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2022-23 UEFA Champions League)는 유럽 축구 연맹(UEFA)의 최상위 클럽 축구 대회인 유럽 축구 연맹(UEFA)의 최상위 클럽 축구 대회인 UEFA 챔피언스리그의 68번째 시즌으로, 대회 명칭이 유러피언컵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로 바뀐 이후의 31번째 시즌이다. 결승전은 튀르키예이스탄불에 위치한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나라별 유럽 대회 참가 팀 수 배분
축구 협회 순위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활용된 순위는 2021년 UEFA 계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2016-17 시즌부터 2021-22 시즌까지의 성적을 반영하였다.[1][2] 이번 대회부터 국가 축구 협회별로 배분 기준안이 변경되어서 적용될 것이며 상위 4개 국가 리그들은 각 나라별로 상위 4팀씩 본선 직행 티켓을 얻는다.
국가 리그 1–4 각 4팀들 본선 직행.
국가 리그 5–6 각 최대 3팀들 본선 진출.
국가 리그 7–15 각 최대 2팀들 본선 진출.
국가 리그 16–55 (리히텐슈타인 제외) 각 1팀씩 예선부터 참가.
지난 시즌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과 지난 시즌 유로파리그 우승 팀은 챔피언스리그 본선에 직행한다.
2022-23년 시즌에서 러시아를 참가금지로 제제하고, 챔피언스리그 우승팀(리버풀 또는 레알 마드리드)이 자국 리그를 통해서 리그 성적상 챔피언스리그 본선 조별리그에 직행진출하므로, 참가팀 목록에 다음 변화들이 적용된다.:
11순위 국가(스코틀랜드)와 12순위 국가(우크라이나) 리그 우승팀이 플레이오프 예선 대신 본선 조별 리그에 직행한다.(우승팀 길)
13순위 국가(터키)와 14순위 국가(덴마크) 리그 우승팀이 3차예선 대신 플레이오프 예선에 진입한다.(우승팀 길)
15순위 국가(키프로스)와 16순위 국가(세르비아) 리그 우승팀이 2차예선 대신 3차예선에 진입한다.(우승팀 길)
18순위 국가(크로아티아), 19순위 국가(스위스), 20순위 국가(그리스)와 21순위 국가(이스라엘) 리그 우승팀들이 1차예선 대신 2차예선에 진입한다.(우승팀 길)
10순위 국가(오스트리아)와 11순위 국가(스코틀랜드) 리그 2위팀들이 2차예선 대신 3차예선에 진입한다.(리그 길)
이 단계에서 시작하는 팀들
이전 단계에서 올라온 팀들
예비 예선 (4개팀)
국가 리그 랭킹 52~55위 4개 리그 중 각 1위 팀
1차 예선 (32개팀)
국가 리그 랭킹 22~51위 29개 리그 중 각 1위 팀 (리히텐슈타인 제외)
예비 예선 4개 팀 중 최종승자 1팀
2차 예선
우승 팀 루트 (20개 팀)
국가 리그 랭킹 17~19위 3개 리그 우승 팀 3팀
1차 예선에서 승계 승격 (우승팀 루트) 국가 리그 랭킹 20~21위 리그 우승 팀 2팀
1차 예선 32개 팀 중 16개 승자 팀
리그 루트 (6개팀)
국가 리그 랭킹 12~15위 4개 리그 중 각 2위 팀
3차 예선
우승 팀 루트 (12개 팀)
국가 리그 랭킹 15위 1개 리그 우승 팀 1팀
2차 예선에서 승계 승격 (우승팀 루트) 국가 리그 랭킹 16위 리그 우승 팀 1팀
2차 예선 20개팀 중 10개 승자 팀
리그 루트 (8개팀)
국가 리그 랭킹 7~11위 4개 리그 중 각 2위 팀 {8순위 러시아 제외)
국가 리그 랭킹 5~6위 2개 리그 중 각 3위 팀
3차 예선 리그 루트 6개 팀 중 2개 승자 팀
플레이오프
우승 팀 루트 (8개팀)
국가 리그 랭킹 13위 1개 리그 우승 팀 1팀
3차 예선에서 승계 승격 (우승팀 루트) 국가 리그 랭킹 14위 리그 우승 팀 1팀
3차 예선 우승 팀 루트 12개 팀 중 6개 승자 팀
리그 루트 (4개팀)
플레이오프(리그 루트) 직행팀 없음
3차 예선 리그 루트 8개 팀 중 4개 승자 팀
조별리그 (32개팀들)
사용 안함챔피언스리그 디펜딩 챔피언
플레이오프에서 승계 승격 (우승팀 루트) 국가 리그 랭킹 12위 리그 우승 팀 1팀
유로파리그 우승팀
국가 리그 랭킹 1~11위 10개 리그 중 각 우승 팀 (8순위 러시아 제외)
국가 리그 랭킹 1~6위 6개 리그 중 각 2위 팀
국가 리그 랭킹 1~4위 4개 리그 중 각 3위 팀
국가 리그 랭킹 1~4위 4개 리그 중 각 4위 팀
플레이오프 우승 팀 루트 10개팀 중 4개 승자팀
플레이오프 리그 루트 10개팀 중 2개 승자팀
토너먼트 단계 (16개 팀들)
조별 리그(A~H) 8개 조의 1위 팀
조별 리그(A~H) 8개 조의 2위 팀
참가 팀들
참가 팀들은 각국 리그의 이전 시즌에서 성적에 근거하였다. (CL: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 EL: 유로파리그 우승 팀).[3]
2022-23년 시즌에서 러시아를 참가금지로 제제하고 2021-22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리버풀과 레알 마드리드)이 자국 리그에서 챔피언스리그 본선 직행 티켓을 확보할 것이어서, 참가팀 목록에 다음 변화들이 적용된다.:
11순위 국가(스코틀랜드)와 12위 국가(우크라이나) 1위팀이 플레이오프 예선 대신 본선 조별 리그에 직행한다.
13순위 국가(터키)와 14위 국가(덴마크) 리그 우승팀이 3차예선 대신 플레이오프 예선에 진입한다.
15순위 국가(키프로스)와 16위 국가(세르비아) 리그 우승팀이 2차예선 대신 3차예선에 진입한다.
18순위 국가(크로아티아), 19순위 국가(스위스), 20순위 국가(그리스)와 21순위 국가(이스라엘) 리그 우승팀들이 1차예선 대신 2차예선에 진입한다.
10순위 국가(오스트리아)와 11순위 국가(스코틀랜드) 리그 2위팀들이 2차예선 대신 3차예선에 진입한다.
2021-22년 UEFA 유로파리그 우승 팀이 자국 리그에서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티켓을 확보하면, 아래 순서대로 챔피언스리그 참가권을 1단계씩 승급하여 승계한다.
리그 랭킹 12위 국가(우크라이나)와 13위 국가(터키) 각 2위 팀들이 2차예선을 건너뛰고 3차예선에 진출한다.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 또는 유로파리그 우승 팀이 자국 리그에서 예선 참가권 취득 성적을 기록하면, 그 팀의 유럽 대회의 예선 참가권 자리는 비워지고, 하위 단계에서 시작하는 다음 높은 순위의 국가 리그 소속 팀들이 바로 상위 단계로 순차적으로 승격한다.(예선 참가권 빈 자리를 순차적으로 승계한다.)
모든 국가 축구 협회들은 각 국가 리그당 최대 5개 팀까지만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할 수 있다.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이 자국 리그에서 본선 직행권이나 예선 참가권을 확보하지 못하면, 소속 국가 리그 챔피언스리그 참가 팀들 중 최하 순위 팀이 무조건 유로파리그로 밀려난다.)
대회 진입 단계에 따른 참가 팀 명단 (coefficient UEFA entre parenthèses)
결선 토너먼트에서, 팀들은 결승전(중립지역에서 단판경기)을 제외하고 홈앤드어웨이 방식으로 단계별로 2팀씩 총 2경기씩 치른다. 각 라운드 당 대진추첨 방식은 아래와 같다.:
16강전에서, 8개 각조 1위팀들 8팀이 시드 배정을 받고, 8개 각조 2위팀들 8팀이 비시드 배정 받는다. 시드 팀들은 비시드 팀들과 맞대결하게 되고, 시드팀들은 2차전에서 홈경기를 개최할 것이다. 조별리그에서 같은 조였던 팀들이나 같은 국가리그 소속팀들은 맞대결하지 아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