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 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 에서 나누어 주세요.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大邱外郭循環高速道路, 고속국도 제700호선)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를 기점으로, 대구광역시 동구 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이다. 2014년 3월 10일 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2년 3월 31일에 개통하였다. 대구 4차순환선 의 일부를 구성하며, 고속도로 임에도 고속도로 설계가 아닌 일반도로 설계를 적용하였다. 제한 최고 속도도 시속 80km로 설계되어 있다.
역사
2013년 11월 5일 : 대구광역시 달서구 ~ 대구광역시 동구 구간을 고속국도 제700호선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대구외곽순환선)로 지정[ 1]
2014년 3월 10일 : 전 구간 착공[ 2]
2014년 6월 3일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오산리 ~ 대구광역시 동구 상매동 21.65 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3]
2014년 9월 12일 : 2020년 12월까지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5.1 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4]
2014년 12월 26일 : 2020년까지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오산리 5.65 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5]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종점을 '대구광역시 동구 상매동'으로 명시[ 6]
2016년 1월 14일 : 2020년까지 스마트톨링 도입으로 인해 본선요금소 설치 제외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5.1 km 구간[ 7]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오산리 ~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 21.65 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8]
2016년 8월 31일 : 2020년 12월까지 1~7공구 스마트톨링 도입 및 파군재교량 재설계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 동구 신평동 32.42 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9]
2017년 9월 12일 : 2020년 12월까지 6공구 측백수림 통과 구간 노선 변경을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 동구 부동 32.42 km 구간을 32.52 km 로 도로구역 변경[ 10]
2019년 5월 24일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사업 시행기간을 2014년 3월부터 2021년 12월까지로 명기[ 11]
2022년 3월 31일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전 구간 개통.[ 12] [ 13]
나들목 및 분기점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휴게소 (Service Area)를 뜻한다.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연한 분홍색(■ ): 고속도로 가 아닌 대구광역시도 및 호국로 중첩 구간[ 14]
주요 통과지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 - 서변동 - 동변동 - 연경동) - 동구 (지묘동 - 봉무동 - 도동 - 둔산동 - 부동 - 신평동 - 상매동)
같이 보기
각주
↑ 대통령령 제24834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 2013년 11월 5일 일부개정.
↑ 함양~울산·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10일 착공 《아시아경제》 2014년 3월 10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313호 , 2014년 6월 3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509호 , 2014년 9월 12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796호 , 2014년 12월 26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호 , 2016년 1월 14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3호 , 2016년 1월 14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565호 , 2016년 8월 31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581호 , 2017년 9월 12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252호 , 2019년 5월 24일.
↑
대구4차순환도로 착공 14년 만에 31일 완전개통 출처 : 매일신문
↑ 국토교통부공고 제2022-331호 , 2022년 3월 29일.
↑ 단, 도로명주소 상으로는 호국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중첩 구간이다.
¹: 고속도로가 아닌 대구광역시도 및 호국로 와 중첩되는 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