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완주고속도로 (順天完州高速道路, 고속국도 제27호선)는 전라남도 순천시 를 기점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을 종점으로 하여 호남 내륙 지역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이다. 2004년 에 착공하였으며, 2010년 부분 개통을 시작으로 2011년 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기존 전라선 철도와 국도 제17호선 으로만 존재하였던 전주시 - 완주군 - 임실군 - 남원시 - 구례군 - 순천시 - 광양시 축의 노선을 고속도로로 이은 것으로, 광주광역시 로 우회하는 기존 노선의 호남고속도로 를 보완하여 호남 내륙 지역의 교통량의 분산과 호남 내륙 지역의 접근성을 높이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특히 고속도로가 통과하지 않았던 구례군 , 임실군 일대에는 순천완주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고속도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남원, 광양, 순천, 여수 지역으로 가는 고속버스들이 논산천안고속도로 정안 환승 터미널을 거쳐갈 수 있게 되었다.
역사
구성
차로수
총 연장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
터널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태방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왕지동
905m
2011년
완주 방면
893m
순천 방면
서면1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지본리
1,687m
2011년
완주 방면
1,682m
순천 방면
서면2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판교리
1,049m
2011년
서면3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청소리
337m
2011년
완주 방면
354m
순천 방면
서면4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청소리
475m
2011년
완주 방면
479m
순천 방면
서면5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청소리
2,308m
2011년
완주 방면
2,290m
순천 방면
황전1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평촌리
1,517m
2011년
완주 방면
1,453m
순천 방면
황전2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내구리
420m
2011년
완주 방면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모전리
400m
순천 방면
황전3터널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비촌리
895m
2011년
완주 방면
877m
순천 방면
구례1터널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신월리
1,625m
2011년
완주 방면
1,655m
순천 방면
구례2터널
전라남도 구례군 용방면 사림리
1,313m
2011년
완주 방면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산성리
1,311m
순천 방면
용방1터널
전라남도 구례군 용방면 죽정리
125m
2011년
완주 방면
전라남도 구례군 용방면 신도리
순천 방면
용방2터널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이평리
1,310m
2011년
완주 방면
전라남도 구례군 용방면 죽정리
1,295m
순천 방면
천마터널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수지면 유암리
3,987m
2011년
완주 방면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둔사리
3,944m
순천 방면
사매1터널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사매면 계수리
1,004m
2010년(전), 2020년(후)
완주 방면
1,123m
순천 방면
사매2터널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사매면 계수리
712m
2010년(전), 2020년(후)
완주 방면
726m
순천 방면
사매3터널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467m
2010년(전), 2020년(후)
완주 방면
474m
순천 방면
사매4터널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202m
2010년(전), 2020년(후)
완주 방면
517m
순천 방면
오수1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삼계면 삼은리
1,274m
2010년(전), 2020년(후)
완주 방면
1,281m
순천 방면
오수2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성수면 봉강리
850m
2010년
완주 방면
823m
순천 방면
관촌1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492m
2010년
완주 방면
469m
순천 방면
관촌2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401m
2010년
완주 방면
420m
순천 방면
성미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55m
2010년
슬치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1,189m
2010년
완주 방면
1,172m
순천 방면
용암1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용암리
529m
2010년
완주 방면
549m
순천 방면
용암2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용암리
551m
2010년
완주 방면
545m
순천 방면
용암3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용암리
231m
2010년
완주 방면
232m
순천 방면
용암4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용암리
1,113m
2010년
완주 방면
1,125m
순천 방면
죽림1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죽림리
656m
2010년
완주 방면
644m
순천 방면
죽림2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죽림리
254m
2010년
완주 방면
235m
순천 방면
죽림3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죽림리
499m
2010년
완주 방면
495m
순천 방면
신리1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신리
171m
2010년
완주 방면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죽림리
104m
순천 방면
신리2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신리
864m
2010년
완주 방면
885m
순천 방면
신리3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상관면 신리
593m
2010년
완주 방면
623m
순천 방면
완산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
591m
2010년
완주 방면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색장동
617m
순천 방면
덕진1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
1,054m
2010년
완주 방면
1,022m
순천 방면
덕진2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금상동
158m
2010년
덕진3터널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금상동
124m
2010년
교량
완주분기점→동순천IC
구억교
학선천교
소양천1교
금상2교
동전주IC교
금상1교
우아2교
색장교
상관2교
상관1교
수월2교
상관IC2교
내정교
죽림온천교
용암교
오원천교
덕촌2교
덕촌1교
도봉교
중금교
성수교
월평교
삼청2교
봉강2교
군평교
오수교
둔남천교
어은교
어은천교
오수천교
길곡교
대곡교
남원JCT1교
정송교
대곡천교
송내천교
송동교
수지교
산정교
유암교
둔사교
죽정교
신도2교
신도1교
상용교
사림교
백련천교
산수교
섬진대교
용림천교
선변교
황전천교
금평교
대치교
모전2교
모전1교
저촌천교
평촌천교
청소4교
청소3교
청소2교
청소1교
판교2교
판교1교
서면교
순천JCT교
대동교
덕례교
복성교
나들목 · 분기점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거리의 단위는 km 이다.
주요 통과지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사건사고
같이 보기
각주
↑ 대통령령 제17794호 , 2002년 12월 5일 일부개정.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224호 , 2004년 9월 1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4-455호 , 2004년 12월 30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109호 , 2009년 11월 30일.
↑ 국토해양부공고 제2010-1032호 , 2010년 12월 23일.
↑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 2010년 12월 28일.
↑ 국토해양부공고 제2011-59호 , 2011년 1월 28일.
↑ 국토해양부공고 제2011-351호 , 2011년 4월 25일.
↑ 국토해양부공고 제2012-1071호 , 2012년 8월 10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 2015년 3월 27일.
외부 링크
순천완주고속도로
철도
고속도로
일반도로
주요 간선도로
버스
* : 행정구역 상 구례군에 위치하지 않는 시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