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기하학 에서 리만 다양체 (Riemann多樣體, 영어 : Riemannian manifold )는 각 점의 접공간 위에 양의 정부호 쌍선형 형식 이 주어져,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매끄러운 다양체 이다. 이 구조를 리만 계량 (Riemann計量, 영어 : Riemannian metric )이라고 하며, 이를 사용하여 다양체 위에서 평행 운송 · 각도 · 길이 · 부피 · 곡률 따위의 기하학적 개념들을 정의할 수 있다. 리만 다양체와 관련된 구조를 연구하는 미분기하학 의 분야를 리만 기하학 (Riemann幾何學, 영어 : Riemannian geometry )이라고 한다.
정의
n
{\displaystyle n}
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에 공변접다발
T
∗
M
{\displaystyle T^{*}M}
의 2차 대칭승
Sym
2
T
∗
M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2}T^{*}M}
벡터 다발 을 생각하자. 이는 접다발의 대칭승
Sym
2
T
M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2}TM}
의 쌍대 다발 과 같다. 이 벡터 다발은
M
{\displaystyle M}
위의
n
(
n
+
1
)
/
2
{\displaystyle n(n+1)/2}
차원 벡터 다발 이다.
Sym
2
T
∗
M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2}T^{*}M}
의 매끄러운 단면 은
M
{\displaystyle M}
의 각 점
x
∈
M
{\displaystyle x\in M}
에서의 접공간
T
x
M
{\displaystyle T_{x}M}
위에 쌍선형 형식 을 정의한다.
Sym
2
T
M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2}TM}
은
(
T
M
)
⊗
2
{\displaystyle (TM)^{\otimes 2}}
의 몫공간 이므로, 그 쌍대 다발 인
Sym
2
T
∗
M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2}T^{*}M}
은
(
T
∗
M
)
⊗
2
{\displaystyle (T^{*}M)^{\otimes 2}}
의 부분 공간 이 된다. 따라서
Sym
2
T
∗
M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2}T^{*}M}
의 매끄러운 단면 은
M
{\displaystyle M}
위의 (0,2)-텐서장 (
(
T
∗
M
)
⊗
2
{\displaystyle (T^{*}M)^{\otimes 2}}
의 매끄러운 단면 )으로 생각할 수 있다.
M
{\displaystyle M}
위의,
Sym
2
T
∗
M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2}T^{*}M}
의 매끄러운 단면
g
∈
Γ
(
Sym
2
T
∗
M
)
{\displaystyle g\in \Gamma (\operatorname {Sym} ^{2}T^{*}M)}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g
{\displaystyle g}
를
M
{\displaystyle M}
위의 리만 계량 (Riemann計量, 영어 : Riemannian metric )이라고 한다.
(양의 정부호 성) 임의의
x
∈
M
{\displaystyle x\in M}
및
X
∈
T
x
M
{\displaystyle X\in T_{x}M}
에 대하여, 만약
X
≠
0
{\displaystyle X\neq 0}
이라면
g
(
X
,
X
)
>
0
{\displaystyle g(X,X)>0}
리만 계량을 갖춘 매끄러운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를 리만 다양체 라고 한다.
두 리만 다양체
(
M
,
g
M
)
{\displaystyle (M,g_{M})}
,
(
N
,
g
N
)
{\displaystyle (N,g_{N})}
사이의 등거리 변환 (영어 : isometric map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매끄러운 함수
f
:
M
→
N
{\displaystyle f\colon M\to N}
이다.
임의의
x
∈
M
{\displaystyle x\in M}
및
X
,
Y
∈
T
x
M
{\displaystyle X,Y\in T_{x}M}
에 대하여,
g
N
(
d
f
(
X
)
,
d
f
(
Y
)
)
=
g
M
(
X
,
Y
)
{\displaystyle g_{N}(df(X),df(Y))=g_{M}(X,Y)}
여기서
d
f
(
X
)
∈
T
f
(
x
)
N
{\displaystyle df(X)\in T_{f(x)}N}
는
X
{\displaystyle X}
의
f
{\displaystyle f}
에 대한 밂 이다.
성질
모든 매끄러운 다양체 에는 리만 다양체의 구조를 줄 수 있다. 물론, 이는 표준적이지 않다.
유클리드 공간으로의 매장
내시 매장 정리 (영어 : Nash embedding theorem )에 따라, 모든 연결 리만 다양체는 충분히 높은 차원의 유클리드 공간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으로의 등거리 매장 을 갖는다. 즉, 리만 다양체는 내재적으로 정의하는 대신 항상 외재적으로 유클리드 공간 의 부분 공간으로 여길 수 있다. 물론, 리만 다양체 자체의 데이터는 유클리드 공간으로의 매장을 포함하지 않는다.
거리
연결 리만 다양체 위에는 자연스럽게 거리 공간 의 구조가 주어진다. [모든 (하우스도르프 파라콤팩트 ) 다양체 는 거리화 가능 공간 이지만, 리만 계량과 같은 구조가 없다면 거리 함수를 표준적으로 정의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연결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위의 매끄러운 곡선
γ
:
[
0
,
1
]
→
M
{\displaystyle \gamma \colon [0,1]\to M}
의 길이 는 다음과 같다.
L
(
γ
)
=
∫
0
1
g
(
γ
˙
(
t
)
,
γ
˙
(
t
)
)
d
t
∈
[
0
,
∞
)
{\displaystyle L(\gamma )=\int _{0}^{1}{\sqrt {g({\dot {\gamma }}(t),{\dot {\gamma }}(t))}}\,dt\in [0,\infty )}
곡선의 길이는 매개변수화에 대하여 불변이다. 즉, 임의의 매끄러운 함수
s
:
[
0
,
1
]
→
[
0
,
1
]
{\displaystyle s\colon [0,1]\to [0,1]}
에 대하여,
L
(
γ
∘
s
)
=
L
(
γ
)
{\displaystyle L(\gamma \circ s)=L(\gamma )}
이다.
임의의 두 점
x
,
y
∈
M
{\displaystyle x,y\in M}
사이의 거리 (영어 : distance )는 두 점 사이를 잇는 곡선들의 길이들의 하한 이다.
d
(
x
,
y
)
=
inf
γ
:
[
0
,
1
]
→
M
γ
(
0
)
=
x
,
γ
(
1
)
=
y
L
(
γ
)
{\displaystyle d(x,y)=\inf _{\gamma \colon [0,1]\to M}^{\gamma (0)=x,\;\gamma (1)=y}L(\gamma )}
이는 거리 함수 의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킴을 보일 수 있으며, 추가로 길이 거리 공간 을 이룬다.
연결 공간 이 아닌 리만 다양체의 경우, 각 연결 성분 위에 (유한한) 거리를 정의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연결 성분 위에 있는 두 점 사이의 거리는 무한대가 된다.
리만 기하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하이네-보렐 정리 가 성립한다. 연결 리만 다양체
M
{\displaystyle M}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레비치비타 접속
리만 계량을 사용하여, 접다발 위에 레비치비타 접속 이라는 아핀 접속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접속이다.
벡터의 평행 운송 은 리만 계량에 대한 길이를 보존한다.
비틀림 이 0이다.
리만 다양체의 리만 곡률 은 레비치비타 접속의 곡률이다. 리만 곡률 텐서장 을 축약하여 리치 곡률 · 바일 곡률 · 스칼라 곡률 · 아인슈타인 텐서 를 정의할 수 있다.
측지선
이 부분의 본문은
측지선 입니다.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위에는 측지선 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측지선은 (매개 변수화를 무시하면) 국소적으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곡선이다.
예
유클리드 공간
R
n
{\displaystyle \mathbb {R} ^{n}}
· 초구
S
n
{\displaystyle \mathbb {S} ^{n}}
· 원환면
T
n
{\displaystyle \mathbb {T} ^{n}}
은 모두 리만 다양체를 이룬다.
반단순 리 군 의 경우, 킬링 형식 은 양의 정부호 이므로 리만 계량을 이룬다. 따라서 반단순 리 군의 경우 표준적으로 리만 다양체를 이룬다.
리만 다양체
(
M
,
g
M
)
{\displaystyle (M,g_{M})}
과 그 속의 몰입 된 부분 다양체
ι
:
N
↪
M
{\displaystyle \iota \colon N\hookrightarrow M}
가 주어졌다면,
M
{\displaystyle M}
위에 리만 계량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g
M
(
X
,
Y
)
=
g
M
(
d
ι
(
X
)
,
d
ι
(
Y
)
)
∀
x
∈
N
,
X
,
Y
∈
T
x
N
{\displaystyle g_{M}(X,Y)=g_{M}(d\iota (X),d\iota (Y))\qquad \forall x\in N,\;X,Y\in T_{x}N}
여기서
d
ι
(
X
)
∈
T
ι
(
x
)
N
{\displaystyle d\iota (X)\in T_{\iota (x)}N}
는
X
{\displaystyle X}
의 밂 이다. 따라서
(
M
,
g
M
)
{\displaystyle (M,g_{M})}
은 리만 다양체를 이룬다.
확장 불가능 완비 다양체
3차원 공간 속에, 다음과 같은 꼭짓점을 제거한 원뿔 을 생각하자.
{
(
x
,
y
,
z
)
:
x
2
+
y
2
=
z
2
,
z
>
0
}
{\displaystyle \{(x,y,z)\colon x^{2}+y^{2}=z^{2},\;z>0\}}
이는 확장 불가능 리만 다양체를 이룬다. (꼭짓점을 추가하면 특이점이 생기게 되어 리만 다양체를 이루지 못한다.) 그러나 이는 완비 다양체가 아니다. 꼭짓점을 향하는 측지선 은 유한한 시간 안에 꼭짓점에 도달하여, 더 이상 연장할 수 없게 된다.
참고 문헌
Jost, Jürgen (2008). 《Riemannian geometry and geometric analysis》. Universitext (영어) 6판. Springer. doi :10.1007/978-3-642-21298-7 . ISBN 978-3-642-21297-0 . ISSN 0172-5939 .
do Carmo, Manfredo Perdigão (1992). 《Riemannian geometry》 (영어). Francis Flaherty 역. Birkhäuser. ISBN 978-0-8176-3490-2 .
Berger, Marcel (2002). 《Riemannian geometry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 University Lecture Series (영어) 17 2판.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2052-0 .
Cheeger, Jeff ; Ebin, David G. (1975). 《Comparison theorems in Riemannian geometry》 (영어).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4417-5 .
Gallot, Sylvestre; Hulin, Dominique; Lafontaine, Jacques (2004). 《Riemannian geometry》. Universitext (영어) 3판. Springer.
Petersen, Peter (2006). 《Riemannian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71 . Springer. doi :10.1007/978-0-387-29403-2 . ISBN 978-0-387-29246-5 . ISSN 0072-5285 .
Lee, John M. (1997). 《Riemannian manifolds: an introduction to curvature》 .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76 . Springer. doi :10.1007/b98852 . ISBN 978-0-387-98271-7 . ISSN 0072-5285 .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5일에 확인함 .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