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 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 에서 나누어 주세요. (2025년 2월 )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운송사업자에 대해서는
중앙고속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19
1997년 ~ 2001년
노선명
부산대구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9호선)
기점
부산광역시 사상구
종점
대구광역시 동구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14
1994년 ~ 1997년
1997년 ~ 2001년
노선명
중앙고속도로 (고속국도 제14호선)
기점
대구광역시 북구
종점
37
춘천 ( ) 386.0
TG
춘천
원창고개
SA
춘천
원창터널
원무1-2터널
36
춘천 373.1
↑춘천/홍천↓
굴지터널
홍천강3교
SA
홍천강 (춘천방향)
홍천강2교
35
홍천 361.8
남산터널
공근터널
횡성터널
34
횡성 336.2
↑횡성/원주↓
SA
원주
33
북원주 325.5
호저대교
32-1
신평 (← )
32
만종 ( ) 317.7
TG
만종
만종터널
31
남원주 312.8
(→)
(↔)
금대1-2터널
치악2-4터널
원주대교
치악1터널
SA
치악
30
신림 294.2
↑원주/제천↓
29
제천 281.4
(↘),
(↔)
SA
제천 (춘천방향)
277.8
SA
제천 (부산방향)
28-1
제천 (← )
28
남제천 273.1
↑제천/단양↓
제천터널
27
북단양 261.1
258.8
SA
단양팔경
적성터널
현곡터널
SA
단양팔경
26
단양
EER
(춘천방향)
봉현터널
25
풍기
SA
영주
24
영주 219.7
↑영주/예천↓
211.8
RA
보문 210.3
23
예천 207.6
보문터널 ↑예천/안동↓
194.6
22
서안동 194.3
풍산터널
SA
안동 189.8
179.8
21
남안동 179.3
176.2
177.0
20
안동 ( )
일직터널
168.8
↑안동/의성↓
RA
안평 167.2
162.4
164.7
19
의성 156.6
↑의성/군위↓
SA
군위 153,7
149.3
18
군위 145.6
144.5
140.8
17-1
군위 141.2
군위터널
장천터널
136.5
RA
명곡 137.0
가산터널
17
가산 133.5
130.6
128,6
16
다부 127.2
126.5
다부터널
구간단속 4.0km
122.5
SA
동명
↑대구/칠곡↓
읍내터널
15-1
동명동호 분기점 ( )
15
칠곡 113.3
금호터널
14
금호 ( ) 108.5
과속 단속 카메라 (이동식)
과속 단속 카메라 (고정식)
구간단속
휴게소 (SA)
졸음쉼터 (RA)
요금소
폐쇄된 요금소
터널
경사도로
EER (긴급제동시설)
일반도로
중앙고속도로 (中央高速道路, 고속국도 제55호선 )는 부산광역시 사상구 를 기점으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를 종점으로 하여 남북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이다. 이 고속도로는 한국도로공사 에서 운영하는 국가 재 구간과 민간에서 운영하는 민자 구간 이 혼재되어 있다.
개요
부산광역시 사상구 를 기점으로 대동 분기점 에서는 지선이 분기하고, 동대구 분기점 에서 금호 분기점 까지 경부고속도로 와 중첩되며, 금호 분기점에서 본선으로 진입하여 경상북도 , 충청북도 를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지선 고속도로는 김해 분기점 에서 양산 분기점 의 18.2 km 구간을 잇는 중앙고속도로지선 (中央高速道路支線, 고속국도 제551호선)이 있다.
시멘트 의 주요 생산지인 강원도 남부지역과 충청북도 북동부 지역은 많은 물동량에도 불구하고 도로교통이 타 지역에 비해 상당히 낙후되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국토의 균형 발전을 위해 대구에서 시작하여 춘천까지 이어지는 중앙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 1] 고속도로가 없었던 경남 , 경북 중동부 지역과 경상북도 북부 지역, 충청북도 동북부 지역,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지역에 고속도로 혜택을 부여하고 다른 지역과의 접근성 향상과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대동 분기점 ~대구광역시 동대구 분기점 구간은 민간투자고속도로 로 대개 대구부산고속도로 로 불리며, 현대산업개발 을 모체로 하는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 가 경영 부분을 맡고 있다. 개통 초기 홍보 광고에서 "경부고속도로 여 허리를 펴라"라는 공격적인 광고와 I-Way라는 캐치를 사용하였다.
대구 - 부산 구간은 경부고속도로 가 건설될 당시에 공업·관광 산업 육성 계획에 따라 부산 -대구 구간이 경부선 의 부산 - 청도 - 밀양 - 부산이 아닌 부산 - 경주 - 울산 - 대구의 동쪽 우회 루트로 돌아가게 되면서 경부선 역취락으로 발달했던 청도 와 밀양 의 경기 침체를 어느 정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통행료가 상대적으로 비싸다는 게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어서, 승용차보다 운수차량 및 화물차량들이 더 많이 통행 중이다.
밀양시 에서 김해시 구간 사이에 연약 지반 구간이 있다.
역사
1989년 10월 20일 :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4호선 중앙고속도로(중앙선) 으로 지정[ 2]
1989년 12월 14일 : 중앙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조암동 99.638km 구간과 충청북도 제원군 봉양면 강평리 ~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106.23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3] [ 4]
1992년 4월 29일 :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 ~ 대구직할시 동구 용계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9호선 부산 ~ 대구고속도로(부산 ~ 대구선) 으로 지정[ 5]
1992년 5월 18일 : 부산 ~ 대구고속도로 대동 ~ 김해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김해군 대동면 월촌리 ~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 8.79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6]
1992년 6월 9일 : 춘천 나들목 건설을 위해 강원도 춘성군 동내면 사암리 ~ 신촌리 8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7]
1992년 11월 12일 : 중앙고속도로 예천 ~ 제천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작곡리 ~ 충청북도 제천군 봉양면 장평리 73.74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8]
1992년 12월 31일 : 중앙고속도로 설계 변경(왕복 2차선 → 4차선)으로 인해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 경상북도 안동군 풍산읍 87.48km 구간, 충청북도 제천군 봉양면 ~ 강원도 원주군 지정면 38.7km 구간,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 춘천시 석사동 26.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9]
1994년 4월 28일 : 1996년 12월까지 낙동대교 건설을 위해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 808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0]
1994년 10월 21일 : 홍천 나들목 설계 변경으로 인해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하오안리 79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1]
1994년 12월 15일 : 금호 분기점 ~ 칠곡 나들목 6.1km 구간, 만종 분기점 ~ 남원주 나들목 6.2km 구간 개통.[ 12]
1995년 2월 18일 : 부산 ~ 대구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 ~ 경상북도 경산군 남천면 삼성리 19.7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3]
1995년 6월 12일 : 2001년 12월까지 안동 ~ 영주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노동 ~ 영주시 장수면 갈산리 25.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4]
1995년 8월 29일 : 칠곡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79.8km 구간[ 15] , 서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30.1km 구간, 홍천 나들목 ~ 춘천 나들목 25.2km 구간 왕복 2차로 (왕복 4차로 확장을 대비한 형태) 개통.[ 16]
1996년 3월 28일 : 칠곡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영주 나들목 ~ 풍기 나들목, 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홍천 나들목 ~ 춘천 구간의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착공
1996년 6월 4일 : 2001년 12월까지 중앙고속도로 영주 ~ 제천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갈산리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60.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7]
1996년 6월 28일 : 대저 분기점 ~ 대동 분기점 7.0km 구간 개통[ 18]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으로 변경. 부산 ~ 대구고속도로의 기점을 '부산직할시 강서구 대저1동'에서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으로, 종점을 '대구직할시 동구 용계동'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으로 변경.[ 19]
1996년 7월 26일 : 2001년 12월까지 부산 ~ 대구고속도로 삼랑진 ~ 대동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미전리 ~ 김해시 대동면 덕산리 22.7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0]
1996년 12월 7일 : 2001년 12월까지 중앙고속도로 원주 ~ 홍천 구간 신설을 위해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신평리 ~ 홍천군 홍천읍 하오안리 42.6km 구간을 42.3km로 도로구역 변경[ 21]
1997년 2월 13일 : 2000년 12월까지 중앙고속도로 제천 ~ 원주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공사 중 일부 구간 선형 변경으로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금창리 ~ 판부면 금대리 3.035km 구간을 2.881km로 도로구역 변경[ 22]
1997년 3월 5일 : 1998년 12월까지 낙동강교 건설 공사를 위해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772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3]
1997년 6월 10일 : 1999년 12월까지 동명휴게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가천리 9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4]
1997년 6월 23일 : 2000년 5월까지 춘천휴게소 (상행) 설치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 동내면 사암리 8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5]
1998년 3월 14일 : 2003년까지 부산 ~ 대구고속도로 경산 ~ 삼랑진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삼성리 ~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 34.06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6]
1998년 6월 10일 : 2000년 12월까지 신림 나들목 개량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용암리 ~ 신림리 구간[ 27] , 서제천 나들목 개량 및 국도 제5호선 이설을 위해 충청북도 제천시 신동 ~ 봉양읍 장평리 구간[ 28] , 춘천 종점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 ~ 동내면 신촌리 구간 도로구역 변경[ 29]
1998년 6월 27일 : 2002년 12월까지 단양군 단성면 구간 노선 변경을 위해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두음리 ~ 단성면 상방리 3.18km 구간을 3.204km로[ 30] , 영주휴게소 확장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파지리 ~ 안정면 묵리 1.06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31]
1998년 7월 2일 : 2002년 12월까지 제천휴게소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 ~ 봉양읍 삼거리 구간 도로구역 변경[ 32]
1998년 9월 15일 : 2003년까지 부산 ~ 대구고속도로 경산 ~ 삼랑진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 ~ 삼랑진읍 미전리 9.49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33]
1998년 11월 7일 : 2001년까지 남원주 나들목 개량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 34]
1999년 1월 12일 : 죽령터널 연장을 4,130m에서 4,520m로 조정[ 35]
1999년 7월 1일 : 삼락 나들목 ~ 대저 나들목 (강서낙동강교 ) 1.6km 구간 개통[ 36]
1999년 9월 16일 : 남안동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16.5km 구간 왕복 4차로 확장 개통, 서안동 나들목 ~ 영주 나들목 25.5km 구간 신설 개통[ 37]
2000년 2월 25일 : 대구 ~ 대동간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고시[ 38]
2000년 6월 1일 : 칠곡 나들목 ~ 서안동 나들목 64.9km 구간[ 39] , 영주 나들목 ~ 풍기 나들목 9.5km 구간, 서제천 나들목 ~ 남원주 나들목 37.6km 구간, 홍천 나들목 ~ 춘천 나들목 26.2km 구간이 왕복 4차로로 확장 개통[ 40]
2001년 2월 12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신대구부산고속도로 민자구간 ) 착공
2001년 8월 17일 : 만종 분기점 ~ 홍천 나들목 42.5km 구간 개통[ 41]
2001년 8월 25일 : 기존 부산 ~ 대구고속도로 전 구간을 편입하고 노선번호를 제14호에서 제55호 로 변경.[ 42]
2001년 9월 14일 : 서제천 나들목 이 제천 나들목 으로 명칭 변경
2001년 12월 14일 : 풍기 나들목 ~ 제천 나들목 51.2km 구간 개통.[ 43]
2002년 4월 8일 : 2006년 2월까지 경산 나들목 진출입로 평면 접속으로 전환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44]
2002년 12월 5일 : 종점을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에서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으로 변경[ 45]
2003년 2월 24일 : 2003년 12월까지 가산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천평리 ~ 석우리 5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46]
2004년 4월 3일 : 2006년 2월까지 북밀양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47]
2004년 5월 17일 : 2006년 2월까지 대동 요금소 설치, 동대구 나들목 요금소 차로 확장 및 대구 요금소 설치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48]
2005년 5월 14일 : 대구 ~ 부산 고속도로 민자구간 건설 사업시행기간을 2006년 2월로 연기[ 49]
2006년 2월 15일 : 대구 ~ 부산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변경[ 50]
2006년 1월 25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신대구부산고속도로 민간투자고속도로 ) 82.05km 개통[ 51] 및 경부고속도로 의 동대구 나들목 이 중앙고속도로로 이설되면서 기존 동대구 나들목 은 동대구 분기점 으로 변경됨.
2007년 11월 8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 52]
2008년 5월 19일 : 2009년까지 춘천 요금소 이전 공사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 사암리 4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53]
2009년 1월 14일 : 초정 나들목 개통
2009년 5월 27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 54]
2009년 6월 1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하이패스 시스템 개통[ 55]
2009년 6월 18일 : 춘천 요금소 를 동산면 조양리에서 동내면 사암리로 이전[ 56]
2009년 6월 23일 : 2010년 12월까지 가산 나들목 입체화 공사를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 ~ 천평리 1.9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57] [ 58]
2009년 7월 15일 : 춘천 분기점 개통
2010년 9월 1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 59]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삼락 나들목부터 춘천 나들목까지 370.85km 구간을 중앙고속도로 로 고시[ 60]
2013년 8월 20일 : 청도휴게소 가 청도새마을휴게소 로 명칭 변경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으로 명시, 종점을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에서 '강원도 춘천시 석사동'으로 변경[ 61]
2015년 6월 30일 : 제천 분기점 개통
2016년 9월 1일 :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 62]
2016년 11월 11일 : 원톨링 시스템 도입으로 김해부산 요금소 와 대구 요금소 철거, 신평 분기점 개통
2016년 12월 26일 : 안동 분기점 개통
2017년 6월 28일 : 군위 분기점 개통
2018년 2월 7일 : 대감 분기점 개통
2019년 9월 24일 : 단양휴게소 가 단양팔경휴게소 로 명칭 변경[ 63]
2019년 9월 26일 : 2020년 12월 31일까지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하도리에 졸음쉼터 설치 공사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월촌리 82.0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64]
2020년 12월 11일 : 밀양 분기점 개통
2022년 3월 31일 : 동명동호 분기점 개통
구성
차선수
총 연장
388.10 km (1차로)
348.42 km (2차로)
145.56 km (3차로)
제한 속도
구간 과속 단속
대구, 부산방향 : 죽령터널 - 수철교 5.6km, 다부 나들목 - 동명휴게소 4km, 제한속도 100km/h
춘천방향 : 동명휴게소 - 다부 나들목 4km, 치악휴게소 - 금대4교 5.9km, 제한속도 100km/h
터널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상동1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매리
547m
2006년
춘천 방면
550m
부산 방면
상동2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대감리
520m
2006년
춘천 방면
용산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
50m
2006년
부산 방면
무척산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
2,010m
2006년
춘천 방면
2,030m
부산 방면
생림1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안양리
292m
2006년
춘천 방면
240m
부산 방면
생림2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안양리
517m
2006년
춘천 방면
485m
부산 방면
삼랑진터널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미전리
722m
2006년
춘천 방면
740m
부산 방면
가곡터널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
375m
2006년
춘천 방면
고정1터널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엄광리
1,147m
2006년
춘천 방면
1,118m
부산 방면
고정2터널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고정리
1,060m
2006년
부산 방면
고정3터널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고정리
655m
2006년
춘천 방면
청도1터널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
571m
2006년
춘천 방면
577m
부산 방면
청도2터널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하도리
1,550m
2006년
춘천 방면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송금리
부산 방면
남천터널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협석리
870m
2006년
춘천 방면
867m
부산 방면
금호터널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동
670m
1995년
춘천 방면
660m
부산 방면
읍내터널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
280m
1995년
춘천 방면
288m
2000년
부산 방면
다부터널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가천리
1,041m
1995년
춘천 방면
1,075m
2000년
부산 방면
가산터널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
765m
1995년
춘천 방면
748m
2000년
부산 방면
장천터널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묵어리
210m
1995년
춘천 방면
2000년
부산 방면
군위터널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묵어리
468m
1995년
춘천 방면
610m
2000년
부산 방면
일직터널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평팔리
340m
1995년
춘천 방면
326m
2000년
부산 방면
풍산터널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수곡리
200m
1995년
춘천 방면
210m
1999년
부산 방면
보문터널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오암리
801m
1999년
춘천 방면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신양리
778m
부산 방면
봉현터널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두산리
532m
2001년
춘천 방면
533m
부산 방면
죽령터널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4,600m
2001년
춘천 방면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부산 방면
단양터널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현곡리
500m
2001년
춘천 방면
465m
부산 방면
현곡터널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현곡리
220m
2001년
적성터널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하리
560m
2001년
춘천 방면
616m
부산 방면
제천터널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포전리
1,190m
2001년
춘천 방면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상원곡리
1,150m
부산 방면
치악1터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193m
1995년
춘천 방면
치악2터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179m
1995년
춘천 방면
298m
2000년
부산 방면
치악3터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298m
1995년
춘천 방면
320m
2000년
부산 방면
치악4터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147m
1995년
춘천 방면
151m
2000년
부산 방면
금대1터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324m
1995년
춘천 방면
317m
2000년
부산 방면
금대2터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228m
1995년
춘천 방면
213m
2000년
부산 방면
만종터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무실동
423m
1995년
춘천 방면
434m
2000년
부산 방면
횡성터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오산리
405m
2001년
춘천 방면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횡성읍 학곡리
367m
부산 방면
공근터널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매곡리
635m
2001년
춘천 방면
570m
부산 방면
삼마치터널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영귀미면 월운리
1,436m
2001년
춘천 방면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어둔리
1,429m
부산 방면
남산터널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장전평리
840m
2001년
춘천 방면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영귀미면 삼현리
797m
부산 방면
굴지터널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북방면 굴지리
710m
1995년
춘천 방면
648m
2000년
부산 방면
원무1터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산면 봉명리
497m
1995년
춘천 방면
498m
2000년
부산 방면
원무2터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815m
1995년
춘천 방면
808m
2000년
부산 방면
원창터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224m
1995년
춘천 방면
274m
2000년
부산 방면
나들목 · 분기점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거리의 단위는 km 이다.
중첩 구간은 번호란의 배경색을 참조.
주요 통과지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동 - 노변동 - 대흥동 - 시지동 - 가천동) - 동구 (율하동 - 용계동 - 신평동 - 부동 - 방촌동 - 둔산동 - 검사동 - 도동 - 봉무동 - 불로동) - 북구 (검단동 - 산격동 - 서변동 - 조야동 - 노곡동 - 팔달동 - 금호동 - 태전동 - 관음동 - 읍내동)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
안개
청도군 구간, 군위 나들목 ~의성 나들목 ~서안동 나들목 및 예천 나들목 ~영주 나들목 구간은 안개 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안개 다발 구간이다.
사진
대구 - 부산 구간
대구~죽령
동명휴게소 에서 다부터널을 향해 오르는 중앙고속도로
단양~춘천
단양대교
단양대교
단양대교
치악 휴게소
홍천강 졸음쉼터
홍천강 졸음쉼터
홍천강 졸음쉼터
홍천 9 km 표지
사건 및 사고
같이 보기
각주
↑ 정상호 (한국양회공업협회 기획조사과) (1995년). “중앙고속도로 건설현장” . 《시멘트》 (138): 33-38.
↑ 대통령령 제128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89년 10월 20일 일부개정.
↑ 건설부고시 제737호 , 1989년 12월 14일.
↑ 1997년 9월 6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93호 로 갱신.
↑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92년 4월 29일 일부개정.
↑ 건설부고시 제1992-235호 , 1992년 5월 18일.
↑ 건설부고시 제1992-283호 , 1992년 6월 9일.
↑ 건설부고시 제1992-599호 , 1992년 11월 12일.
↑ 건설부고시 제1992-790호 , 1992년 12월 31일.
↑ 건설부고시 제1994-135호 , 1994년 4월 28일.
↑ 건설부고시 제1994-394호 , 1994년 10월 21일.
↑ 건설부공고 제1994-301호 , 1994년 12월 15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51호 , 1995년 2월 18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94호 , 1995년 6월 12일.
↑ 중앙고속도로 칠곡 - 서안동 왕복 2차선 개통 보관됨 2016-06-02 - 웨이백 머신 , 문화방송.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5-249호 , 1995년 8월 26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166호 , 1996년 6월 4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6-189호 , 1996년 6월 27일.
↑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96년 7월 1일 일부개정.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246호 , 1996년 7월 26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382호 , 1996년 12월 7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9호 , 1997년 2월 13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67호 , 1997년 3월 5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86호 , 1997년 6월 10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96호 , 1997년 6월 23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81호 , 1998년 3월 14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70호 , 1998년 6월 10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71호 , 1998년 6월 10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74호 , 1998년 6월 10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95호 , 1998년 6월 27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97호 , 1998년 6월 27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07호 , 1998년 7월 2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300호 , 1998년 9월 15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360호 , 1998년 11월 7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호 , 1999년 1월 12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9-215호 , 1999년 6월 29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9-299호 , 1999년 9월 15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41호 , 2000년 2월 25일.
↑ 중앙고속도로 칠곡 - 서안동 - 풍기 4차선 개통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0-139호 , 2000년 5월 29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22호 , 2001년 8월 10일.
↑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2001년 5월 24일 전부개정.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341호 , 2001년 12월 12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60호 , 2002년 4월 8일.
↑ 대통령령 제17794호 , 2002년 12월 5일 일부개정.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39호 , 2003년 2월 24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69호 , 2004년 4월 3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107호, 제2004-108호 , 2004년 5월 17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111호 , 2005년 5월 14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41호 , 2006년 2월 15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6-22호 , 2006년 1월 25일.
↑ 경찰청고시 제2007-4호 , 2007년 11월 8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163호 , 2008년 5월 19일.
↑ 경찰청고시 제2009-2호 , 2009년 5월 27일.
↑ 신대구부산고속도 하이패스 시스템 개통 보관됨 2014-02-22 - 웨이백 머신 , 《한국경제신문》 2009년 6월 1일
↑ 중앙고속도 춘천영업소 18일 조기 이전 , 뉴시스, 2009년 6월 16일 작성.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388호 , 2009년 6월 23일.
↑ 2009년 7월 2일 재고시 .
↑ 경찰청고시 제2010-2호 , 2010년 8월 31일.
↑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 2010년 12월 28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 2015년 3월 27일.
↑ 경찰청고시 제2016-7호 , 2016년 8월 3일.
↑ 중앙고속도로 단양휴게소, 단양팔경휴게소로 명칭 변경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연합뉴스, 2019년 9월 24일 작성.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15호 , 2019년 9월 26일.
↑ 옛 이름은 청도휴게소이다.
↑ 옛 이름은 단양휴게소이다.
↑ 단, 부산방향의 경우, 휴게소 반대편에 있는 홍천강졸음쉼터 에서 지하보도를 이용하면 고속도로를 건너 휴게소를 이용할 수 있다.
↑ 부산방향의 경우 다시 춘천방향으로 회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1/16/0200000000AKR20150116087600062.HTML?input=1195m 횡성 중앙고속도로 43중 추돌…19명 중·경상(종합)
] 연합뉴스, 2015년 1월 16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