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17
1996년 ~ 1997년
1997년 ~ 2001년
노선명
대전통영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7호선)
기점
대전광역시 동구
종점
경상남도 통영시
통영대전고속도로 (統營大田高速道路, 고속국도 제35호선 의 일부)는 경상남도 통영시 를 기점으로, 대전광역시 동구 를 종점으로 하여 남북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이다. 2001년 고속국도 체계 변경으로 중부고속도로 와 같이 고속국도 제35호를 부여받았다. 본래 대전통영고속도로 (종전 고속국도 제17호선)였으나, 이듬해인 2002년 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역사
1992년 3월 : 함양 분기점 ~ 진주 분기점 구간 착공
1992년 4월 29일 : 대전직할시 동구 대별동 ~ 경상남도 진양군 정촌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7호선 대전 ~ 진주고속도로(대전 ~ 진주선) 으로 지정[ 1]
1992년 7월 23일 : 대전 ~ 진주고속도로 서진주 ~ 진주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판문동 ~ 진양군 정촌면 화개리 9.3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 [ 3]
1992년 12월 31일 : 대전 ~ 진주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진양군 명석면 ~ 진주시 판문북동 10.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4]
1994년 11월 4일 : 2003년 12월까지 대전 ~ 진주고속도로 안의 ~ 함양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다곡리 ~ 유림면 대궁리 18.2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5]
1995년 1월 1일 : 종점을 '경상남도 진양군 정촌면'에서 '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으로 변경[ 6]
1995년 1월 25일 : 2003년까지 대전 ~ 진주고속도로 무주 ~ 함양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장기리 ~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다곡리 32.39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7]
1995년 7월 13일 : 1999년 12월까지 대전 ~ 진주고속도로 금산 ~ 무주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수당리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가옥리 19.83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8]
1995년 11월 15일 : 무주 나들목 ~ 함양 분기점 구간 착공
1995년 12월 : 비룡 분기점 ~ 무주 나들목 구간 착공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대전직할시 동구 대별동'에서 '대전광역시 동구 대별동'으로 변경, 종점을 '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에서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으로 연장함. 이에 따라 '대전 ~ 진주선'에서 대전 ~ 통영고속도로(대전 ~ 통영선) 가 됨.[ 9]
1996년 9월 30일 : 1998년 12월까지 서진주 나들목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판문동 1.2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0]
1996년 12월 20일 : 진주 분기점 ~ 서진주 나들목 구간 개통[ 11]
1997년 1월 13일 : 2000년 12월까지 대전 ~ 진주고속도로 대전 ~ 금산 구간 신설을 위해 대전광역시 동구 대별동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수당리 23.77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2]
1997년 4월 24일 : 1998년 12월까지 함양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624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3]
1997년 5월 1일 : 2003년까지 대전 ~ 통영고속도로 진주 ~ 통영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 화개리 ~ 고성군 영현면 신분리 13.6km 구간,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금산리 ~ 통영시 광도면 황리 11.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4]
1997년 5월 22일 : 1998년 12월까지 산청휴게소 확장 공사를 위해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방목리 4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5]
1997년 8월 9일 : 2001년 12월까지 대전 ~ 통영고속도로 무주 ~ 죽천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가옥리 ~ 안성면 장기리 14.0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6]
1998년 2월 2일 : 1999년 12월까지 대전 ~ 통영고속도로 금산 ~ 무주 구간 제4공구 종단선형 조정으로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선원리 ~ 현내리 4.0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7]
1998년 8월 17일 : 장계 분기점 건설로 인해 기존 장계 나들목 건설 계획이 취소되어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 송천리 ~ 삼봉리 2.28km 구간 도로구역 해제[ 18]
1998년 10월 22일 : 서진주 나들목 ~ 함양 분기점 49.8km 구간 개통[ 19]
1999년 3월 11일 : 죽천 나들목 요금소 위치 및 연결도로 차로수 변경을 위해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
1999년 5월 31일 : 2000년 12월까지 금산휴게소 확장 공사를 위해 대전광역시 동구 대별동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수당리 23.7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1]
1999년 7월 6일 : 2004년까지 진주 ~ 통영 구간 (제22공구)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고성군 영현면 신분리 ~ 대가면 금산리 10.6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2]
1999년 9월 4일 : 2001년 12월까지 무주휴게소 확장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장기리 ~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다곡리 32.39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3]
1999년 9월 6일 : 비룡 분기점 ~ 판암 나들목 3.3km 구간(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중첩 구간) 개통[ 24]
1999년 12월 9일 : 2004년까지 진주 ~ 통영 구간 (제24공구) 시·종점부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황리 ~ 안정리 3.57km 구간과 통영시 광도면 노산리 ~ 용남면 동달리 4.2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5]
2000년 8월 5일 : 진주 ~ 통영 구간 중 사천시 구간 노선 변경으로 인해 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 화개리 ~ 사천시 사천읍 금곡리 7.1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6]
2000년 10월 9일 : 2001년 12월까지 서상 나들목 , 안의 나들목 요금소 위치 변경 및 함양휴게소 확장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장기리 ~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대궁리 50.6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7]
2000년 12월 22일 : 판암 나들목 ~ 무주 나들목 42.6km 구간 개통[ 28]
2001년 7월 24일 : 서진주 나들목 부근에서 진주 관광버스 추락 사고 가 발생했다.
2001년 8월 25일 : 기점과 종점을 각각 대전 → 통영에서 통영 → 대전으로 변경. 중부고속도로 와 함께 노선번호를 제35호 로 변경, 경부고속도로 와 중복 구간(대전광역시 동구) 지정.[ 29]
2001년 11월 21일 : 함양 분기점 ~ 무주 나들목 59.4km 구간 개통[ 30]
2002년 1월 17일 : 2005년 12월까지 옥천사 나들목 형식 변경을 위해 경상남도 고성군 영오면 오서리 구간 도로구역 변경[ 31]
2002년 4월 13일 : 2005년까지 진주 ~ 통영 구간 (제24공구) 광도면 통과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우동리 ~ 죽림리 4.7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32]
2002년 12월 5일 : 대통령령에 의해 고속도로 명칭을 대전통영고속도로 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 로 변경[ 33]
2005년 12월 12일 : 동통영 나들목 ~ 진주 분기점 47.89km 구간 개통[ 34]
2007년 1월 1일 : 동통영 나들목 을 통영 나들목 으로, 동통영 요금소 를 통영 요금소 로, 통영 나들목 을 북통영 나들목 으로 명칭 변경[ 35]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통영 나들목 부터 비룡 분기점 까지 215.25 km 구간을 통영대전고속도로 로 고시[ 36]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동달리', 종점을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으로 명시, 경부고속도로 와 중복 구간 삭제.[ 37]
2019년 4월 4일 : 2020년 12월까지 하남방향 무주졸음쉼터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삼가리 81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38]
2020년 9월 25일 : 인삼랜드휴게소 가 금산인삼랜드휴게소 로 명칭 변경[ 39]
중부고속도로와의 노선 번호 중복
2001년 고속도로 개편으로 인하여 노선 번호를 공유하게 된 중부고속도로 와 같은 고속도로로 표기되는 경우[ 40] 도 볼 수 있다. 교통방송 등에서는 중부고속도로와 기종점을 공유하는 통영~하남 간 고속국도 제35호선 정도로 설명되고 있다.
하지만 두 고속도로는 고속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엄연한 별개의 고속도로로 지정[ 41] 되어 있다. 비슷하게 노선번호가 동일함에도 별개로 둔 경우는 무안광주고속도로 와 광주대구고속도로 그리고 호남고속도로 와 논산천안고속도로 등이 있다. 이 경우는 논산천안고속도로 가 민간투자고속도로 이며, 두 도로의 관리 기관이 다르기 때문에 우선 별개의 노선으로 지정했다. 한편 남해고속도로 는 영암~순천 구간과 서순천~부산 구간이 분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 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2001년 에 노선 번호를 공유하는 익산포항고속도로 , 서산영덕고속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 , 동해고속도로 등은 명칭이 통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부고속도로 와 통영대전고속도로를 별개로 놔둔 이유는, 당초 1987년 중부고속도로 를 건설할 당시 이 고속도로의 명칭이 서울과 대전을 잇는, '중부지방을 가로지르는 고속도로'라는 의미로 명명된 명칭이기 때문이다.[출처 필요 ]
무안광주고속도로 [ 42] 와 광주대구고속도로 [ 42] , 오산화성고속도로 [ 43] 와 용인서울고속도로 [ 43] 처럼 노선번호만 같고 별개의 고속도로인 경우 기종점 합산도 별개로 하고 있지만, 고속국도 제35호선 은 통영을 기점으로 거리를 계산하기도 한다. 실제로 중부고속도로 우측에 설치된 거리 표지는 통영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고속국도 제35호선 전체를 봤을 경우의 길이는 332.53 km가 된다. 동서울 방면으로 주행했을 때, 하남 분기점 끄트머리 오른편에 위치판 '동서울 0km'라는 표지판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는 표지판에 표시되어 있다.
구성
차로수
총연장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100 km/h, 최저 50 km/h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중첩 구간 포함)
터널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통영3터널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노산리
282m
2005년
하남 방면
273m
통영 방면
통영2터널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우동리
1,628m
2005년
하남 방면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안정리
1,620m
통영 방면
통영1터널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안정리
533m
2005년
하남 방면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황리
539m
통영 방면
고성3터널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송계리
832m
2005년
하남 방면
852m
통영 방면
고성2터널
경상남도 고성군 영현면 신분리
1,781m
2005년
하남 방면
1,736m
통영 방면
고성1터널
경상남도 고성군 영현면 신분리
1,192m
2005년
사천3터널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장전리
531m
2005년
하남 방면
535m
통영 방면
사천2터널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장전리
497m
2005년
하남 방면
501m
통영 방면
사천1터널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두량리
475m
2005년
신율터널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신율리
230m
1996년
하남 방면
225m
통영 방면
독산터널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445m
1996년
하남 방면
470m
통영 방면
산청3터널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묵곡리
580m
1998년
하남 방면
520m
통영 방면
산청2터널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강누리
514m
1998년
산청1터널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 외송리
204m
1998년
함양터널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황산리
1,455m
2001년
하남 방면
1,505m
통영 방면
육십령터널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금당리
3,170m
2001년
오동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오동리
530m
2001년
하남 방면
535m
통영 방면
집재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북면 매계리
380m
2001년
오도재터널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적상면 삼가리
1,148m
2001년
하남 방면
1,126m
통영 방면
적상터널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적상면 삼가리
540m
2001년
하남 방면
520m
통영 방면
가옥터널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가옥리
640m
2001년
하남 방면
620m
통영 방면
마달터널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
660m
2000년
하남 방면
720m
통영 방면
교량
통영대전고속도로의 교량
광도대교
광도천교
수직교
대촌교
안정교
황리교
신용교
송산육교
가려2교
고성천교
마암교
금산육교
금산교
척정교
대가교
신분교
영천강2교
오서교
두문2교
금곡1교
두량1교
관봉교
소곡2교
소곡1교
화개교
내동교
독산교
진주대교
서재1교
서현교
오미교
목곡교
퇴옹교
경호강6교
방목3교
방목2교
방목1교
경호강5교
삼거교
신기교
자신2교
자신1교
정곡천교
경호강4교
내리육교
경호강3교
경호강2교
매촌2교
매촌육교
특리2교
특리1교
갈전교
경호강1교
남강천3교
남강천2교
남강천1교
주곡육교
다곡육교
월강1교
금덕2교
원촌교
양악교
죽천교
구량천교
삼가2교
삼가1교
사내교
서창교
적상천3교
적상천2교
적상천1교
주동교
공정교
용포2교
양곡교
선원1교
창평교
호티3교
호티2교
호티1교
외부교
대암2교
대암1교
장대교
자부교
요광교
적문교
구도2교
남대전IC2교
구도1교
산내JCT교
대별2교
대별1교
대별3교
가오교
판암IC교
산정교
세천2교
세천3교
나들목 · 분기점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거리의 단위는 km 이다.
중첩 구간은 번호란의 배경색을 참조.
주요 통과지
경상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동구 (삼괴동 - 구도동 - 대별동 - 대성동 - 가오동 - 판암동 - 삼정동 - 세천동 - 비룡동 - 신상동 - 비룡동)
구간 과속 단속
산청 휴게소 부근 경호강4교 입구 ~ 경호강5교 출구 구간 (하행선 통영 방향 7.5km, 2009년 1월부터 시행)[ 45]
오두재터널 ~ 가옥터널 입구 구간 (상행선 대전 방향 10.1km, 2014년 부터 시행)
서상 나들목 ~ 함양터널 입구 구간 (하행선 통영 방향 9km)
같이 보기
사진
각주
↑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92년 4월 29일 일부개정.
↑ 건설부고시 제1992-406호 , 1992년 7월 23일.
↑ 건설부고시 제1992-787호 를 통해 9.3km로 변경, 1992년 12월 31일.
↑ 건설부고시 제1992-788호 , 1992년 12월 31일.
↑ 건설부고시 제1994-421호 , 1994년 11월 4일.
↑ 대통령령 제14486호 , 1994년 12월 31일 타법개정.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23호 , 1995년 1월 25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253호 , 1995년 7월 13일.
↑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96년 7월 1일 일부개정.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316호 , 1996년 9월 30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6-331호 , 1996년 12월 19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호 , 1997년 1월 13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24호 , 1997년 4월 24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35호 , 1997년 5월 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56호 , 1997년 5월 22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71호 , 1997년 8월 9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4호 , 1998년 2월 2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66호 , 1998년 8월 17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8-447호 , 1998년 10월 22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68호 , 1999년 3월 1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162호 , 1999년 5월 3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203호 , 1999년 7월 6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270호 , 1999년 9월 4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9-288호 , 1999년 9월 4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71호 , 1999년 12월 9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209호 , 2000년 8월 5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261호 , 2000년 10월 9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0-316호 , 2000년 12월 22일.
↑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2001년 5월 24일 전부개정.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316호 , 2001년 11월 2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6호 , 2002년 1월 17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67호 , 2002년 4월 13일.
↑ 대통령령 제17794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2002년 12월 5일 일부 개정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5-384호 , 2005년 12월 9일.
↑ 중부고속도로 통영IC.동통영IC 명칭변경 , 뉴시스, 2006년 12월 21일 작성.
↑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 2010년 12월 28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53호 , 2019년 4월 4일.
↑ 인삼랜드 휴게소→금산인삼랜드 휴게소 명칭 변경 , 연합뉴스, 2020년 9월 25일 작성.
↑ 통영대전·중부고속도로
↑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2001년 8월 25일 전면 개정
↑ 가 나 고속국도 제12호선
↑ 가 나 고속국도 제171호선
↑ 옛 이름은 인삼랜드휴게소 이다.
↑ “중부고속도로 7.5km '구간 단속' ” . 경남도민일보. 2008년 12월 18일. 2009년 2월 6일에 확인함 .
외부 링크
통영대전고속도로
고속도로
일반도로
주요 간선도로
버스
기타
↑ 인삼터널은 교행이나 국지도68호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