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전라남도
|
|
|
|
이 문서는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의 전라남도 지역 개표 결과이다.
개표 결과
목포시
여수시
순천시
나주시
광양시
담양군
장성군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완도군
해남군
진도군
영암군
무안군
영광군
함평군
신안군
전체 결과
|
유권자수: 1,521,109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노무현 |
새천년민주당 |
1,070,506표 |
|
|
|
|
이회창 |
한나라당 |
53,074표 |
|
|
|
|
권영길 |
민주노동당 |
12,215표 |
|
|
|
|
김길수 |
국태민안호국당 |
6,707표 |
|
|
|
|
이한동 |
하나로국민연합 |
2,830표 |
|
|
|
|
김영규 |
사회당 |
988표 |
|
|
|
합계
|
1,146,320표 |
|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93.38%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전라남도에서의 압승을 거두었다. 이로써 민주당계 정당은 1987년 민주화 이후에 치러진 모든 대선에서 전라남도에서 9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기록을 이어나갔다.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는 4.62%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5% 미만의 득표율을 올렸지만 지난 대선 당시의 득표율과 비교했을 때 미약하게 득표율이 상승했다.
주요 후보 결과
지역
|
이회창
|
노무현
|
목포시
|
3,725 (2.91%)
|
122,517 (95.91%)
|
여수시
|
7,060 (4.24%)
|
155,802 (93.76%)
|
순천시
|
5,891 (4.10%)
|
135,391 (94.27%)
|
나주시
|
2,270 (3.69%)
|
57,903 (94.34%)
|
광양시
|
6,871 (9.71%)
|
62,065 (87.77%)
|
담양군
|
1,328 (4.12%)
|
30,132 (93.65%)
|
장성군
|
1,696 (5.35%)
|
29,344 (92.69%)
|
곡성군
|
1,166 (5.11%)
|
20,901 (91.76%)
|
구례군
|
1,061 (5.50%)
|
17,816 (92.42%)
|
고흥군
|
3,225 (5.85%)
|
50,793 (92.21%)
|
보성군
|
1,755 (5.01%)
|
32,523 (92.92%)
|
화순군
|
1,645 (3.70%)
|
41,931 (94.39%)
|
장흥군
|
1,420 (4.84%)
|
27,205 (92.80%)
|
강진군
|
1,761 (6.52%)
|
24,650 (91.28%)
|
완도군
|
1,470 (3.97%)
|
34,814 (94.11%)
|
해남군
|
2,325 (4.41%)
|
49,256 (93.62%)
|
진도군
|
975 (4.27%)
|
21,318 (93.47%)
|
영암군
|
2,122 (5.81%)
|
33,155 (90.85%)
|
무안군
|
1,518 (3.94%)
|
36,244 (94.29%)
|
영광군
|
1,620 (4.22%)
|
35,737 (93.22%)
|
함평군
|
917 (3.58%)
|
24,108 (94.23%)
|
신안군
|
1,253 (4.35%)
|
26,901 (93.50%)
|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광양시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9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압승을 거두었다. 특히 목포시에서는 목포시에서는 95.91%의 몰표에 가까운 득표율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는 전 지역에서 한 자릿수대 득표율에 머물렀다. 그나마 광양시에서는 9.71%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
| 주요 후보 | |
---|
군소 후보 | |
---|
지역별 통계 | |
---|
[ ]: 기호, ¹: 사퇴. 굵은 글씨는 당선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