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경상남도
|
|
|
|
이 문서는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의 경상남도 지역 개표 결과이다.
개표 결과
창원시
마산시
진주시
진해시
통영시
고성군
사천시
김해시
밀양시
거제시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양산시
하동군
남해군
함양군
산청군
거창군
합천군
전체 결과
|
유권자수: 2,416,351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이명박 |
한나라당 |
843,662표 |
|
|
|
|
이회창 |
무소속 |
329,486표 |
|
|
|
|
정동영 |
대통합민주신당 |
189,463표 |
|
|
|
|
권영길 |
민주노동당 |
82,645표 |
|
|
|
|
문국현 |
창조한국당 |
73,893표 |
|
|
|
|
허경영 |
경제공화당 |
6,063표 |
|
|
|
|
이인제 |
민주당 |
4,935표 |
|
|
|
|
정근모 |
참주인연합 |
1,310표 |
|
|
|
|
금민 |
한국사회당 |
1,261표 |
|
|
|
|
전관 |
새시대참사람연합 |
612표 |
|
|
|
합계
|
1,533,330표 |
|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과반이 넘는 55.02%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경상남도에서 1위를 차지했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21.48%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2위를 차지했다. 이회창 후보는 경상남도에서 전국 평균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선전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12.35%의 득표율로 3위에 자리했다.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는 득표율 5.38%를 기록하면서 4위를 차지했다. 권영길 후보는 경상남도에서 득표율 5% 이상을 달성했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득표율 4.81%로 5위를 차지했다.
주요 후보 결과
지역
|
정동영
|
이명박
|
권영길
|
문국현
|
이회창
|
창원시
|
29,081 (12.61%)
|
119,272 (51.71%)
|
18,327 (7.94%)
|
13,263 (5.75%)
|
48,987 (21.24%)
|
마산시
|
20,557 (9.89%)
|
122,030 (58.76%)
|
8,730 (4.20%)
|
9,677 (4.65%)
|
45,251 (21.79%)
|
진주시
|
15,332 (9.23%)
|
97,767 (58.85%)
|
7,752 (4.66%)
|
7,629 (4.59%)
|
36,341 (21.87%)
|
진해시
|
9,834 (12.46%)
|
43,764 (55.47%)
|
3,417 (4.33%)
|
4,351 (5.51%)
|
16,901 (21.42%)
|
통영시
|
6,610 (10.39%)
|
38,853 (61.07%)
|
2,293 (3.60%)
|
2,523 (3.96%)
|
12,761 (20.06%)
|
고성군
|
3,268 (11.21%)
|
16,716 (57.39%)
|
1,254 (4.30%)
|
946 (3.24%)
|
6,621 (22.73%)
|
사천시
|
5,945 (10.51%)
|
31,520 (55.75%)
|
2,774 (4.90%)
|
2,166 (3.83%)
|
13,639 (24.12%)
|
김해시
|
33,010 (16.89%)
|
94,923 (48.57%)
|
8,619 (4.41%)
|
12,154 (6.21%)
|
44,945 (22.99%)
|
밀양시
|
7,002 (12.01%)
|
32,527 (55.82%)
|
2,255 (3.86%)
|
2,324 (3.98%)
|
13,612 (23.36%)
|
거제시
|
13,614 (15.50%)
|
45,598 (51.91%)
|
8,622 (9.81%)
|
4,225 (4.81%)
|
14,908 (16.97%)
|
의령군
|
1,849 (10.49%)
|
9,440 (53.58%)
|
1,103 (6.26%)
|
486 (2.75%)
|
4,472 (25.38%)
|
함안군
|
3,930 (10.87%)
|
19,584 (54.20%)
|
2,317 (6.41%)
|
1,534 (4.24%)
|
8,177 (22.63%)
|
창녕군
|
3,698 (10.52%)
|
19,389 (55.17%)
|
1,831 (5.21%)
|
1,347 (3.83%)
|
8,217 (23.38%)
|
양산시
|
14,220 (14.13%)
|
55,734 (55.41%)
|
4,367 (4.34%)
|
5,490 (5.45%)
|
19,877 (19.76%)
|
하동군
|
5,097 (17.00%)
|
15,618 (52.10%)
|
1,677 (5.59%)
|
1,086 (3.62%)
|
6,120 (20.41%)
|
남해군
|
4,709 (15.74%)
|
15,991 (53.46%)
|
1,404 (4.69%)
|
902 (3.01%)
|
6,505 (21.74%)
|
함양군
|
3,200 (13.05%)
|
13,967 (56.99%)
|
1,087 (4.43%)
|
966 (3.94%)
|
4,794 (19.56%)
|
산청군
|
2,055 (9.97%)
|
12,239 (59.40%)
|
1,482 (7.19%)
|
552 (2.67%)
|
4,037 (19.59%)
|
거창군
|
3,637 (10.73%)
|
19,863 (58.62%)
|
1,708 (5.04%)
|
1,345 (3.96%)
|
6,982 (20.60%)
|
합천군
|
2,815 (9.10%)
|
18,867 (61.03%)
|
1,626 (5.26%)
|
927 (2.99%)
|
6,339 (20.50%)
|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경상남도 내 전 지역에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김해시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과반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였으며 통영시, 합천군에서는 6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전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다. 이회창 후보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20% 이상의 득표율을 달성하였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전 지역 3위를 차지했다. 마산시, 산청군 등 일부 지역에서는 한 자릿수대 득표율에 그쳤지만 김해시, 거제시, 하동군 등의 지역에서는 득표율 15%를 달성하기도 했다.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득표율 5%를 달성했다. 특히 공단 지역이 있는 창원시와 거제시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는 창원시, 진해시, 김해시, 양산시에서 5%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
| 주요 후보 | |
---|
군소 후보 | |
---|
지역별 통계 | |
---|
[ ]: 기호, ¹: 사퇴. 굵은 글씨는 당선자. |
|