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
19-2 
|
1997년 ~ 2001년
|
노선명 |
부산대구고속도로지선 (고속국도 제19-2호선)
|
기점 |
경상남도 김해시
|
종점 |
경상남도 양산시
|
중앙고속도로지선 남양산 나들목 부근
중앙고속도로의지선(中央高速道路의支線, 고속국도 제551호선)은 경상남도 김해시를 기점으로, 양산시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며 중앙고속도로의 지선이다.
초기에는 고속국도 제19-2호선 부산대구고속도로지선으로 준공되었으나, 2001년 8월 25일 노선체계 변경으로 고속국도 제551호선 중앙고속도로지선으로 노선번호와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후 중앙고속도로 대동 분기점 ~ 동대구 분기점의 개통으로 인한 교통량 증가로 인하여 2014년 12월까지 확장 공사 및 김해 분기점 ~ 대동 분기점 구간 신설 공사가 진행되어 2014년 12월 22일에 완전 개통되었다.
역사
- 1992년 4월 29일 : 경상남도 김해군 대동면 ~ 양산군 양산읍 구간을 고속국도 제19호의2호선 부산 ~ 대구고속도로지선(부산 ~ 대구선의 지선)으로 지정[1]
- 1992년 5월 18일 : 부산 ~ 대구고속도로지선 대동 ~ 양산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양산군 동면 석산리 ~ 김해군 대동면 월촌리 5.537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
- 1994년 1월 14일 : 양산 나들목 국도 접속부를 입체화 하기 위해 경상남도 양산군 양산읍 석산리 8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 1996년 3월 22일 : 1997년 12월까지 양산 나들목 국도 접속부를 입체화 하기 위해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석산리 9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 1996년 5월 1일 : 남양산 나들목 ~ 양산 분기점 2.0km 구간 개통[5][6]
- 1996년 6월 28일 : 대동 분기점 ~ 남양산 나들목 6.4km 구간 개통[7]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경상남도 김해군 대동면'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으로, 종점을 '경상남도 양산군 양산읍'에서 '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으로 변경.[8]
- 2001년 8월 25일 : 고속국도 제551호선 중앙고속도로지선(중앙선의 지선)으로 변경.[9]
- 2008년 7월 16일 : 냉정 ~ 부산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 양산시 동면 석산리 17.1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 2009년 2월 : 대동 분기점 ~ 양산 분기점 구간 (8.2km) 왕복 6차로 확장공사 착공 및 김해 분기점 ~ 대동 분기점 구간 (10km) 왕복 4차로 착공
-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대동 분기점부터 양산 분기점까지 8.2km 구간을 중앙지선고속도로로 고시[11]
- 2014년 12월 16일 : 김해 분기점 ~ 대동 분기점 9.2km 구간 왕복 4차로 신설 연장 개통 및 대동 분기점 ~ 양산 분기점 6.5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개통[12][13]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 종점을 '경상남도 양산시 남부동'으로 명시[14]
구성
- 차로수
- 총 연장
- 제한 속도
터널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대동1터널
|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
1,994m |
2014년 |
양산 방면
|
1,944m |
김해 방면
|
대동2터널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주동리 |
1,139m |
2014년 |
양산 방면
|
1,149m |
김해 방면
|
대동3터널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예안리 |
1,300m |
2014년 |
양산 방면
|
1,295m |
김해 방면
|
나들목 · 분기점
- 번호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주요 통과지
- 경상남도
같이 보기
각주
- ↑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92년 4월 29일 일부개정.
- ↑ 건설부고시 제1992-235호, 1992년 5월 18일.
- ↑ 건설부고시 제1994-7호, 1994년 1월 14일.
-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94호, 1996년 3월 22일.
-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6-131호, 1996년 4월 30일.
- ↑ [1]
-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6-189호, 1996년 6월 27일.
- ↑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96년 7월 1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2001년 5월 24일 전부개정.
-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318호, 2008년 7월 16일.
- ↑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2010년 12월 28일.
- ↑ 국토교통부공고 제2014-1547호, 2014년 12월 12일.
- ↑ 김해서 부산 양산 3개 고속도로 개통으로 교통난 해소 보관됨 2019-12-06 - 웨이백 머신 뉴시스 2014년 12월 15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2015년 3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