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파라과이의 기 파라과이
별칭La Albirroja (하양과 빨강)
협회파라과이 축구 협회 (APF)
대륙 연맹남미 축구 연맹
감독아르헨티나 구스타보 알파로
주장구스타보 고메스
최다 출전자파울로 다 실바 (148)
최다 득점자로케 산타 크루스 (32)
홈 구장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
FIFA 코드PAR
FIFA 랭킹
현재56위
(2024년 4월 4일 기준)
최고 순위8위 (2001년 3월)
최저 순위103위 (1995년 5월)
첫 국제 경기 출전
파라과이 1 - 5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아순시온; 1919년 3월 11일)
최다 점수차 승리
파라과이 7 - 0 볼리비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1949년 4월 30일, 1949년 CONMEBOL 챔피언십)
홍콩 0 - 8 파라과이
(홍콩; 2010년 11월 17일)
최다 점수차 패배
아르헨티나 8 - 0 파라과이
(칠레 산티아고; 1926년 10월 20일, 1926년 CONMEBOL 챔피언십)
FIFA 월드컵
출전 횟수8회 (1930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8강 (2010년)
코파 아메리카
출전 횟수38회 (1921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우승 (1953년, 1979년)
메달 기록
남자 축구
하계 올림픽
2004 아테네 단체전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어: Selección de fútbol de Paraguay)은 파라과이를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 대표팀이며 파라과이 축구 협회의 관리하에 있다. '하양과 빨강'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는 팀으로 홈 구장은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이며 1919년 3월 11일 아순시온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의 홈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1-5로 대패했다.

국제 대회 경력

월드컵 본선에는 8번 출전하여 이 중 4번의 대회(1986년, 1998년, 2002년, 2010년)에서 16강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고 이 중 2010년 대회에서 8강에 오르며 파라과이 축구 역사상 월드컵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코파 아메리카에는 36번 출전하여 이 중 2번의 대회(1953년, 1979년)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6번의 대회(1922년, 1929년, 1947년, 1949년, 1963년, 2011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는데 특히 2011년 대회에서 5무 1패의 성적으로 준우승을 차지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하계 올림픽 본선에는 U-23 대표팀으로만 2번 출전하여 이 중 2004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단 한번도 올림픽 본선 무대를 밟은 적이 없다.

팬아메리칸 게임에는 5번 출전하여 이 중 1995년 대회에서 8강에 이름을 올렸고 나머지 4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국제대회 기록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우루과이 1930년 조별리그 9위 2 1 0 1 1 3 3 자동참가
이탈리아 왕국 1934년 불참 불참
프랑스 1938년
브라질 1950년 조별리그 11위 2 0 1 1 2 4 1 자동진출(페루, 에콰도르 기권)
스위스 1954년 예선 탈락 2위 4 2 0 2 8 6 6
스웨덴 1958년 조별리그 12위 3 1 1 1 9 12 4 3조 1위 4 3 0 1 11 4 9
칠레 1962년 예선 탈락 플레이오프 패 2 0 1 1 0 1 1
잉글랜드 1966년 3조 2위 4 1 1 2 3 5 4
멕시코 1970년 2조 2위 6 4 0 2 6 5 12
서독 1974년 2조 2위 4 2 1 1 8 5 7
아르헨티나 1978년 1조 2위 4 1 2 1 3 3 5
스페인 1982년 3조 3위 4 1 0 3 3 6 3
멕시코 1986년 16강 13위 4 1 2 1 4 6 5 3조 2위 8 3 3 2 14 8 12
이탈리아 1990년 예선 탈락 2조 2위 4 2 0 2 6 7 6
미국 1994년 1조 3위 6 1 4 1 6 7 7
프랑스 1998년 16강 14위 4 1 2 1 3 2 5 2위 16 9 2 5 21 14 29
대한민국일본 2002년 16강 16위 4 1 1 2 6 7 4 4위 18 9 3 6 29 23 30
독일 2006년 조별리그 18위 3 1 0 2 2 2 3 4위 18 8 4 6 23 23 28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8강 8위 5 1 3 1 3 2 6 3위 18 10 3 5 24 16 33
브라질 2014년 예선 탈락 9위 16 3 3 10 17 31 12
러시아 2018년 7위 18 7 3 8 19 25 24
카타르 2022년 8위 18 3 7 8 12 26 16
캐나다멕시코미국 2026년 미정 진행중
모로코포르투갈스페인
월드컵 100주년(아르헨티나파라과이우루과이) 2030년
자동 본선 진출 자동참가(개최국)
합계 8회 진출(8/21) 8강(1회) 27 7 10 10 30 38 31 합계 154 66 30 58 201 189 228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24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24위 (남미 4위)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아르헨티나 1916년 비회원국
우루과이 1917년
브라질 1919년
칠레 1920년
아르헨티나 1921년 결선리그 4위 3 1 0 2 2 7 3
브라질 1922년 결선리그 2위 5 2 1 2 5 6 7
우루과이 1923년 결선리그 3위 3 1 0 2 4 6 3
우루과이 1924년 결선리그 3위 3 1 1 1 4 4 4
아르헨티나 1925년 결선리그 3위 4 0 0 4 4 13 0
칠레 1926년 결선리그 4위 4 1 0 3 8 20 3
페루 1927년 기권
아르헨티나 1929년 결선리그 2위 3 2 0 1 9 4 6
페루 1935년 기권
아르헨티나 1937년 결선리그 4위 5 2 0 3 8 16 6
페루 1939년 결선리그 3위 4 2 0 2 9 8 6
칠레 1941년 기권
우루과이 1942년 결선리그 4위 6 2 2 2 11 10 8
칠레 1945년 기권
아르헨티나 1946년 결선리그 3위 5 2 1 2 8 8 7
에콰도르 1947년 결선리그 준우승 7 5 1 1 16 11 16
브라질 1949년 결선리그 준우승 8 6 0 2 21 13 18
페루 1953년 결선리그 우승 7 4 2 1 14 8 14
칠레 1955년 결선리그 5위 5 1 1 3 7 14 4
우루과이 1956년 결선리그 5위 5 0 2 3 3 8 2
페루 1957년 기권
아르헨티나 1959년 결선리그 3위 6 3 0 3 12 12 9
에콰도르 1959년 결선리그 5위 4 0 1 3 6 11 1
볼리비아 1963년 결선리그 준우승 6 4 1 1 13 7 13
우루과이 1967년 결선리그 4위 5 2 0 3 9 13 6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1975년 예선탈락 7위 4 1 1 2 5 5 4
1979년 우승 1위 9 4 4 1 13 7 16
1983년 4강 3위 2 0 2 0 1 1 2
아르헨티나 1987년 예선탈락 9위 2 0 1 1 0 3 1
브라질 1989년 4강 4위 7 3 1 3 9 10 10
칠레 1991년 예선탈락 6위 4 2 0 2 7 8 6
에콰도르 1993년 8강 8위 4 1 1 2 2 7 4
우루과이 1995년 8강 6위 4 2 1 1 6 5 7
볼리비아 1997년 8강 7위 4 1 1 2 2 5 4
파라과이 1999년 8강 6위 4 2 2 0 6 1 8
콜롬비아 2001년 예선탈락 10위 3 0 2 1 4 6 2
페루 2004년 8강 5위 4 2 1 1 5 5 7
베네수엘라 2007년 8강 5위 4 2 0 2 8 8 6
아르헨티나 2011년 준우승 2위 6 0 5 1 5 8 5
칠레 2015년 4강 4위 6 1 3 2 6 12 6
미국 2016년 예선탈락 13위 3 0 1 2 1 3 1
브라질 2019년 8강 8위 4 0 3 1 3 4 3
미국 2024년 예선탈락 14위 3 0 0 3 3 8 0
합계 37회 진출(37/46) 우승(2회) 175 62 42 71 259 305 228
순위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순위 : 4위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프랑스 1900년 불참
미국 1904년
영국 1908년
스웨덴 1912년
벨기에 1920년
프랑스 1924년
네덜란드 1928년
나치 독일 1936년
영국 1948년
핀란드 1952년
오스트레일리아 1956년 진출 실패
이탈리아 1960년
일본 1964년
멕시코 1968년
서독 1972년
캐나다 1976년
소련 1980년 불참
미국 1984년 진출 실패
대한민국 1988년
스페인 1992년[1] 8강 6위 4 1 2 1 5 5 5
미국 1996년[2] 진출 실패
오스트레일리아 2000년[3]
그리스 2004년[4] 은메달 준우승 6 4 0 2 12 9 12
중화인민공화국 2008년[5] 진출 실패
영국 2012년[6]
브라질 2016년[7]
합계 2회 진출(2/26) 은메달(1회) 10 5 2 3 17 14 17
팬아메리칸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아르헨티나 1951년 결선리그 4위 4 1 0 3 5 14 3
멕시코 1955년 불참
미국 1959년
브라질 1963년
캐나다 1967년
콜롬비아 1971년
멕시코 1975년
푸에르토리코 1979년
베네수엘라 1983년
미국 1987년 조별리그 9위 3 0 2 1 1 8 2
쿠바 1991년 불참
아르헨티나 1995년 8강 7위 4 2 0 2 4 3 6
캐나다 1999년 진출 실패
도미니카 공화국 2003년 조별리그 5위 3 1 0 2 3 4 3
브라질 2007년 진출 실패
멕시코 2011년
캐나다 2015년 조별리그 5위 3 1 1 1 6 3 4
합계 5회 진출(5/17) 8강(1회) 17 5 3 9 19 32 18

선수단

최근 선수 명단

일자: 2022년 6월 2일, 10일
종류: 일본,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

번호 위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전 득점 소속
GK 안토니 실바 1984년 2월 27일(1984-02-27)(41세) 52 0 멕시코 푸에블라
GK 후안 에스피놀라 1994년 11월 2일(1994-11-02)(30세) 0 0 아르헨티나 고도이 크루스
DF 구스타보 고메스 (주장) 1993년 5월 6일(1993-05-06)(32세) 60 4 브라질 파우메이라스
DF 후니오르 알론소 1993년 2월 9일(1993-02-09)(32세) 48 2 브라질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DF 파비안 발부에나 1991년 8월 23일(1991-08-23)(33세) 27 0 러시아 디나모 모스크바
DF 산티아고 아르사멘디아 1998년 5월 5일(1998-05-05)(27세) 22 0 스페인 카디스
DF 오마르 알데레테 1996년 12월 26일(1996-12-26)(28세) 11 0 스페인 발렌시아
DF 다비드 마르티네스 1998년 1월 21일(1998-01-21)(27세) 10 1 아르헨티나 리버 플레이트
DF 블라스 리베로스 1998년 2월 3일(1998-02-03)(27세) 10 0 덴마크 브뢴뷔
MF 오스카르 로메로 1992년 7월 4일(1992-07-04)(32세) 57 4 아르헨티나 보카 주니어스
MF 미겔 알미론 1994년 2월 10일(1994-02-10)(31세) 44 4 잉글랜드 뉴캐슬 유나이티드
MF 리차르드 산체스 1996년 3월 29일(1996-03-29)(29세) 29 1 멕시코 아메리카
MF 마티아스 비야산티 1997년 1월 24일(1997-01-24)(28세) 23 0 브라질 그레미우
MF 안드레스 쿠바스 1996년 5월 22일(1996-05-22)(28세) 9 0 캐나다 밴쿠버 화이트캡스
MF 호르헤 모렐 1998년 1월 22일(1998-01-22)(27세) 9 0 아르헨티나 에스투디안테스
MF 헤수스 메디나 1997년 4월 30일(1997-04-30)(28세) 2 0 러시아 CSKA 모스크바
MF 마티아스 갈라르사 2002년 2월 11일(2002-02-11)(23세) 0 0 브라질 코리치바
FW 앙헬 로메로 1992년 7월 4일(1992-07-04)(32세) 41 8 멕시코 크루스 아술
FW 가브리엘 아발로스 1990년 10월 12일(1990-10-12)(34세) 6 1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FW 세바스티안 페레이라 1998년 2월 13일(1998-02-13)(27세) 1 0 미국 휴스턴 다이너모

최다 출전 선수

  현역 선수는 강조 표시가 되어있다.

2021년 6월 24일 기준

# 이름 기간 출장
1 파울로 다 실바 2000–2017 148 3
2 후스토 비야르 1999–2018 120 0
3 로케 산타 크루스 1999–2016 112 32
4 카를로스 가마라 1993–2006 110 12
5 크리스티안 리베로스 2005–2018 101 16
6 로베르토 아쿠냐 1993–2011 100 5
데니스 카니사 1996–2010 100 1
8 셀소 아얄라 1993–2003 85 6
9 호세 카르도소 1991–2006 82 25
10 카를로스 보네트 2002–2013 80 1

최다 득점 선수

  현역 선수는 강조 표시가 되어있다.

2021년 6월 24일 기준

# 선수 경력 출장 골평균
1 로케 산타 크루스 1999–2016 32 112 0.29
2 호세 카르도소 1991–2006 25 82 0.3
3 크리스티안 리베로스 2005–2018 16 101 0.16
4 사투르니노 아루아 1969–1980 13 26 0.5
훌리오 세사르 로메로 1979–1986 13 32 0.41
넬손 아에도 발데스 2004–2017 13 77 0.17
7 카를로스 가마라 1993–2006 12 110 0.11
오스카르 카르도소 2006–현재 12 54 0.22
9 로베르토 카바냐스 1981–1993 11 28 0.39
미겔 앙헬 베니테스 1996–1999 11 29 0.38

역대 감독

감독 임기
파라과이 마누엘 플레이타스 솔리치 1922 ~ 1929
파라과이 마누엘 플레이타스 솔리치 1939
파라과이 마누엘 플레이타스 솔리치 1942
파라과이 마누엘 플레이타스 솔리치 1945 ~ 1946
파라과이 아우렐리오 곤살레스 1946 ~ 1947
파라과이 마누엘 플레이타스 솔리치 1947 ~ 1953
파라과이 아우렐리오 곤살레스 1955 ~ 1959
파라과이 아우렐리오 곤살레스 1965 ~ 1974
브라질 파울루 아마라우 1973
파라과이 카예타노 레 1985 ~ 1987
우루과이 세르히오 마르카리안 1992 ~ 1993
헝가리스페인카탈루냐 쿠벌러 라슬로 1995
우루과이 세르히오 마르카리안 1999 ~ 2002
이탈리아 체사레 말디니 2001 ~ 2002
우루과이 아니발 루이스 2002 ~ 2006
아르헨티나 헤라르도 마르티노 2006 ~ 2011
파라과이 프란시스코 아르세 2011 ~ 2012
아르헨티나 라몬 디아스 2014 ~ 2016
파라과이 프란시스코 아르세 2016 ~ 2017
콜롬비아 후안 카를로스 오소리오 2018 ~ 2019
아르헨티나 에두아르도 베리소 2019 ~ 2021
아르헨티나 기예르모 바로스 스켈로토 2021 ~ 2023
아르헨티나 구스타보 알파로 2024 ~

각주

  1.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3.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4.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5.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6.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7.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