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경상남도
|
|
|
|
이 문서는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의 경상남도 지역 개표 결과이다.
개표 결과
마산시
진주시
진양군
충무시
고성군
통영군
거제군
진해시
창원군
사천군
삼천포시
하동군
함안군
의령군
창녕군
합천군
산청군
밀양군
양산군
동래군
울산시
울주군
김해군
남해군
거창군
함양군
전체 결과
|
유권자수: 1,463,119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박정희 |
민주공화당 |
838,426표 |
|
|
|
|
윤보선 |
신민당 |
281,545표 |
|
|
|
|
오재영 |
통한당 |
45,325표 |
|
|
|
|
김준연 |
민중당 |
30,740표 |
|
|
|
|
전진한 |
한국독립당 |
16,065표 |
|
|
|
|
이세진 |
정의당 |
9,895표 |
|
|
|
합계
|
1,221,996표 |
|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68.61%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경상남도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박정희 후보는 윤보선 후보와 40% 이상의 큰 격차를 벌리는데 성공하면서 압도적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신민당 윤보선 후보는 23.03%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2위를 차지했다.
주요 후보 결과
지역
|
윤보선
|
박정희
|
마산시
|
15,126 (25.41%)
|
41,361 (69.48%)
|
진주시
|
8,884 (23.95%)
|
25,455 (68.62%)
|
진양군
|
14,194 (26.46%)
|
33,307 (62.11%)
|
충무시
|
6,289 (33.05%)
|
11,785 (61.94%)
|
고성군
|
9,277 (17.99%)
|
37,893 (73.51%)
|
통영군
|
6,087 (20.74%)
|
20,241 (68.97%)
|
거제군
|
9,415 (20.74%)
|
32,649 (71.95%)
|
진해시
|
8,716 (21.69%)
|
30,094 (74.91%)
|
창원군
|
15,143 (21.80%)
|
48,274 (69.52%)
|
사천군
|
10,299 (27.91%)
|
23,268 (63.07%)
|
삼천포시
|
4,364 (21.08%)
|
14,751 (71.25%)
|
하동군
|
18,548 (34.85%)
|
29,850 (56.09%)
|
함안군
|
9,409 (20.11%)
|
33,456 (71.51%)
|
의령군
|
7,934 (19.89%)
|
28,089 (70.44%)
|
창녕군
|
10,177 (17.15%)
|
42,861 (72.25%)
|
합천군
|
15,554 (22.08%)
|
47,901 (68.00%)
|
산청군
|
13,295 (29.70%)
|
27,122 (60.58%)
|
밀양군
|
11,870 (14.95%)
|
61,487 (77.49%)
|
양산군
|
5,968 (26.08%)
|
15,149 (66.20%)
|
동래군
|
4,425 (20.46%)
|
15,409 (71.27%)
|
울산시
|
4,591 (10.71%)
|
36,253 (84.61%)
|
울주군
|
9,610 (20.94%)
|
32,371 (70.56%)
|
김해군
|
19,930 (24.10%)
|
56,697 (68.57%)
|
남해군
|
10,108 (20.01%)
|
35,532 (70.34%)
|
거창군
|
16,819 (32.85%)
|
29,577 (57.76%)
|
함양군
|
15,513 (32.36%)
|
27,594 (57.57%)
|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경상남도의 전 지역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지난 대선에서 큰 격차를 내며 승리했던 군 지역에서는 그 지지세를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접전을 펼쳤던 시 지역에서는 더 많은 득표를 얻어내면서 압승을 거두었다.
신민당 윤보선 후보는 전 지역에서 패배하였다. 특히 고성, 의령, 창녕 등 일부 지역에서는 20%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매우 부진한 결과를 얻었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
| 후보 | |
---|
지역별 통계 | |
---|
[ ]: 기호, ¹: 사퇴. 굵은 글씨는 당선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