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복합환승센터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전경
공식명칭 신세계동대구복합환승센터 종류 터미널 국가 대한민국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 149 (신천4동 )개장 2016년 12월 12일 운영기관 코리아와이드경북 터미널코드 801 행선지표기 동대구 고속버스 운행 운행 시외버스 운행 운행 시내버스 운행 미운행
주식회사 신세계동대구복합환승센터 SHINSEGAE DONGDAEGU CTC Inc. 형태 주식회사 창립 2012년 5월 2일 시장 정보 미상장 산업 분야 백화점 및 여객자동차터미널운영업 본사 소재지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 149 (신천4동)핵심 인물
배재석 (대표이사) 제품 대구신세계 동대구복합환승센터매출액 1,913억 1,452만 5,880원 (2019) 영업이익
212억 2,864만 6,577원 (2019) 151억 3,992만 8,927원 (2019) 자산총액 8,368억 2,979만 8,640원 (2019.12) 주요 주주 주식회사 신세계 : 61.00% RECO SSG Private Ltd.: 34.00% 주식회사 삼양사 : 5.00% 종업원 수
225명 (2019.12) 자본금 2,289억 2,000만원 (2019.12)
동대구복합환승센터 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4동 에 있는 종합 버스 터미널이다.
경부선 동대구역 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 인근에 흩어져 있던 각 회사별 고속버스 터미널인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 4곳과 시외버스 터미널인 대구동부정류장과 대구남부정류장(일부 노선) 을 모두 이 곳으로 통합해서 2016년 12월 12일 부터 운영에 들어갔다. 그 중 남부정류장 노선은 상당수가 경산 으로 단축됐고, 언양/울산완행/청도 0번만 동대구복합환승센터로 이전했다.
2019년 8월에는 북부정류장 에서 운행했던 경기도 방면 노선들 중 구미 경유 하남 /경기광주 /이천 /여주 노선이 동대구복합환승센터로 기착지를 이전했다.
2020년 에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의 여파로 경산버스 의 밀양(울산완행)/언양방면 시외버스마저 경산 으로 단축됐고, 이에 따라 남부정류장 출신 노선들 중에서는 청도버스 의 0번만 동대구복합환승센터로 들어왔다. 그러나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 개통과 함께 대구와 인접한 경상북도 기초지자체 시내/농어촌버스와의 광역환승제가 시행됨에 따라, 청도 0번은 경북수협네거리에서 효신네거리와 동부소방서를 통해 회차하여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건너편의 시내버스 정류장으로 정차지가 변경됐다.
3층과 4층에 걸쳐 있는 승차장은 부천터미널 소풍 같이 복층으로 되어 있으며, 하차장은 1층에 있다. 수화물취급소는 본래 메가박스 대구신세계점 입구에 있었다가 하차장 바로 옆으로 이전했다.
시외/고속버스 매표소는 동대구역 으로 나가는 통로가 있는 3층에만 있고, 무인발권기는 3층과 4층에 모두 설치되어 있다. 버스 박차장은 파미에타운 쪽에 있으며, 경부선 과 나란히 있다. 2025년 2월 24일 대구 시내버스 개편 이후로는 650번과 직행2번 시내버스가 파미에타운 박차장에서 대기 후 출발한다.
신세계그룹 계열의 주식회사 신세계동대구복합환승센터[ 1] 가 소유하고, 경북고속 의 계열사인 주식회사 코리아와이드터미널 에서 운영한다.
터미널 안내
1층은 시내버스와 택시 승차장과 연계되며, 매표소가 있는 3층은 동대구역 과 연계된다. 도시철도는 하차장 옆에 있는 지하 통로로 가야 한다. 수화물취급소는 본래 메가박스 대구신세계점 출입구 옆에 있었다가 하차장으로 이전했다.
1층 : 하차장, 수화물 취급소
3층 : 서울/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인천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행 리무진버스 승차장, 동대구역 방면 출구
4층 : 부산, 울산, 강원권, 경북 및 경남권 승차장
5층 : 외부 주차장 연결 통로
승차홈
1층은 하차장으로만 쓰이며, 수화물취급소도 하차장에 있다. 3층(고속)과 4층(시외)에 걸쳐 승차 홈이 마련되어 있다.
층별
출발홈
행선지
3층
1
예비
2
인천국제공항 (T1, T2)
3
예비
4
김해국제공항
5
서울경부
6
예비
7
동서울
8
성남
9
구리 , 의정부, 인천
10
충주, 이천, 여주
11
목포
12
수원, 용인, 원주
13
예비
14
청주
15
광주
16
전주 , 순천
17
예비
4층
18
안동
19
예비
20
영주
21
신도청, 상주, 예천, 점촌
22
구미
23
영덕, 울진
24
포항(시외)
25
하양, 영천, 안강, 청송
26
경주(시외)
27
울산(시외)
28
예비[ 2]
29
제천, 춘천
30
해운대, 양산
31
부산
32
예비
33
예비
34
마산, 내서, 진해
35
진주, 거제(고현)
36
예비
운행 노선
수도권
운행 노선 (승차홈)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시간표
동대구 ↔ 서울경부
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동대구
↔
서울경부
서대구 or 신서혁신도시 (한국부동산원 ), 선산휴게소
20~30
첫차:06:00(동대구 기준) 막차:01:30(동대구 기준)
동대구 ↔ 동서울
동양고속 천일고속 중앙고속
동대구
↔
동서울
서대구 , 선산휴게소
30~40
첫차:06:00(동대구 기준) 막차:23:10(동대구 기준)
동대구 ↔ 성남
속리산고속 동양고속
동대구
↔
성남
서대구 , 선산휴게소
30~80
첫차:06:40(동대구 기준) 막차:22:00(동대구 기준)
동대구 ↔ 의정부[ 3]
금호고속 대원고속
동대구
↔
의정부
서대구 , 선산휴게소
2~3회
07:00, 13:15[ 4] , 18:40
구미 [ 5] , 구리 [ 5]
4회
09:15, 10:30, 13:15[ 6] , 15:30, 17:05[ 4]
동대구 ↔ 인천
삼화고속 동양고속
동대구
↔
인천
서대구 , 선산휴게소
60~90
첫차:06:20(동대구 기준) 막차:22:30(동대구 기준)
동대구 ↔ 용인
경북고속
동대구
↔
용인
구미 , 신갈
9회
07:00, 08:40, 10:20, 12:00, 13:40, 15:20, 17:00, 18:40, 20:20
동대구 ↔ 이천
경북고속 대원고속
동대구
↔
이천
구미 , 여주
8회
07:30, 09:00, 10:40, 12:20, 14:00, 15:45, 17:20, 19:00
동대구 ↔ 하남
대원고속
동대구
↔
하남
구미 , 경기광주
3회
08:00, 13:00[ 7] , 17:10
강원권
운행 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시간표
동대구 ↔ 춘천[ 8]
대원고속
동대구
↔
춘천
서대구
5회
07:00, 10:00, 12:00, 15:00, 17:30
동대구 ↔ 원주[ 9]
경북고속
동대구
↔
원주
무정차
7회
07:00, 09:00, 10:50, 12:50, 14:40, 16:30, 18:30
충청권
호남권
운행 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시간표
동대구 ↔ 광주
금호고속 중앙고속
동대구
↔
광주
서대구
40~60
첫차:06:00(동대구 기준) 막차:22:40(동대구 기준)
동대구 ↔ 순천
경전고속
동대구
↔
순천
서대구 , 순천북부 [ 11]
4회
07:30, 11:30, 15:30, 19:30
동대구 ↔ 전주
동양고속 삼화고속
동대구
↔
전주
서대구
7회
06:30, 08:40, 10:50, 13:00, 15:20, 17:40, 19:40
동대구 ↔ 목포[ 12]
금호고속 경북고속
동대구
↔
목포
무정차
4회
09:25, 12:40, 15:40, 18:35
영남권
운행 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시간표
동대구 ↔ 안동
경북고속
동대구
↔
안동
무정차
25~30
첫차:06:40(동대구 기준) 막차:22:00(동대구 기준)
동대구 ↔ 영주
경북고속
동대구
↔
영주
영주장수 , 꽃동산
20~45
첫차:06:40(동대구 기준) 막차:20:50(동대구 기준)
동대구 ↔ 진해[ 13]
동양고속
동대구
↔
진해
서대구 , 내서 , 마산
50~70
첫차:06:30(동대구 기준) 막차:23:00(동대구 기준)
동대구 ↔ 부산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동대구
↔
부산
용계
30~40
첫차:06:10(동대구 기준) 막차:22:20(동대구 기준)
동대구 ↔ 진주
중앙고속 천일고속
동대구
↔
진주
서대구 , 개양
50~60
첫차:06:40(동대구 기준) 막차:20:00(동대구 기준)
동대구 ↔ 울산(시외)[ 14]
대원고속 천마고속
동대구
↔
울산
용계
30-50
첫차:05:30(동대구 기준) 막차:22:00(동대구 기준)
동대구 ↔ 해운대
해운대고속
동대구
↔
해운대
용계
50-60
첫차:07:35(동대구 기준) 막차:20:10(동대구 기준)
동대구 ↔ 거제(고현)
진안고속 경원여객
동대구
↔
고현
50-120
첫차:07:02(동대구 기준) 막차:20:12(동대구 기준)
동대구 ↔ 구미
해운대고속
동대구
↔
구미
구미공단 , 구미복지
4회
공항버스
운행 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시간표
동대구 ↔ 인천국제공항
경북고속
동대구
↔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30~70
첫차:00:01(동대구 기준) 막차:17:20(동대구 기준)
동대구 ↔ 김해국제공항[ 15]
경북고속
동대구
↔
김해국제공항
무정차
10~60
첫차:06:00(동대구 기준) 막차:19:40(동대구 기준)
시외버스
방면
행선지
강원권 방면
간성 , 강릉 , 낙산 , 대진, 동해 , 삼척 , 속초 , 호산
영남권 방면
강구 , 경주 , 건천, 구미 , 거제(고현), 구미복지, 도평, 방어진 , 불국사 , 부남, 송라, 신녕, 신복 , 안강, 안덕, 영덕 , 영천 , 영해 , 온정, 울산 [ 16] , 울진 , 주왕산 , 죽변 , 진보, 청송 , 평해, 포항 , 후포 , 정대, 경산 , 자인 , 청도 , 운문사 , 풍각 , 이서 , 금천 , 운문 , 대천리, 삼계리, 밀양 , 언양 [ 17]
사진
같이 보기
각주
↑ 신세계백화점 대구점(대구신세계) 을 운영하는 대구 지역 법인 명칭이며, 영수증에 명기되어 있다. 즉, 광주신세계같은 별도의 대구 지역 법인 형태며 대전신세계도 지역법인 형태로 운영한다.
↑ 본래는 경산버스 의 청도 , 밀양 경유 울산 완행노선(발권은 남명리까지 가능)과 풍각정류장으로 다니는 청도버스 의 0번이 이용하던 청도 방면 홈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의 여파로 울산 완행은 경산 으로 단축됐고, 청도 0번은 대구권 광역환승제 대상 노선으로 편입된 후 2025년 1월부터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건너편의 시내버스 정류장으로 정차지가 변경되어 이 홈을 이용하지 않는다. 현재 청도 0번은 경북수협네거리에서 터미널로 바로 들어오지 않고, 효신네거리로 내려간 후 동부소방서를 통해 회차하여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건너편 시내버스 정류장으로 들어온다. 구내의 티켓자판기에서도 청도 0번의 배차가 뜨지 않으며, 여기에 대해서는 동대구복합환승센터 3층 매표소에 공지하고 있다.
↑ 고속노선으로 운행했다가 시외노선으로 전환된 노선이다.
↑ 가 나 금,토,일,월요일에만 운행.
↑ 가 나 2019년 12월 2일부터 경유
↑ 화,수,목요일에만 운행.
↑ 경기광주까지 운행
↑ 사실상의 병행 노선이었던 대구서부/대구북부 - 춘천(시외) 노선이 홍천, 횡성, 원주 - 대구북부 노선과 통합하여 춘천, 홍천, 횡성, 원주 - 대구서부/대구북부 노선으로 개편함에 따라, 대구에서 춘천까지 무정차로 가려면 고속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 2017년 6월 1일 신설.
↑ 청주IC 진출 후 수의동 충렬사 정류장에서 중간 하차만 가능하다. 다만 운행 차량이 청주IC 대신 남이 분기점 으로 진입한 후 중부고속도로 청주강서IC 로 진출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문의해야 한다.
↑ 하차만 가능하다.
↑ 구미에서 1시간 전에 먼저 출발한 후 동대구를 5~7분 경유한 후에 목포로 가는 방식이다. 따라서 구미 출발 후 고속도로 체증이 발생하면, 터미널에서 지연 출발한다고 공지한다.
↑ 2014년 12월 18일부터 동대구 - 내서, 마산 노선이 진해로 연장 개통.
↑ 일부 시간대에 방어진 까지 연장 운행했다. 그러나 코로나19의 강타 이후 방어진 연장 구간은 운휴에 들어갔다가, 방어진시외버스정류장 의 영업이 중지되면서 자연히 폐지됐다.
↑ 2014년 7월 11일 부터 고속버스 로 전환되었다. 심야 출발편은 김해국제공항 에만 있다.
↑ 코로나19 이후 현재는 고속도로 경유 시외버스 노선만 운행 중이다. 경산버스 에서 운행한 24번 국도 완통 노선(경산, 청도 경유)은 코로나19 이후 경산 으로 단축됐으며, 동대구 출발이나 경산 출발이나 모두 승차권은 밀양시 산내면 남명리까지만 발권이 가능하다.
↑ 동대구발은 언양 까지 승차할 수 있으나, 반대편인 언양 에서는 경산 까지 승차가 가능하다. 언양 에서 출발하여 대구로 가려면, 언양읍 옆의 삼남읍 에 있는 울산역 으로 가야 한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