 편도 3개 차로 중 2개 차로 통제
1999년 11월 16일 : 삽교 교차로 ~ 면온 나들목 간 둔내터널로 이설 완료, 속사 나들목 ~ 진부 나들목 간 진부터널로 이설 완료[ 73] [ 77] [ 78]
2000년 7월 13일: 2003년 12월까지 여주휴게소 (하행)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안평리 ~ 여주군 가남면 본두리 15.041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79]
2000년 7월 22일 : 월정 요금소 ~ 횡계 나들목 10.1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 80] [ 81]
2000년 : 호법 분기점 ~ 여주 분기점 구간 왕복 6~8차로 확장 공사 착공
2000년 10월 12일: 2001년 12월까지 북수원 나들목 부가차로 설치 공사로 인해 경기도 용인시 기흥읍 신갈리 ~ 안산시 장하동 23.2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82]
2001년 1월 7일 : 중부지방 및 영동 동해안 지방 폭설로 월정 ~ 강릉 구간 불통 및 통행 금지, 대관령 부근에서 차량 1,000여 대 폭설에 고립.
2001년 5월 3일 : 안산 분기점 ~ 신갈 분기점 23.84km 구간 왕복 6~8차로 확장 개통[ 83] [ 84] , 확장 개통으로 요금 수납 방식이 개방식에서 폐쇄식으로 변경되어 북수원 , 동군포 , 군포 , 안산 , 서안산 나들목 에 요금소를 설치하고 통행료 징수 개시, 기존 부곡 요금소 , 동수원 요금소 폐쇄[ 85]
2001년 5월 9일: 덕평휴게소 건설을 위해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각평리 ~ 호법면 단천리 1.7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86]
2001년 7월 21일: 덕평휴게소 건설 사업 기간을 2008년 12월까지로 연기[ 87]
고속도로 노선 체계 재정비이후
2001년 8월 25일: 기존 서해안고속도로 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과 신갈안산고속도로 전 구간을 편입하고 노선번호를 제4호에서 제50호 로 변경.[ 88] [ 89]
2001년 11월 28일 횡계 나들목 ~ 강릉 분기점 21.72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 월정 요금소 폐쇄 (기존 대관령 구간은 지방도 제456호선 으로 새로 지정)[ 90] [ 91]
2002년 12월 20일 : 여주 분기점 개통
2003년 7월 23일: 서안산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및 요금소 설치 공사 기간을 2005년 12월로 연기[ 92]
2003년 일자 미상: 마성터널 착공
2003년 9월 5일 : 호법 분기점 ~ 여주 분기점 구간 왕복 6, 8차로 확장 공사
2004년 4월 29일: 2004년까지 동수원 나들목 램프 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수원시 이의동 2.4km 구간 도로 구역 결정[ 93]
2004년 7월 27일: 이천 나들목 확장 공사 취소[ 94]
2005년 2월 1일: 2006년까지 안산 분기점 ~ 서서울 요금소 구간 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하동 구간[ 95] , 서안산 나들목 감속 차로 개량 공사로 인해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 850m 구간[ 96] , 군자 요금소 28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 ~ 군자동 630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97]
2005년 6월 13일: 2006년 12월까지 동수원 나들목 ~ 북수원 나들목 구간 부가차로 설치 공사로 인해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 하광교동 2.72km 구간 도로 구역 결정[ 98]
2006년 5월 26일: 횡성휴게소 (상행) 진입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강원도 횡성군 안흥면 소사리 800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99]
2006년 7월 15일: 중부지방, 강원도 지역 집중 호우로 영동고속도로 노선 중 50여 곳 이상 침수 및 터널 입구 비탈면 토사 붕괴 낙석 산사태, 교량 붕괴, 노면 균열 파손 발생. 48시간 동안 원주 ~ 강릉 구간 폐쇄로 약 5천여 대 차량 진입 운행 중 고립됨.
2006년 9월 6일: 분기점 2개소(신갈 , 호법 )와 나들목 4개소(마성 , 용인 , 양지 , 덕평 ) 개량 및 신갈 ~ 호법 구간 왕복 8~10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 이천시 호법면 유산리 33.56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00] [ 101]
2007년 10월 31일 : 신갈 분기점 ~ 호법 분기점 33.5km 구간 왕복 8, 10차로 확장 공사 착공[ 102]
2009년 10월 22일: 2012년까지 경기도 수원시 구간 강릉 방향 편도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 영통구 이의동 4.5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03]
2009년 12월 23일 : 강천터널 329m 구간 왕복 5차로 확장 및 보수 공사[ 104]
2010년 2월 10일 : 용인휴게소 ~ 양지 나들목 강릉 방향 4.5km 구간 왕복 5차로 확장 완료[ 105]
2010년 2월 23일: 2011년까지 강천터널 인천방향 편도 3차로 확장 공사 및 우회 도로 설치로 인해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강천리 700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06]
2010년 7월 23일 : 용인 나들목 ~ 용인휴게소 강릉 방향 2.8km 구간 왕복 5차로 확장 완료
2010년 9월 17일 : 신갈 분기점 ~ 용인휴게소 인천 방향 12.7km 구간 왕복 5차로 확장 완료[ 107]
2010년 12월 28일: 도로명 주소에 서창 나들목부터 강릉 분기점까지 234.4km 구간을 영동고속도로 로 고시[ 108]
2010년 12월 29일 : 신갈 분기점 ~ 양지 나들목 18.5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완료
2011년 1월 10일: 제3경인고속화도로 개통으로 월곶 나들목 이 월곶 분기점 으로 변경되면서 기존 나들목 진출입로 860m 구간 폐지[ 109]
2011년 일자 미상: 강릉 방향 여주휴게소 가 여주맛있는휴게소 로 명칭 변경
2011년 1월 24일: 2013년 12월까지 동군포 나들목 진·출입로 설치 공사로 인해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 1.654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10]
2011년 4월 8일: 동수원 나들목 개량 공사로 인해 경기도 수원시 이의동 4.5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11]
2011년 6월 7일 : 양지 나들목 ~ 호법 분기점 강릉 방향 14.8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완료[ 112]
2011년 7월 20일 : 신갈 분기점 ~ 용인 나들목 18.5Km 구간 왕복 10차로 확장, 용인 나들목 ~ 양지 나들목 7.3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완료[ 113]
2011년 7월 20일: 강천터널 인천 방향 329m 구간 왕복 5차로 확장 개통[ 114]
2011년 7월 24일 : 양지 나들목 ~ 호법 분기점 인천 방향 14.8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완료
2011년 8월 19일: 강천터널 강릉 방향 329m 구간 보수공사 개통[ 115]
2011년 11월: 마성터널 완공
2011년 12월 14일 : 양지 나들목 ~ 호법 분기점 14.8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완료[ 116]
2011년 12월 23일: 2012년까지 신갈 ~ 호법 구간 왕복 6 ~ 8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 이천시 호법면 유산리 33.56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17]
2012년 11월 7일: 2015년 6월까지 광교신도시 구간 터널형 방음 시설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2.6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18]
2013년 3월 28일 : 월곶 분기점 ~ 군자 분기점 3.3km 구간 왕복 10차로 확장 완료 및 군자 분기점 개통
2013년 12월 16일 : 동군포 나들목 인천 방향 진입로와 강릉 방향 진출로 개통.[ 119]
2013년 12월 27일 : 북수원 나들목 ~ 동수원 나들목 6.1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완료
2014년 1월 20일: 2015년 12월까지 여주휴게소 (서창 방향) 확장 공사를 위해 경기도 여주시 가남면 본두리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20]
2014년 1월 21일: 덕평자연휴게소 내에 회차로 설치 (인천 기점 69.33km)[ 121]
2014년 9월 19일: 2014년 12월 31일까지 동군포 나들목 진출입로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 77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22]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 종점을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송암리'로 명시[ 123]
2015년 4월 21일: 2016년 12월까지 광교신도시 구간 방음 시설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1.85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24]
2015년 7월 20일: 2016년까지 문막휴게소 (인천 방향) 확장 공사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포진리 600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25]
2016년 1월 1일 : 장평 나들목 이 평창 나들목 으로 명칭 바꾸고, 횡계 나들목 이 대관령 나들목 으로 명칭 변경
2016년 3월 15일 : G1 8 뉴스로 인해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에 대비에 여주 분기점 ~ 강릉 분기점 구간 시설 개량 공사 착공 및 양방향 개 차로씩 통제[ 126]
2016년 6월 30일: 원주 나들목 접속도로 개선 공사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태장동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27]
2016년 7월 20일: 2019년 12월 31일까지 안산휴게소 조성 공사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선부동, 화정동 5.629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28]
2016년 11월 11일 : 원주 분기점 개통
2016년 12월 21일: 동둔내 나들목 개통[ 129]
2016년 12월: 광교터널 ~ 신갈 분기점 구간 광교신도시 방음벽 설치 공사 완료
2017년 12월: 대관령 나들목 요금소에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도입[ 130]
2017년 12월 22일: 여주 분기점 ~ 강릉 분기점 구간 시설 개량 공사 완료[ 131]
2019년 2월 19일: 2019년 6월 30일까지 장수천3교 방음시설전용교량 신설을 위해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 138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32]
2019년 9월 25일: 2019년 12월 31일까지 이천 졸음쉼터 강릉 방향 시설 개량을 위해 경기도 이천시 고담동 620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33]
2019년 11월 22일: 안산휴게소 신설 공사로 인해 경기도 안산시 단윈구 선부동 55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2020년 9월 16일: 2025년 8월까지 동이천 나들목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상활리, 이천시 부발읍 송온리 2.7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 134]
2022년 3월 21일: 서용인 분기점 개통
2025년 1월 1일: 용인 분기점 개통
구성
영동고속도로 옛구간.
차로수
총 연장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 (단, 강원특별자치도 일부 구간은 80km/h이나, 횡성휴게소 에서 새말 나들목 5km 전까지 5km 구간은 인천 방향만 80km/h로 제한)
터널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반월터널(인천)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760m
2001년
반월터널(강릉1)
358m
1991년
반월터널(강릉2)
286m
광교터널(인천1)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하광교동
495m
1991년
광교터널(인천2)
502m
광교터널(강릉3)
522m
2001년
광교터널(강릉4)
499m
2013년
마성터널(인천2)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1,540m
2011년
마성터널(강릉2)
1,490m
마성터널(인천1)
1,470m
1994년
마성터널(강릉1)
1,450m
양지1터널(인천1)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주북리
660m
1994년
양지1터널(인천2)
642m
양지터널(강릉)
730m
2011년
강천터널(인천)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리
329m
2011년
강천터널(강릉)
1994년
둔내터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삽교리
3,300m
1999년
봉평터널(인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백옥포리
1,420m
1999년
봉평터널(강릉)
1,445m
진부1터널(인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
2,095m
1999년
진부1터널(강릉)
2,075m
진부2터널(인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
185m
1999년
진부2터널(강릉)
203m
진부3터널(인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상진부리
604m
1999년
진부3터널(강릉)
599m
대관령1터널(인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1,830m
2001년
대관령1터널(강릉)
1,800m
대관령2터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
55m
2001년
대관령3터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
60m
2001년
대관령4터널(인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
705m
2001년
대관령4터널(강릉)
668m
대관령5터널(인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
1,209m
2001년
대관령5터널(강릉)
1,179m
대관령6터널(인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234m
2001년
대관령6터널(강릉)
202m
대관령7터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120m
2001년
나들목 · 분기점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거리의 단위는 km 이다.
주요 통과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동 - 서창동 - 도림동 - 논현동)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구간별 특징
경기도 통과 구간이 확장공사를 끝낸 후로도 마성 나들목 은 이설되지 않고, 구도로는 현재 진입로로 활용 중이다. 단, 구도로에는 중앙분리대가 없는 대신 중앙분리봉이 설치되어 있다.
1997년에 12월 20일에 원주 나들목 ~ 새말 나들목 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되었음에도 새말 나들목 ~ 월정 요금소 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된 1999년 7월 15일까지는 확장되기 이전처럼 본선에 새말 요금소 (현재 소초 쉼터 부지)라는 본선 요금소가 존재하였다.
1999년 까지 새말 나들목 ~ 대관령 구간은 입체교차로가 없었으며, 2001년 까지는 대관령 고개 ~ 강릉시 구간은 과거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5호선 지방도 제456호선
구간을 그대로 전용하였다.
아래 교차로는 1999년 도로현황조서 기준이다. 1999년 이전에 폐쇄된 교차로는 1997년 도로현황조서 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새말
Saemal
10.00
100.14
국도 제42호선 지방도 제442호선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횡성휴게소
Hoengseong SA
구 소사휴게소
소사
Sosa
11.60
112.00
봉화로
평면 교차로
현천
Hyeoncheon
2.50
114.50
덕송로
평면 교차로 1997년 폐쇄
둔내
Dunnae
3.09
117.59
국도 제6호선
평면 교차로
우용
Uyong
2.71
120.30
고원남로
평면 교차로 1997년 폐쇄
둔내 요금소
Dunnae TG
개방식 본선요금소
삽교
Sapgyo
6.30
126.60
청태산로
평면 교차로 1997년 폐쇄
둔내소풍휴게소
Dunnae SA
안산방향
태기산소풍휴게소
Taegisan SA
평창군
강릉방향
면온
Myeonon
8.70
135.30
진조길
평면 교차로
길음
Gireum
1.50
136.80
지방도 제408호선
평면 교차로 지금의 면온 나들목 위치
장평
Jangpyeong
5.96
142.76
국도 제6호선
평면 교차로 지금의 평창 나들목 위치
장평휴게소
Jangpyeong SA
강릉방향 임시 휴게소
용전
Yongjeon
2.84
145.60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1호선
평면 교차로 1997년 폐쇄
이목정
Imokjeong
5.50
151.10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1호선
평면 교차로 사거리 형태
속사
Soksa
1.90
153.00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1호선
평면 교차로 지금의 속사 나들목 위치
하진부
Hajinbu
6.30
159.30
국도 제6호선
평면 교차로
상진부
Sangjinbu
2.80
162.10
국도 제6호선
평면 교차로 지금의 진부 나들목 위치
월정 요금소
Woljeong TG
폐쇄식 본선요금소 1999년 7월 15일 신설 2001년 11월 28일 폐쇄
유천
Yucheon
7.10
169.20
지방도 제456호선
평면 교차로
싸리재
Ssarijae
3.10
172.30
지방도 제456호선
평면 교차로
횡계
Hoenggye
3.30
175.60
지방도 제456호선
평면 교차로
대관령 대관령휴게소
Daegwallyeong Daegwallyeong SA
5.23
180.83
지방도 제456호선
현재 대관령마을휴게소와 신재생에너지전시관
구산휴게소
Gusan SA
강릉시
안산방향
구산
Gusan
13.67
194.50
국도 제35호선
평면 교차로
성산
Seongsan
1.00
195.50
국도 제35호선
평면 교차로국도 제35호선 과 중복
금산
Geumsan
2.0
197.50
평면 교차로국도 제35호선 과 중복
홍제
Hongje
3.32
200.82
국도 제35호선
평면 교차로국도 제35호선 과 중복
강릉
Gangneung
0.18
201.00
동해고속도로 동해대로
대관령 구간 확장
영동고속도로는 초기 개통시부터 2차선 고속도로여서, 동서 대동맥인 영동고속도로의 확장론이 대두되었다.[ 142] 그 이유는 서울 - 강릉간은 평소에는 3시간 30분 ~ 4시간이면 충분하지만 관광철이면 10 ~ 15시간씩 걸리고 심할때는 20시간까지도 소요되었기 때문이다. 추가로 경제 발전에 따라 초기 예상 최대 통행량의 5배를 초과하였고, 고랭지 농업 과 시멘트 산업 등이 발전하면서 화물차 통행이 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폭설이 있을 경우에는 길도 막히기도 하였다. 그러자 정부는 강릉시 성산면에서 평창군 도암면을 잇는 11.2km에 왕복 4차선 터널을 건설키로 하고 오는 1996년 까지 타당성 조사를 마친뒤 모두 4천 84억원을 들여 1997년 착공, 2004년 개통 목표로 사업을 검토하게 되었다.[ 143] .
그렇게 공사가 시작된 이후,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공사가 2001년 에 조기 개통시키겠다는 발표가 나왔고, 마침내 2001년 11월 28일 에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확장 구간이 개통하게 되었다.[ 144]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확장 구간이 개통하게 되자, 대관령 휴게소는 당해 11월에 폐쇄하게 되었다.[ 145] 한편, 대관령 구간의 개통으로 소통이 빨라질 것이라 예상했으나, 톨게이트 진출입로가 편도 1차선이고 요금정산소가 3곳밖에 되지 않아 정체를 빚어 통과하는데 1시간 이상 걸렸던 적도 있었다[ 146] .
과속 단속 구간
사진
광교교(하행)
광교터널 500m 표지판(하행)
광교터널2 입구(하행)
광교방음터널(하행)
광교방음터널(하행)
마성터널1 500m 표지판(하행)
마성터널 쌍굴 입구(하행)
마성터널1 입구(하행)
양지터널 500m 표지판(하행)
양지터널 입구(하행)
대관령 나들목 ~대관령1터널(상행),
오르막차로 끝
각주
↑ 주상돈 기자 (2016년 3월 9일). “도공 "평창동계올림픽 가는길, 안전개선 나선다" ” . 《아시아경제》.
↑ 영동고속도로의 기공
↑ 대통령령 제5770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71년 8월 31일 제정.
↑ 건설부고시 제669호 , 1971년 11월 29일.
↑ 건설부공고 제106호 , 1971년 11월 30일.
↑ 서울~새말간 영동고속도로 개통
↑ 대전~전주 서울~새말 내년초부터 유료화
↑ 대통령령 제6821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73년 8월 23일 일부개정.
↑ 용인 양지리에 고속도 인터체인지
↑ 새말-강릉-묵호간 동해고속도로 착공
↑ 가 나 영동고속도로 마성인터체인지 7개월만에 개통
↑ 건설부고시 제165호 , 1975년 10월 1일.
↑ 건설부공고 제107호 , 1975년 10월 1일.
↑ “제1053호-영동.동해고속도로 준공” . 《대한뉴스》. 1975년 10월 22일.
↑ 건설부공고 제176호 , 1976년 12월 20일.
↑ 건설부고시 제209호 , 1976년 12월 20일.
↑ 덕평인터체인지 1억들여 건설계획
↑ 대통령령 제9059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78년 6월 22일.
↑ 건설부고시 제89호 , 1979년 3월 21일.
↑ 건설부공고 제176호 , 1979년 12월 28일.
↑ 건설부고시 제535호 , 1980년 1월 5일.
↑ 대통령령 제10625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87년 11월 7일 일부개정.
↑ 건설부고시 제311호 , 1982년 9월 9일.
↑ 건설부고시 제171호 , 1987년 5월 8일.
↑ 대통령령 제11700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88년 1월 14일 일부개정.
↑ 건설부고시 제40호 , 1988년 2월 6일.
↑ “수도권 순환 고속도로 기공식” . 《MBC》. 1988년 4월 12일.
↑ 영동~동해 고속도 12.5km 완공
↑ 건설부고시 제285호 , 1989년 6월 12일.
↑ 건설부고시 제355호 , 1989년 7월 4일.
↑ 건설부고시 제725호 , 1990년 10월 26일.
↑ 서해안 고속도로 착공
↑ 건설부고시 제422호 , 1991년 8월 3일.
↑ 건설부공고 제143호 , 1991년 11월 26일.
↑ 판교~구리 신갈~안산 수도권 고속도 개통
↑ 영동고속도로 원주~신갈 확장공사 착공
↑ 건설부고시 제854호 , 1991년 12월 31일.
↑ 건설부고시 제1992-128호 , 1992년 3월 31일.
↑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92년 4월 29일 일부개정.
↑ 건설부고시 제1993-47호 , 1993년 2월 27일.
↑ 건설부고시 제1993-104호 , 1993년 4월 3일.
↑ 건설부고시 제1993-184호 , 1993년 5월 26일.
↑ 건설부고시 제1994-136호 , 1994년 4월 28일.
↑ 건설부고시 제1994-144호 , 1994년 5월 2일.
↑ “보관된 사본” . 2012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 건설부고시 제1994-380호 , 1994년 10월 17일.
↑ 김종율 기자 (1994년 12월 12일). “영동고속도로 4차선으로 확장 개통” . 《KBS 9시뉴스》.
↑ 건설부공고 제1994-299호 , 1994년 12월 14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07호 , 1995년 4월 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21호 , 1995년 4월 8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41호 , 1995년 4월 26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329호 , 1995년 9월 21일.
↑ 영동고속도 확장공사 착공 새말 IC~월정 59.2km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70호 , 1996년 3월 7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81호 , 1996년 3월 16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113호 , 1996년 4월 23일.
↑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96년 7월 1일 일부개정.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381호 , 1996년 12월 7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384호 , 1996년 12월 7일.
↑ 文炳勳 기자 (1996년 10월 12일). “영동고속道 횡계-강릉 확장공사 12월 착공” . 《연합뉴스》.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87호 , 1997년 3월 20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99호 , 1997년 6월 25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18호 , 1997년 10월 2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68호 , 1997년 11월 18일.
↑ 영동고속도로 만종~새말 4차로확장 20일 개통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52호 , 1998년 2월 26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66호 , 1998년 6월 8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12호 , 1998년 7월 4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308호 , 1998년 9월 21일.
↑ 군포 화물터미널 준공 年(연) 1,100만t 화물처리 , 동아일보, 1998년 12월 24일 작성.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108호 , 1999년 4월 17일.
↑ 둔내터널 (강릉 방향 2개 차로) 봉평터널 (양방향 4개 차로)진부터널 (인천방향 2개 차로 ) 우선 임시 통행 실시 기존 둔내령 영동 1호터널 구간은 인천방향 3개차로 (터널 내부는 2개차로) 속사리재 구간은 강릉 방향 3개차로 일방 통행 실시
건설교통부공고 제1999-232호 , 1999년 7월 14일.
↑ 가 나 영동고속도로 새말~월정 4차로 개통
↑ 단, 둔내터널과 진부터널은 제외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9-231호 , 1999년 7월 14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9-309호 , 1999년 9월 30일.
↑ 영동고속도로 새말~월정 4차로 개통
↑ “둔내터널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 . 2013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191호 , 2000년 7월 13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0-178호 , 2000년 7월 19일.
↑ 영동고속도로 월정∼횡계간 4차로 확장개통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263호 , 2000년 10월 12일.
↑ 건설교통부 공고 제2001-120호 , 2001년 4월 30일.
↑ 신갈~안산 고속도로 23.2km 전구간 3일 완전개통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110호 , 2001년 4월 26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115호 , 2001년 5월 9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190호 , 2001년 7월 21일.
↑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2001년 5월 24일 전부개정.
↑ 고속도로 노선체계 대폭 개선(재송)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323호 , 2001년 11월 27일.
↑ 이해용 (2001년 11월 2일). “영동고속도로 강릉~횡계 28일 개통” . 연합뉴스. 2011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186호 , 2003년 7월 23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92호 , 2004년 4월 29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180호 , 2004년 7월 27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27호 . 2005년 2월 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28호 , 2005년 2월 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29호 , 2005년 2월 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158호 , 2005년 6월 13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155호 , 2006년 5월 26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358호 , 2006년 9월 6일.
↑ 2006년 9월 8일 고시 정정
↑ 심재훈 기자 (2007년 9월 6일). “영동고속도로 신갈-호법 8-10차로 확장” . 《연합뉴스》.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016호 , 2009년 10월 22일.
↑ 박정민 기자 (2009년 12월 23일). “영동고속道 강천터널 3차로 확장” . 《노컷뉴스》.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영동고속도 ´용인휴게소~양지나들목´ 확장개통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12호 , 2010년 2월 23일.
↑ 영동고속도로 용인⇒신갈, 빨라진다
↑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 2010년 12월 28일.
↑ 국토해양부공고 제2011-14호 , 2011년 1월 14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16호 , 2011년 1월 24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127호 , 2011년 4월 8일.
↑ 조창원 기자 (2011년 6월 6일). “영동고속도로, 양지나들목∼호법분기점 확장” . 《파이낸셜뉴스》.
↑ 김정현 기자 (2011년 7월 24일). “영동고속도 신갈∼양지 7월 20일 8∼10차로 확장 개통” . 《국민일보》.
↑ 신형근 기자 (2011년 7월 20일). “도공 강원본부, 강천터널 확장공사 개통식” . 《뉴시스》.
↑ 김성혜 기자 (2011년 8월 19일). “영동고속도 강천터널 양방향 완전 개통” . 《뉴시스》.
↑ 현윤경 기자 (2011년 12월 13일). “영동고속도로 신갈~호법 14일 확장개통” . 《연합뉴스》.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793호 , 2011년 12월 23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722호 , 2012년 11월 7일.
↑ 라다솜 기자 (2013년 12월 16일). “영동고속도로 인천방향 동군포나들목 오늘 개통” . 《중부일보》.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21호 , 2014년 1월 20일.
↑ 국토교통부공고 제2014-15호 , 2014년 1월 16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545호 , 2014년 9월 19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255호 , 2015년 4월 21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506호 , 2015년 7월 20일.
↑ 오늘부터 G1 8 뉴스로 인해 중부·영동고속도로 공사...1개 차로 통제 YTN 2016년 3월 15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379호 , 2016년 6월 30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395호 , 2016년 7월 20일.
↑ 국토교통부공고 제2016-1693호 , 2016년 12월 21일.
↑ “아이트로닉스 국내 첫 4차로 하이패스 구축” . 《디지털타임스》. 2018년 3월 15일.
↑ “한국도로공사, 영동선 시설개량 등 평창 올림픽 지원” . 《중부일보》. 2018년 1월 10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78호 , 2019년 2월 19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03호 , 2019년 9월 25일.
↑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고시 제2020-272호 , 2020년 9월 16일.
↑ 번영로 를 이용해 근처의 남군포 나들목 으로 진입할 수 있어 간접 접속된다.
↑ 국도 제43호선 을 이용해 근처의 광교상현 나들목 으로 진입할 수 있어 간접 접속된다.
↑ 옛 이름은 가남휴게소이며, 이 중 강릉방향은 2011년에 여주맛있는휴게소 로 변경되었다.
↑ 옛 이름은 소사휴게소이다.
↑ 옛 이름은 강릉휴게소이다.
↑ 판교~구리 신갈~안산 2개구간 수도권 고속도 착공 90년도 완공
↑ 건설부고시 제713호 , 1987년 12월 31일.
↑ 지영훈기자 (1991년 8월 10일). “영동고속도로 전면 확장 시급” . 《연합뉴스》.
↑ “영동고속도 대관령구간 터널 굴착 추진” . 《연합뉴스》. 1992년 8월 17일.
↑ 원종진 기자 (2001년 11월 28일).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 오늘 개통” . 《KBS 9시뉴스》.
↑ 김영인 기자 (2001년 9월 9일). “<영동지역 관문-대관령 휴게소 11월 폐쇄>” . 《연합뉴스》.
↑ 경인수 기자 (2001년 11월 30일). “대관령길 확장 하나마다…톨게이트 통과에 1시간” . 《동아일보》.
↑ 영동고속도 '구간단속' 26일부터 가동<강원경찰> :: 네이버 뉴스
↑ 원래는 둔내터널 ~ 둔내나들목 직전부근까지였으나 2017년 4월 17일 연장되었다.
↑ “20대 여성 4명 목숨 앗아간 ‘봉평터널’ 구간 과속단속 시행” . 2017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4일에 확인함 .
외부 링크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인천 남동구)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경기 시흥시)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안산시 단원구)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안산시 상록구)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경기 군포시)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경기 의왕시)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수원시 장안구)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수원시 영통구)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용인시 수지구)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용인시 기흥구)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용인시 처인구)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경기 이천시)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경기 여주시)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강원 원주시)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강원 횡성군)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강원 평창군)
영동고속도로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강원 강릉시)
영동고속도로
철도
고속도로
일반 도로
주요 간선도로
버스
₁. 지나가기만 한다. ₂. 안산시와 연결되는 인접한 군포시와 화성시의 교통 시설을 나타낸다. ₃. 구조물이 수원시에 걸쳐 있다.
철도
고속도로
일반도로
주요 간선도로
버스
기타
* 표시는
수원시 와 연결되는 인접한
용인시 의 교통 시설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