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종합버스터미널 (부산동부터미널, 노포동터미널) 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2238 (노포동 )에 있는 고속버스 · 시외버스 터미널이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700 이다. 부산광역시 를 기종점으로 하는 고속버스 전 노선(서울 , 동서울 , 인천 , 광주 방향은 일부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시종착)을 운행하며, 경기도 , 인천국제공항 , 충청북도 , 전라남도 , 전라북도 , 경상남도 , 경상북도 방향의 시외버스를 운행한다.
경상남도 양산시 경계에서 멀지 않은 곳인지라, 몇몇 고속버스들은 야간에 터미널에 들어오기 전에 두실역 에서 중간 하차한다.
터미널 역사
구 터미널 건물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아시아드대로 234(온천동 1412-1) 롯데백화점 동래 옛동부터미널 일대에 부산고속버스터미널이 있었고, 중앙대로 1393(온천동 502-3) 일대에 부산동부시외버스터미널이 있었으나, 부산광역시 의 도심 교통 체증 해소를 위한 숙원 사업으로 1994년 부터 터미널 이전을 추진하였다.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이전에 터미널 건물을 완공한다는 목표로 2000년 6월 에 현재 터미널 건물 신축 공사를 착공하려고 하였으나[ 1] 실제 터미널 건물 기공식은 같은 해 10월 5일 에 착공되었으며[ 2] 2001년 9월 20일 에 완공하여 새로 운영을 시작하였다. 신축된 지금의 터미널 건물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모두 운행하는 형식으로 통합되었다.[ 3] 과거 부산고속버스터미널이 있었던 곳은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과 4호선 환승역인 미남역 인근에 온천반도보라스카이뷰아파트가, 부산동부시외버스터미널이 있었던 곳은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명륜역 인근에 롯데백화점 부산 고속터미널 동래점이 들어서 있으며 터미널-노포동 역 지하연결이 되어있다.
터미널 건물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은 터미널과 함께 편의점 등 부대 상업시설이 함께 있으며, 고속버스와 시외버스의 운행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지상 1층 : 전 노선의 출발 플랫폼 및 도착 플랫폼 , 식당가, GS25 편의점 등 각종 편의 시설
지상 2층 : 고속버스 와 시외버스 의 매표소 , 패스트푸드점, 약국, GS25 편의점 등 각종 편의시설
지상 3층 : 레스토랑, 커피숍, 부산은행 , PC방 등 각종 편의시설
경남고속 사무실
운행 노선
고속버스
2014년 12월 29일에 당진 행 노선이 신설되었다.[ 4]
2018년 7월 19일에 연무대 경유 논산행 노선이 신설되었다.
운행 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시간표
부산 ↔ 서울경부
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부산
↔
서울경부
낙동강휴게소 [ 5]
20~40
첫차:06:00(부산 기준) 막차:02:00(부산 기준)
부산 ↔ 동서울
금호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부산
↔
동서울
낙동강휴게소 [ 5]
80
첫차:06:35(부산 기준) 막차:23:50(부산 기준)
부산 ↔ 경주
금호고속
부산
↔
경주
무정차
60
첫차:08:00(부산 기준) 막차:23:00(부산 기준)
부산 ↔ 광주
금호고속 삼화고속
부산
↔
광주
섬진강휴게소 , 광주문화예술회관 [ 6]
40~50
첫차:06:20(부산 기준) 막차:23:30(부산 기준)
부산 ↔ 논산[ 7]
충남고속
부산
↔
논산
연무대
4회
06:40(화), 07:30(일~월), 11:00, 15:00, 18:00
부산 ↔ 당진[ 8]
천일고속 충남고속
부산
↔
당진
기지시
4회
08:00, 11:30 , 15:20, 18:20
부산 ↔ 동대구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부산
↔
동대구
용계
40
첫차:06:25(부산 기준) 막차:22:30(부산 기준)
부산 ↔ 대전복합
금호고속 한일고속
부산
↔
대전복합
무정차
6회
08:00, 10:00, 12:30, 15:00, 17:00, 19:00
부산 ↔ 성남
천일고속 속리산고속
부산
↔
성남
낙동강휴게소 [ 5]
60~80
첫차:06:30(부산 기준) 막차:22:00(부산 기준)
부산 ↔ 세종[ 9]
대원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부산
↔
세종
무정차
6회
07:00, 09:00, 11:00, 12:40, 16:30, 18:30
부산 ↔ 순천
천일고속
부산
↔
순천
섬진강휴게소 , 순천대학교 [ 10]
8회
07:00, 09:00, 11:00, 13:00, 15:00, 17:00, 19:30, 22:00
부산 ↔ 여수
금호고속 천일고속
부산
↔
여수
섬진강휴게소 , 여천
50~60
첫차:06:35(부산 기준) 막차:22:40(부산 기준)
부산 ↔ 용인
경남여객 대원고속
부산
↔
용인
낙동강휴게소 [ 5] , 신갈
9회
07:00, 08:30, 10:00, 11:30, 13:00, 14:30, 16:00, 17:30, 19:00
부산 ↔ 인천
동양고속 삼화고속 천일고속
부산
↔
인천
낙동강휴게소 [ 5]
70~80
첫차:06:25(부산 기준) 막차:23:20(부산 기준)
부산 ↔ 의정부[ 11]
금호고속
부산
↔
의정부
구리
6회[ 12]
07:30, 10:00, 12:10, 15:00, 17:00, 18:40
부산 ↔ 전주
동양고속
부산
↔
전주
무정차
60~90
첫차:07:00(부산 기준) 막차:22:20(부산 기준)
부산 ↔ 청주
속리산고속 한일고속
부산
↔
청주
낙동강휴게소 [ 5] , 청주 나들목 [ 10]
90
첫차:06:30(부산 기준) 막차:19:30(부산 기준)
시외버스
방면
행선지
수도권 방면
고양 [ 13] , 경기광주 [ 14] , 동두천 [ 14] , 부천 , 송도 , 수원 , 안산 , 여주 , 오산 , 이천 , 인천국제공항 , 하남 [ 14]
강원권 방면
간성 , 강릉 , 거진, 고한사북 , 공근, 근덕, 낙산 , 동해 , 물치, 삼척 , 손양, 속초 , 양양 , 원주 , 인구, 임원, 장호, 주문진 , 춘천 , 태백 , 하조대, 호산, 홍천 , 횡성
충청권 방면
수안보 , 연풍 , 제천 , 천안 , 충주
호남권 방면
광양 , 군산 , 동광양(중마) , 순천 , 여수 , 여천 , 익산
영남권 방면
강구 , 경북도청 , 경주 , 고성 , 고현(거제) , 구미 [ 15] , 구산, 군위 , 기성, 나루끝, 다인, 단촌, 대강, 덕계, 도곡, 도리원, 도평, 동래역 , 마산 , 매포, 매화, 문경 , 방어진 , 배둔, 병곡, 부구, 부남, 북대구 , 불로, 사곡, 사동, 삼창, 상주 , 서창, 선산 , 송라, 신락, 신령, 신안, 안계, 안덕, 안동 , 언양 , 연계, 영덕 , 영주 , 영천 , 영해 , 예천 , 옥포, 옹천, 용당, 우보 , 울산 , 울진 , 웅촌, 원전, 월송, 의성 , 의홍, 일직, 임동, 자천, 장사, 장승포 , 점촌 , 주왕산 , 죽변 , 지보, 진동, 진보, 진주 , 진해 , 창원 , 청송 , 청하, 탑리, 통도사 , 통영 , 평해, 포항 , 풍기, 풍양, 화목, 화산, 화수, 후포(삼율)
사진
정면 (서편)
고속버스매표소
부산동부버스터미널(시외) 요금표, 2018년 11월 14일 확인
부산동부버스터미널(시외) 시간표 (왼쪽 절반), 2018년 11월 14일 확인
부산동부버스터미널(시외) 시간표 (오른쪽 절반), 2018년 11월 14일 확안
매표소→버스 타는 곳
물품보관함
각주
↑ [부산] 부산 고속터미널 6월 신축공사 , 국민일보, 2000년 5월 26일 작성.
↑ [부산/경남]부산 노포동 종합터미널 착공 , 동아일보, 2000년 10월 4일 작성.
↑ 부산종합터미널 개장...고속버스 시외버스 모두 처리 , 매일경제, 2001년 9월 20일 작성.
↑ 당진-부산 간 고속버스 운행 시작 , 연합뉴스, 2014년 12월 29일 작성.
↑ 가 나 다 라 마 바 본래 선산휴게소에서 정차했으나 상주영천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2019년 4월 9일까지 선산휴게소 정차 했으며 2019년 4월 10일부터 낙동강휴게소 정차로 변경되었다.
↑ 운암동 시외버스 정류소에서 하차.
↑ 2018년 7월 18일 신설.
↑ 2014년 12월 29일 신설.
↑ 2013년 12월 24일 신설.
↑ 가 나 하차만 가능하다.
↑ 고속노선으로 운행했다가 시외로 전환된 노선이며 시외우등제가 시행중이다.
↑ 주말 운행시 8회 운행
↑ 2013년 5월 1일 부로 직통 노선이 폐지되고 모두 부천을 경유한다.
↑ 가 나 다 2013년 5월 1일 부로 신규 개통되었다. 2015년 7월 10일 부로 와부에서 동두천으로 노선변경 하였다.
↑ 2014년 5월 1일 에 전환고속 면허로 인가받았지만 고속버스 전산망은 사용하지 않는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